•  


[커버스토리]武藝 動作, 알고보니 뱃살빼기-근육디자인 特效藥!|東亞日報

[커버스토리]武藝 動作, 알고보니 뱃살빼기-근육디자인 特效藥!

  • 東亞日報
  • 入力 2013年 8月 16日 03時 00分


코멘트

최형국 韓國傳統武藝硏究所長이 만든 動作, 따라해 보세요

13일 경기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의 화성행궁에서 최형국 한국전통무예연구소장이 봉술 시범을 보이고 있다.
13日 京畿 水原市 팔달구 남창동의 화성행궁에서 최형국 韓國傳統武藝硏究所長이 봉술 示範을 보이고 있다.
몇 年 前까지만 해도 우락부락한 ‘덩어리 筋肉’은 男性의 象徵이자 女子의 마음을 사로잡는 最高의 武器로 通했다. 映畫 ‘터미네이터’로 잘 알려진 액션俳優 아널드 슈워제네거가 代表的인 例였다.

하지만 最近 들어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예쁜 몸매’의 基準이 變하고 있다. ‘過多한’ 筋肉보다는 군살 없이 탄탄하고 盞筋肉이 發達한 ‘슬림한 筋肉質’이 人氣다. 女性들 또한 單純히 마른 몸보다는 단단하고 彈力 있는 몸매를 選好한다.

이런 몸매를 願한다면 武藝를 活用한 動作을 한番 活用해보면 어떨까. 武術 動作은 筋肉의 부피를 키우기보다는 ‘實戰’에 必要한 筋肉을 强靭하면서도 보기 좋게 가꿔 준다. 映畫俳優 里샤오룽(李小龍·李小龍)의 늘씬하지만 단단한 筋肉이 代表的이다. 武藝를 活用해 만든 盞筋肉은 무엇보다도 오랫동안 維持할 수 있다는 게 長點이다. 큰 筋肉을 維持하기 위해서는 피나는 食餌療法과 持續的인 運動療法이 必要하다. 한 달이라도 運動을 게을리하면 筋肉이 처지거나 쉽게 작아진다.

東亞日報 週末섹션 ‘레츠’가 讀者들을 위해 講師로 모신 사람은 20餘 年 동안 武藝를 修鍊해 온 최형국 韓國傳統武藝硏究所 所長이다. 崔 所長은 깊이 있는 武藝 硏究를 위해 歷史學 博士 學位를 따기도 했다. ‘親切한 造船社’ ‘朝鮮無事’ ‘貞操賃金 武藝 身體觀 硏究’ 等의 冊을 썼으며 ‘레츠’에 ‘최형국의 武藝이야기’를 連載하고 있기도 하다. 많은 드라마와 映畫의 武術 및 武器 考證 擔當으로도 活躍해 왔다.

다음은 崔 所長이 동아일보 讀者들을 위해 만든 運動 프로그램이다. 攝氏 35度를 넘나드는 무더운 날씨가 繼續되는 만큼 主로 家庭과 事務室 等 室內에서 손쉽게 體力과 柔軟性을 기를 수 있도록 構成했다. 長劍 等 兵仗器를 使用하는 動作도 있지만 집에서는 먼지떨이나 빗자루 等 生活小品을 代身 써도 된다.

①準備運動(危 寫眞 왼쪽)

本格的인 運動에 앞서 體溫을 상승시켜 몸의 ‘始動’을 걸어준다. 準備運動을 하면 負傷을 입을 危險도 줄어든다. 崔 所長이 推薦한 準備運動은 ‘장치기’. 택견의 떠밀기 姿勢를 應用한 것으로 가까이에 있는 相對方을 밀어내는 動作이다. 丹田에 힘을 주고 騎馬姿勢로 고쳐 앉은 後 기운을 손바닥에 실어 손을 하나씩 强하게 앞으로 밀면 된다. 뭉친 어깨를 풀어주는 데 卓越한 動作이기도 하다. 兩손 各各 30番씩 3세트를 하면 된다.

②筋力運動과 스트레칭을 겸할 수 있는 運動(危 寫眞 가운데·오른쪽)

準備運動을 마쳤다면 筋力運動과 스트레칭을 해보자. 이것은 武藝圖譜通志의 拳法 姿勢를 應用해서 만든 것이다. 特히 里샤오룽처럼 탄탄하고 均衡 잡힌, 아름다운 몸을 만들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도움이 되며 허벅지 筋力을 키우는 데도 좋다. 左右 各各 10番씩 3세트를 하면 된다. 勿論 左右를 모두 하는 것이 한 番이다.

‘슬림한 筋肉質’ 몸매 만들기

▼攻擊 拳法 應用한 ‘주먹 비틀기’ 허리 잘록하게 가꿔줘▼
최형국 한국전통무예연구소장이 마상무예를 선보이고 있다. 최형국소장 제공
최형국 韓國傳統武藝硏究所長이 馬上武藝를 선보이고 있다. 최형국所長 提供

③男性의 팔 筋肉 强化를 위한 筋力運動

‘손 머리 위로 쥐어짜기’ 姿勢를 推薦한다. 柔道에서 相對方의 倒伏 옷깃을 낚아채 돌릴 때의 모습을 應用해 만든 動作이다. 于先 발바닥 全體가 바닥에 닿을 수 있도록 똑바로 선 다음 뒤꿈치를 세워 선다. 同時에 兩손을 귀 옆에 붙인 뒤 주먹을 쥐듯 손을 꽉 쥐었다 폈다를 反復한다. 100番씩 하는 것이 좋다. 女性들이 좋아하는 盞 筋肉이 發達에 매우 좋다.

④女性의 잘록한 허리라인을 만들기 위한 筋力運動

‘주먹 올려 左右 비틀기’ 姿勢를 推薦한다. 팔꿈치로 相對方을 攻擊하는 拳法을 應用해 만든 動作이다. 于先 앞쪽을 防禦하듯 주먹을 쥐어 얼굴 앞으로 올린 뒤 下體를 固定한 채 上體를 左右로 크게 움직여 준다. 左右 各各 30番씩 3세트를 해야 한다. 이때 가장 重要한 것은 무릎에 힘을 强하게 주고 下體를 固定시켜 上體만 움직이는 것이다. 이 運動은 特히 腸運動을 促進하기 때문에 便祕가 있는 사람들이 아침에 이 運動을 하면 效果가 매우 좋다.

⑤武藝의 꽃 兵仗器를 利用한 筋力運動

뱃살을 없애주고 잘록한 허리를 만들어주는 運動 =映畫 속 ‘ET’처럼 唯獨 뱃살이 많이 나온 사람들에게는 ‘칼 들어 허리 左右 돌리기’를 推薦한다. 劍術의 防禦動作人 ‘들어 올려 칼 받는 姿勢’를 應用한 動作이다. 于先 한 발을 앞으로 내밀어 直角으로 구부린 後 두 손으로 劍의 兩 끝을 잡아 머리 위로 올린다. 그 狀態로 비틀 수 있는 만큼 最大限 左右로 비틀어준다. 한 발에 各各 30番씩 2세트를 해야 한다. 허리筋肉을 많이 使用하기 때문에 뱃살과 허리 군살을 빼는 데 좋다. 職場人들은 木劍 代身 冊을 들고 椅子에 앉은 채로 허리를 左右로 돌려도 비슷한 效果를 볼 수 있다.

틀어진 骨盤을 바로잡고 몸의 均衡을 잡아주는 運動 =하이힐을 즐겨 신거나 다리를 꼬고 앉는 習慣이 있어 骨盤이 틀어진 사람들에게는 ‘허리 꼬아 칼 막기 姿勢’를 推薦한다. 劍術 中 雙手刀(雙手刀)의 姿勢를 應用한 動作으로 相對方의 칼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 받는 姿勢다. 雙手刀는 中國에서 倭寇의 侵入을 막기 위해 開發한 劍術로 긴 칼을 두 손으로 使用하는 것이 特徵이다.

두 손으로 棒의 兩쪽을 잡고 들어올린 뒤 한 손으로 棒의 아래를 받쳐 내린다. 들어 올린 손과 같은 方向에 있는 발을 앞으로 내밀어 다리를 꼰다. 兩쪽을 反復해 준다. 骨盤敎正과 허리 運動에 좋다. 左右 各各 20番씩 하면 좋다.

⑥마무리 運動

運動을 끝내고 마음의 安定을 찾고 싶다면 모든 劍術의 基本 마무리 動作인 ‘크게 들어 베기’ 姿勢를 推薦한다. 한손으론 木劍 손잡이의 아래를 잡고 다른 한손으론 위를 잡은 後 칼을 크게 들었다 반듯하게 내리는 動作이다. 呼吸에 맞춰 차분하게 動作을 反復하면 마음이 便해진다. 木劍을 들어 올릴 때 숨을 마시고 내리면서 내뱉는 게 要領이다. 10番 反復한 後 運動을 마무리한다.

글=황수현 記者 soohyun87@donga.com
寫眞=박영대 記者 sanna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