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未來 戰場서 軍用 배터리 ‘退出’|新東亞

未來 戰場서 軍用 배터리 ‘退出’

  • 이정호 / 동아사이언스 記者 sunrise@donga.com

    入力 2009-09-03 14:20: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미래 전장서 군용 배터리 ‘퇴출’
    健康에 對한 關心이 中年層을 中心으로 高調되면서 最近 저녁이면 달리기에 熱中하는 이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가벼운 트레이닝服 차림으로 江邊이나 河川 近處의 平坦한 길을 따라 뛰는 이들의 모습은 살기 좋은 洞네의 象徵으로 꼽히기도 한다.

    하지만 달리기가 늘 ‘레저’의 手段인 것은 아니다. 또 다른 目的의 달리기가 必要한 곳도 있다. 바로 軍隊다. 軍隊에서 달리기는 武器와 裝備를 둘러 메고 迅速히 移動하는 方法이다. 攻擊이나 防禦에 유리한 地點을 敵보다 먼저 찾으려면 빠른 발은 必須라는 얘기다.

    問題는 軍用 背囊의 무게. 背囊 안에는 洋襪, 속옷, 軍服부터 軍靴, 携帶用 삽까지 갖가지 物品이 들어 있다. 많은 가짓數에 따른 엄청난 무게 탓에 軍人의 移動 速度를 늦추는 重要한 原因이 된다. 하지만 戰鬪에 꼭 必要한 物件들이라 어느 것 하나 뺄 수도 없다.

    그런데 海外의 한 硏究陣이 最近 軍用 電氣·電子 裝備에 들어가는 배터리를 退出시켜 背囊의 무게를 줄이는 方案을 推進하고 있어 話題다. 英國 리즈代 硏究팀은 兵士들이 걸을 때 생기는 衝擊을 轉機로 만드는 方法을 150萬달러(18億원)를 들여 開發 中이라고 밝혔다. 이렇게 만든 電氣로 軍用 照明燈과 無電機를 켜겠다는 것. 배터리 代身 一種의 超小型 發電機를 만들어 兵士들에게 支給하겠다는 얘기다.

    硏究팀이 ‘軍用 背囊 輕量化’라는 課題에 ‘배터리 退出, 超小型 發電機 開發’이라는 答을 내놓은 데에는 理由가 있다. 軍用 裝備는 最高의 性能을 發揮하도록 設計된다. 그 結果 電力 消耗量이 엄청나기 때문에 배터리 무게도 ‘헤비級’이다. 最近 들어 이런 傾向은 더 以上 放置할 수 없는 水準에 이르렀다. 영국군의 軍用 背囊 무게가 65kg인데, 그中 배터리가 10kg이나 차지하는 것이 한 事例다. 이를 줄이면 兵士들은 무게가 15% 줄어든 背囊을 멜 수 있다. 그러면 移動 速度가 빨라져 戰鬪에서 勝利할 確率도 높아진다.



    그렇다면 兵士가 그냥 걷기만 해도 電氣가 만들어지는 理由는 뭘까. 그 祕密은 ‘壓電 效果’에 있다. 이 效果는 말 그대로 힘을 줘 누르면 電氣가 생기는 것으로 修正을 비롯한 몇몇 鑛物에서 일어난다. 발이 땅에 닿을 때의 衝擊이 만든 機械的 에너지가 電氣 에너지로 바뀌는 것이다. 硏究팀은 兵士들의 무릎 保護臺 안에 壓電 效果가 나타나는 鑛物을 집어넣을 計劃이다.

    萬若 壓電 效果를 利用한 超小型 發電機를 쓰지 않은 채 배터리 무게만큼 背囊에서 物件을 덜어낸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그 兵士는 携帶用 삽이 없어 塹壕를 파지 못하거나 갈아 신을 戰鬪靴가 없어 젖은 발을 말릴 수 없을 것이다. 飯盒이 없어 食事를 못할 수도 있다. 어떤 狀況이든 正常的인 戰鬪가 不可能하다.

    리즈代 硏究팀의 앤드루 벨 敎授는 兵士마다 다른 걸음걸이가 電力 生産에 影響을 끼칠 可能性이 있다고 밝힌다. 하지만 그 程度의 問題는 技術的으로 克服할 수 있을 것으로 展望된다. 戰場에 스며드는 하이테크 技術이 어디까지 發展할지 歸趨가 注目된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