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國內 作故作家 및 生存作家 베스트 5|東亞日報

國內 作故作家 및 生存作家 베스트 5

  • 入力 2009年 1月 16日 14時 05分


故 최욱경 畫伯의 作品 ‘鶴洞마을’李 그림로비에 使用됐다는 疑惑이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國內美術市場에서의 作品價格에 對한 關心이 쏠리고 있다.

‘鶴洞마을’은 3千萬~5千萬원臺의 價格으로 알려져 있다. 정작 그림의 所有主는 이 그림의 價格이 그렇게 높을지 몰랐다는 말도 들린다. 國內 主要 作家들의 作品價格은 어느 程度일까.

지난해 國內 競賣市場에서 作故作家 中에서는 李仲燮 朴壽根 安重根 유영국 金煥基 장욱진, 生存作家 中에서는 이우환 천경자 김흥수 오치균 고영훈 畫伯의 作品이 各各 '베스트 5’를 形成 한 것으로 調査됐다. <표 참조="">

서울옥션이 實施한 지난해 競賣에서 李仲燮의 ‘새와 애들’과 朴壽根의 ‘나무와 두 女人’李 15億원으로 最高價를 記錄했다. 專門作家가 아니었던 獨立鬪士 安重根 義士의 獄中 揮毫가 5億5千萬원에 落札되면서 지난해 作故人物들의 作品 競賣 落札價 中 3位圈을 形成했다. 安義師의 作品 ‘人舞遠慮筆유근우(人無遠慮必有近憂·사람이 멀리 내다보고 準備하지 않으면 반드시 가까운 時日에 憂患이 생긴다)’는 그동안 安義師의 다른 獄中揮毫(推定價 2億원 以上)보다 높은 價格에 팔렸다.

生存作家 中에서는 在日 抽象化가 李禹煥氏의 ‘點으로부터’가 9億원을 記錄했다. 千鏡子의 ‘女人’은 5億원, 김흥수의 ‘無題’가 4億1千萬원, 오치균의 ‘퍼스트 애비뉴’는 3億4千萬원, 고영훈의 ‘스톤北’은 1億6500萬원에 落札됐다.

2008年 以前에는 朴壽根의 ‘빨래터’가 45億2千萬원, 金煥基의 ‘꽃과 缸아리’가 30億5千萬원에 落札된 적이 있다.

美術市場은 1970年代 末부터 1980年代 中盤까지 最大 好況을 누렸다. 이 때 市場을 主導했던 것은 東洋畫였다. 所定 卞寬植, 心山 盧壽鉉, 依在 許百鍊, 靑田 李象範, 心鄕 朴勝武, 以堂 金殷鎬 等 ‘6臺가’의 作品이 人氣를 끌었다. 여기에 韻譜 김기창, 월전 장우성 等도 注目을 받았다.

最近 美術市場은 東洋畫家 주춤하는 사이 西洋畫家 붐을 이루고 있는 形局이다. 特히 195,60年代까지 活動했던 이른 바 ‘近代作家’들의 作品이 最高價 및 主要 販賣 實績을 記錄하고 있다. 國內 代表的인 美術館의 한 큐레이터는 “近代 美術史에 對한 學問的 成果가 作品理解를 뒷받침하면서 市場에서 이들 作家들에 對한 注目度가 높아지고 있는 狀況”이라고 말했다.

代表作家로는 朴壽根 金煥基 李仲燮 張旭鎭 等이 꼽힌다. 이 같은 雰圍氣속에서 서울 德壽宮美術館에서는 ‘韓國近代美術걸작선’을 열고 있다.

인사동의 메이저畫廊 中 하나인 노화랑의 노승진 代表는 “美術史에 남을 만한 作品性을 인정받고 性格이 분명하며 꾸준하게 作品活動을 한 近代作家들의 作品이 最近 市場에서 主軸을 이루고 있다”고 雰圍氣를 傳했다.

盧代表는 “朴壽根의 作品은 1950年代 作品이냐 60年代 作品이냐에 따라 市場價格이 다르다. 60年代 作品이 좀 더 固有의 質感이 살아있다는 評과 함께 조금 더 人氣가 있다”고 말했다. 李仲燮의 境遇 素材에 따라 顧客들의 畿湖가 다르다는 것. 李仲燮의 作品은 소, 아이, 風景 等으로 素材가 나뉘는데 소 시리즈가 가장 人氣가 높다는 것.

韓國美術에서는 作品의 크기에 따라 價格이 決定되는 이른바 ‘呼價’라는 것이 있었다. 캔버스의 基準 單位인 ‘湖(가로 22.7cm, 세로 17.8cm, 約 葉書 두倍 程度)’에 따라 價格이 定해지는 것이다. 作品이 클 수록 비싸지는 傾向이 있었다. 作故 作家들의 作品에는 아직도 呼價의 慣行이 남아있다. 그러나 젊은 作家들의 境遇 100號를 基準으로 해서 80號는 100號의 90%, 60號는 70% 程度의 價格을 받는 境遇가 있다고 盧代表는 傳했다.

한便 美術市場은 2,3年 前 好況을 맞았으나 最近 景氣 沈滯 等으로 인해 다시 萎縮되고 있다. 최욱경 畫伯의 그림 로비 是非도 어느 程度 影響을 줄 것으로 보인다. 愛好家들의 美術購入보다는 投資 目的 및 膳物用 그림의 需要가 減少할 것이라는 展望이다.

이원홍記者 bluesk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