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作家 박상우의 그림 읽기]담배가 사람을 피운다면|동아일보

[作家 박상우의 그림 읽기]담배가 사람을 피운다면

  • 入力 2009年 7月 25日 02時 57分


커뮤니케이션 송석민, 그림 제공 포털아트
커뮤니케이션 송석민, 그림 提供 포털아트
어느 날 市內에서 偶然히 大學 後輩를 만났습니다. 近 10年 만에 다시 보게 된 後輩는 머리숱도 듬성듬성하고 顔色이 몹시 안 좋아 보였습니다. 隣近의 커피專門店으로 들어가 마주앉자마자 그는 담배부터 피워 물었습니다. 그리고는 담배를 꺼내지 않는 나를 물끄러미 건너다보다가 疑訝하다는 表情으로 물었습니다. “先輩님은 이제 담배 안 피우세요?” 그의 質問에 나는 10年 前에 담배를 끊었다고 對答했습니다. 그가 두 눈을 휘둥그렇게 치뜨고 다시 물었습니다. “예전에 先輩님은 하루에 담배를 3匣도 넘게 피웠는데 어떻게 그걸 끊었죠?”

10年 前 어느 날, 잠에서 깨어났을 때 나는 자리에서 몸을 일으킬 수 없을 程度로 깊은 疲勞를 느꼈습니다. 글을 쓰기 위해 冊床에 앉아도 10分을 견딜 수 없었습니다. 疲勞가 累積돼서 그런 模樣이라 여기고 며칠 동안 늘어지게 잠을 잤지만 疲勞는 가시지 않았습니다. 病院을 찾아가자 慢性疲勞 症候群인 것 같다며 담배를 끊으라고 했습니다. 며칠 동안 자리保全을 하고 누워 있는 동안 疲勞의 사슬에 完全히 捕縛된 나 自身이 微物처럼 여겨져 이를 데 없이 비감스러웠습니다. 어느 瞬間, 견딜 수 없는 憤怒가 치밀기 始作했습니다. 내가 글을 쓰기 위해 담배를 피웠지, 담배를 피우기 위해 글을 쓴 것이냐! 나는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담뱃匣을 憤怒의 힘으로 짓이겨 버렸습니다.

그날 以後 只今껏 10年 동안 담배를 피우지 않았노라고 얘기하자 後輩는 골똘한 表情으로 앉아 있다가 뜻밖의 質問을 건넸습니다. “담배를 끊으면 人生觀이 바뀝니까?” 巨創한 質問에 나는 暫時 생각을 整理하고 아주 淡淡한 語調로 그렇다고 對答했습니다. 人生觀만 바뀌는 게 아니라 完全히 다른 人生을 살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담배 하나 때문에 얼마나 많은 것이 變할 수 있는지에 對해 덧붙였습니다.

人間의 삶은 많은 部分이 中毒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가 무심하게 習慣으로 置簿하는 일 中에는 自身의 삶을 병들게 만들고 荒廢하게 만드는 것이 많습니다. 그래서 좋은 習慣은 좋은 結實을 불러 오지만 나쁜 習慣은 墮落과 破局을 몰고 옵니다. 痲藥 飮酒 賭博 같은 것이 代表的인 事例이지만 그것 말고도 人間의 靈魂을 蠶食하는 나쁜 習慣은 많습니다. 그것을 체크하고 그것을 豫防하고 그것을 改善할 수 있는 唯一한 사람은 오직 自身밖에 없습니다. 意志를 갖고 나쁜 習慣을 끊을 수 있다면 그 領域은 創造性을 지닌 空間으로 되살아나 삶을 풍요롭게 합니다. 하지만 中毒을 中毒으로 自覺하지 못하는 일, 그것이 이 世上에서 가장 무서운 中毒입니다.

나의 얘기를 듣고 난 뒤에도 後輩는 如前히 自身 없다는 表情으로 머리를 흔들었습니다. 나는 그에게 마지막으로 한 가지 質問을 건넸습니다. “담배가 자네 人生과 맞바꿀 만큼 價値 있는 것인가?” 後輩는 아니라고 對答했습니다. “아닌데 왜 逆轉시키지 못하는가? 只今 자네의 健康 狀態로 보면 자네가 담배를 피우는 게 아니라 담배가 자네를 피우는 形局일세.” 담배가 사람을 피우는 想像을 하며 禁煙하라는 勸誘를 하고 나서 나는 後輩와 헤어졌습니다. 담배를 끊으면 다시 連絡하겠다던 그에게서 언제나 電話가 걸려올까요.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