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化가 흐르는 漢字] <553>植 木 日(植木日)|東亞日報 </553>

[文化가 흐르는 漢字] <553>植 木 日(植木日)

  • 入力 2003年 4月 3日 18時 02分


코멘트
植 木 日(植木日)

植-심을 式 戶-지게門 號 需-쓸 수

棺-널 管 綠-푸를 록 童-아이 桐

漢字에는 여닫는 門에도 여러 種類가 있다. 門짝이 두 個面 門(卽 大門), 한 쪽이면 戶(湖)라고 한다. 事實 ‘門’字는 左右 두 個의 戶를 합친 上刑問이다. 또 싸리나무나, 참나무로 엮으면 扉(비), 갈대면 扇(線)이라고 했다. 우리말로 ‘사립門’인 셈이다.

이 中 大門이라면 쉽게 關(棺·빗장)을 지를 수 있지만 한 쪽 뿐인 戶는 別途로 門 옆에 나무를 세워야 했는데 이것을 ‘植’이라고 했다. 그러니까 植은 본디 戶를 빗장지르기 위해 使用했던 ‘直木’(곧은 나무)이었음을 알 수 있다. 後에 ‘심다·세우다’는 뜻도 가지게 된다.

옛날 中國의 春秋戰國(春秋戰國)時代 500年은 全國이 온통 戰爭의 도가니로 變하여 그 慘酷과 混亂은 이루 말할 수 없을 地境이었다. 이런 渦中에도 재미를 보는 業種이 있었으니 軍需(郡守業者)와 葬儀(葬儀)業者였음은 이미 說明한 바 있다.

特히 葬儀業者의 境遇, ‘네가 죽어야 내가 사는’ 氣막힌 業種 特性 때문에 超好況을 누렸는데 그러다 보니 뜻하지 않은 問題點도 나타났다. 棺(棺)의 需要가 暴增하여 나무를 마구 잘라내는 바람에 山이 온통 민둥山으로 變했던 것이다. 보다 못한 墨子(墨子)는 棺의 두께를 줄이자며 ‘節葬論’(節長論)을 主張하였다.

只今은 全國의 山이 온통 짙푸르게 우거졌지만 30年 前까지만 해도 벌거벗은 민둥山이었다. 나무를 燃料로 使用했던 데다 6·25 戰爭까지 치루는 바람에 全國의 山은 시뻘건 흙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었다. 1961年 5·16 軍事革命을 통해 執權한 第3共和國은 治山治水(治山治水)의 첫 課業으로 山林綠化(山林綠化)를 擧國的(擧國的)으로 推進하였다. 그 結果 當時 어른이면 누구나 沙防(四方)事業에 參與했는데 하루 일하면 美國 援助 밀가루 한 沙鉢씩을 주었다.

學生이라고 例外는 아니었다. ‘나무를 심자’는 內容의 童謠(童謠)를 熱心히 불렀으며 特히 시골에 사는 學生의 境遇, 풀씨를 훑거나 아카시아 씨앗을 모아 學校에 가져갔는가 하면 어떤 때는 授業代身 松蟲이를 잡기 위해 山을 오른 적도 많았다. 40代 以上의 中年이면 누구나 아련한 追憶을 간직하고 있을 것이다.

나무를 심자고 制定한 날이 4月 5日 植木日이다. 每年 淸明節(淸明節)과 겹치는 이 날은 따뜻하여 나무를 심기에 제格이다. 來日이 바로 그 날이다.

“山에 山에 山에다 나무를 심자.”

每年 植木日이면 불렀던 노래다.

鄭 錫 元 한양대 安山캠퍼스 敎授·中國文化 sw478@yahoo.co.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