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自由主義 神學을 넘어 ‘20世紀의 바울’을 꿈꾸다|주간동아

원포인트 示唆 레슨

自由主義 神學을 넘어 ‘20世紀의 바울’을 꿈꾸다

50周忌 맞는 20世紀 最高 神學者 칼 바르트

  • 권재현 記者

    confetti@donga.com

    入力 2018-12-07 17:10:0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칼 바르트 [칼 바르트 아카이브]

    칼 바르트 [칼 바르트 아카이브]

    20世紀 3代 神學者로 불린 사람들이 있다. 3名 다 獨逸系 牧師라는 共通點을 지닌다. 獨逸 出身으로 나치 迫害를 避해 美國으로 亡命해 自由主義 神學의 最高峯으로 評價받은 폴 틸리히(1886~1965), 獨逸系 美國人으로 基督敎 現實主義를 主唱한 라인홀드 니버(1892?1971), 그리고 12月 10日 50週期를 맞는 獨逸系 스위스 神學者 칼 바르트(1886~1968)다.

    이 셋을 言及할 때 바르트가 가장 먼저 登場한다. 그만큼 存在感이 强烈해서다. 가장 먼저 頭角을 나타낸 것도 바르트였다. 第1次 世界大戰 敗北 以後 獨逸 社會가 物質的·精神的 貧困에 시달리던 1919年 發表한 ‘로마書’를 통해 當代 酒類 神學이던 自由主義 神學의 人間中心主義와 訣別을 宣布하고 神(神)中心主義로 旋回했기 때문이다.


    人間 中心에서 神 中心으로

    칼 바르트(왼쪽)와 마틴 루터 킹. [칼 바르트 아카이브]

    칼 바르트(왼쪽)와 마틴 루터 킹. [칼 바르트 아카이브]

    19世紀 獨逸에서 꽃피운 自由主義 神學은 聖經 말씀에 對한 傳統的 解釋에서 벗어나 同時代的 文脈에 맞게 再解釋하는 것을 柔軟하게 許容한다. 啓蒙主義 以後 知識의 눈부신 發展과 基督敎 信仰의 兩立을 위한 合理的 選擇이었다. 하지만 그 過程에서 信仰의 닻을 絶對的이고 普遍的인 神이 아니라, 可變的이고 歷史的인 人間에게 내리려 한다는 批判에 直面했다. 特히 第1, 2次 世界大戰을 거치면서 獨逸 好戰主義를 牽制, 制御하기는커녕 오히려 그에 同調하거나 便乘하는 過誤를 저질렀다.

    바르트는 이런 自由主義 神學의 限界를 銳敏하게 感知했고 ‘로마書’를 통해 그 脫出口를 摸索했다. 그것은 絶對的 예수 信仰을 통해 限界 狀況을 突破했던 바울(가톨릭의 바오로)의 再發見이자 實存主義 思想의 先驅者였던 덴마크 哲學者 키르케고르의 再發見이었다. 神은 人間의 理解를 뛰어넘은 絶對的 打者이기에 人間을 救援할 수 있다는 發想의 轉換, 그리고 사랑의 하나님을 넘어 말씀과 啓示의 하나님으로서 바울의 初期 基督敎로 돌아가자는 豫言者的 외침이었다. 그 衝擊이 얼마나 컸던지 “神學者들의 놀이터에 爆彈을 떨어뜨린 것”과 같다는 反應까지 나왔다.

    바르트의 이런 先知者的 洞察은 히틀러의 登場으로 더욱 빛을 發했다. 當時 獨逸 基督敎界는 예수가 靈的 메시아라면 히틀러는 政治·經濟的 메시아라는 믿음을 公公然하게 宣布하고 있었다. 敎會는 勿論, 신학대에서도 ‘하일 히틀러!’를 외치지 않으면 異端 取扱을 받을 程度였다.



    그런 狀況에서 히틀러를 敵(敵)그리스도로 생각하는 極少數 基督敎人이 告白敎會運動을 펼칠 때 그 求心點이 된 人物이 바로 바르트였다. 結局 1935年 獨逸에서 追放된 바르트는 故鄕 스위스로 돌아가 基督敎的 良心의 象徵的 存在가 된다. 以後 그는 30餘 年의 歲月 동안 13卷이나 되지만 끝내 未完成作이 된 大作 ‘敎會敎義學’ 執筆에 專念하며 危機에 빠진 基督敎를 바울의 盤石 위에 再定礎하고자 했다.


    실존적 틸리히, 實用的 니버

    [wesleywildman 블로그, The Life picture Collection]

    [wesleywildman 블로그, The Life picture Collection]

    亦是 히틀러에 對한 服從을 拒否했던 틸리히는 그보다 2年 앞서 1933年 非유대人 敎授로는 가장 빨리 獨逸 敎授職에서 쫓겨났다. 美國으로 건너가 뉴욕 유니언신학대 敎授가 된 그는 以後 旺盛한 著作 活動으로 美國에서 가장 有名한 神學者가 된다. 그의 이름이 獨逸式 파울이 아니라 美國式 폴로 呼名되는 理由도 거기 있다. 틸리히는 바르트와 달리, 自由主義 神學의 傳統에 忠實하면서 時代的 變化를 따르는 실존적 물음에 對한 應答의 源泉으로서 基督敎信仰의 正當性을 起草했다.

    유니언신학대에는 또 다른 巨物이 있었으니 바로 니버였다. 니버는 젊은 날의 바르트처럼 勞動組合을 支持하면서 社會主義에 傾倒됐다 第2次 世界大戰을 전후해 人間理性에 對한 樂觀論에 기초한 自由主義 神學을 批判하며 基督敎 現實主義 運動을 展開했다.

    그 基本 思想은 이렇다. 個人은 努力에 依해 道德的일 수 있다. 하지만 그런 個人의 集合으로서 社會와 國家는 個人에 適用되는 道德 잣대를 適用할 수 없는 壓倒的 狀況을 마주할 때가 많다. 거기엔 個人倫理와는 次元이 다른 社會倫理를 適用해야 한다. 따라서 基督敎는 地上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바로 建設하려 하기보다 그 腐敗와 墮落을 適正 規模에서 牽制해야 한다. 그 思想이 集約된 冊이 ‘道德的 人間과 非道德的 社會’다.

    只今은 故人이 된 고범서 前 숭실대 總長은 이 3人의 神學者가 내세운 思想을 이렇게 要約했다. “바르트는 絶對的이고, 틸리히는 실존적이며, 니버는 實用的이다.”

    이 3人을 凌駕할 뻔했던 獨逸 神學者가 있다. 바르트가 그의 博士學位 論文을 읽고 “하나의 神學的 奇跡”이라고 評價했던 디트리히 본회퍼(1906~45)다.

    바르트와 틸리히보다 스무 살, 니버보다 열네 살 적었던 본회퍼는 유니언신학대에서 틸리히, 니버와 함께 트로이카로 불릴 수 있었다. 유대人을 迫害한 히틀러에 對해 누구보다 强烈히 抵抗하던 그는 1937年 亦是 獨逸에서 追放된 뒤 유니언신학대의 招請으로 美國 뉴욕으로 건너갔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뉴욕에 到着하자마자 自身의 使命은 受難받고 있는 祖國의 基督敎信者를 外面할 수 없다며 다시 獨逸로 돌아갔고 히틀러 暗殺을 企圖하다 서른아홉 나이로 殉敎했다.

    아까운 나이에 夭折해 神學者로서 躊躇를 남기진 못했지만 20世紀 基督敎의 ‘行動하는 良心’으로 아로새겨진 본회퍼에겐 바르트와 틸리히, 니버의 思想이 가로지르고 있다. 그가 남긴 默想視 ‘自由를 찾는 길’의 ‘行動’ 句節을 吟味해보자.

    ‘하고 싶은 일을 하려고 하지 말고 옳은 일을 하려고 하라’와 ‘小心한 망설임에서 삶의 風波 속으로 나오라’는 句節에선 絶對者 앞에서 실존적 問答을 찾았던 틸리히를 느낄 수 있다. ‘可能한 것 속에 떠 있지 말고 勇敢하게 現實的인 것을 붙잡으라/ 自由는 事故의 逃避 속에 있지 않고 오직 行動 속에만 있다’는 句節에선 不義에 맞서고자 暴力도 收容했던 니버의 現實主義가 번뜩인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誡命과 信仰만을 依支하라/ 그리하면 自由는 기쁨으로 네 靈魂을 맞이하리라’는 句節에선 말씀과 啓示의 하나님을 燈불로 삼았던 바르트가 보이지 않는가.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