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음에 이르는 誘惑, 그 悲壯한 魅惑과 恐怖|新東亞

죽음에 이르는 誘惑, 그 悲壯한 魅惑과 恐怖

롤리타 vs 살로메

  • 정여울│文學評論家 suburbs@hanmail.net│

    入力 2010-10-01 17:52: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고약한 妖精은 살로메에게
    • 單 하나의 才能만을 줬다.
    • 그것은 바로 사랑받고 싶은
    • 欲望이라는 危險한 才能이다.
    • - 피에르 라로, ‘라모에서 라벨까지’ 中에서
    • 사람은 눈으로 볼 수는 없으나
    • 記憶에는 남아 있는 어떤 理想型을
    • 닮은 對象을 만나면 사랑에 빠진다.
    • - 줄리아 크리스테바, ‘사랑의 歷史’ 中에서
    1 ‘바라보는 者’의 欲望이 탄생시킨 팜파탈

    죽음에 이르는 유혹, 그 비장한 매혹과 공포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小說 ‘롤리타’ 表紙.

    敵將(敵將) 홀로페르네스의 잘린 목을 들고 稀微하게 微笑 짓는 유디트, 삼손의 머리카락을 잘라 그의 怪力을 빼앗은 데릴라, 아름다운 춤 하나만으로 洗禮者 요한의 목을 베는 데 成功한 살로메, 한 男子의 人生을 송두리째 빼앗은 14歲 少女 롤리타…. 이렇듯 歷史를 뒤흔든 稀代의 팜파탈들의 共通點은 무엇일까.

    그女들은 ‘傳說的인 不道德性’과 ‘傳說的인 魅惑’을 同時에 지닌 女性이다. 그女들은 끊임없이 美術과 音樂, 小說과 映畫의 素材로 召喚되며 ‘죽음조차 不辭하는 誘惑’의 代價를 殘忍하게 보여준다. 그女들에 對한 두려움이 커질수록 魅惑 또한 同時에 커진다. 그女들의 아름다움은 보는 이의 道德的 判斷力을 마비시킨다. 그女들의 아름다움은 그 自體가 致命的 武器다. 特히 ‘롤리타’와 ‘살로메’는 出刊 當時에는 엄청난 社會的 反響을 일으켜 ‘禁書’로까지 내몰렸지만, 이제는 堂堂히 ‘苦戰’의 班列에 올라 팜파탈의 模範答案(?)을 보여준다.

    男性의 墮落, 男性의 判斷 錯誤에 對한 모든 責任을 女性에게 돌리는 行爲의 起源에는 살로메의 神話가 자리 잡고 있다. 살로메의 딸 이름을 ‘梅毒(syphilis)’이라 명명한 것에서 볼 수 있듯 ‘堪當할 수 없는 女性性’에 原罪를 뒤집어씌우는 行爲는 到處에서 發見된다. 그것은 理性을 마비시키고 日常을 破壞하는 아름다움에 對한 根源的인 恐怖에서 비롯된다. 抵抗할 수 없는 아름다움은 ‘警戒’의 對象이지만, 禁忌에 갇힐수록 더욱 아름다워지는 그女들의 魅惑은 藝術家들의 永遠한 뮤즈다.

    實際로 살로메에 對한 이야기는 聖經에서 매우 짧게 言及된다. 게다가 國王 헤롯이 洗禮者 요한을 斬首하도록 만든 그 傳說的인 ‘춤’ 自體에 對한 描寫는 한 줄도 찾을 수 없다. 그러나 畫家와 音樂家, 小說家와 映畫監督들은 存在하지 않는 살로메의 춤을, 聖經의 餘白을 自身들의 創造的 想像力으로 메우기를 躊躇하지 않았다. 살로메의 춤이 얼마나 아름다웠는지는 現實의 描寫가 아니라 幻想의 創造일 수밖에 없었다. 살로메의 아름다움은 보이는 者가 아니라 바라보는 者의 視線에서 만들어지는 事後的 아름다움이었던 것이다.



    이 텅 빈 魅惑의 震源地는 어디일까. 살로메는 單 한 句節의 말(“洗禮者 요한의 머리를 錚盤에 담아서 이리 가져다 주십시오”)과 알 수 없는 춤의 主人公일 뿐인데, 그女를 다룬 文學作品과 繪畫와 音樂이 數도 없이 쏟아져 나왔으며, 그女는 한 時代를 뒤흔든 世紀의 裁判(1895年 오스카 와일드가 이 作品으로 인해 有罪判決을 받는다)의 主人公이 되기도 했다.

    죽음에 이르는 유혹, 그 비장한 매혹과 공포

    클림트의 ‘유디트’. 클림트는 이 作品을 통해 수많은 살로메의 致命的 魅惑의 原形을 畫幅에 담는 데 成功했다.

    그女는 정작 아무 말이 없는데 男性들은 그들이 想像하는 모든 魅惑의 이미지를 살로메라는 텅 빈 記票에 透射한다. 그女는 聖經의 單 한 場面에 出演했지만 ‘與信’의 모든 條件을 갖추게 됐다. 그女는 어쩌면 무서운 어머니의 命令(聖經에는 살로메가 그女의 어머니 헤로디아의 命令에 따라 國王 헤롯에게 요한의 잘린 머리를 要求하는 것으로 나온다)에 따를 수밖에 없는 純眞한 處女에 不過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그女는 ‘춤’ 하나로 一國의 王을 뒤흔들고, ‘춤’ 하나로 마침내 歷史의 主人公 班列에 오르게 됐다는 點이다.

    後代의 男性들은 그女의 不可解한 魅力, 復元 不可能한 춤을 向해 그들이 想像하는 모든 魅惑의 幻想을 透射한다. 이 神話는 聖經의 너무 많은 餘白과 沈默 속에서 궁금症을 더욱 誘發시켰다. 그 춤에 對한 어떤 描寫도 없지만 그 텅 빈 餘白 속으로 作家들은 그들이 想像할 수 있는 모든 魅惑의 몸짓을 그려 넣었다. 살로메는 但只 聖經에 登場하는 特定 人物이 아니다. 살로메는 팜파탈의 原型이자 象徵으로 자리 잡았다. 클림트의 ‘유디트’는 이 수많은 살로메‘들’의 致命的 魅惑의 原形을 그 작은 畫幅에 담아 넣는 데 成功했다.

    오르가슴에 到達하기 直前, 그 느낌의 根源을 探索하려는 눈빛이다. 입술은 살짝 벌려져 있어 緊張이 풀려 있음을 보여준다. 풀어헤쳐진 앞가슴은 살색이 아니라 푸른빛이다. 뭉개듯이 隱隱하게 비추어내는 푸른빛은 죽음의 기운이다. 그래서 유디트의 肉體는 屍體로 보인다. 屍體치고는 너무 魅惑的이다(아니면 屍體이기에 더 魅惑的인지도 모른다). 왼쪽 팔로는 그女가 베어버린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움켜쥐고 있다. 검은 머리의 男子는 눈을 감은 채 죽어 있다. 유디트는 敵將 홀로페르네스와 섹스를 하다가 목을 베었다. 그런데 목을 벤 後에도 情炎의 餘韻이 남아 있는 것인지 아니면 목을 베는 瞬間 비로소 오르가슴에 이르렀는지는 알 수 없다.

    -金英夏, ‘나는 나를 破壞할 權利가 있다’ 中에서

    2 解釋할수록 더 神祕해지는 그女들

    죽음에 이르는 유혹, 그 비장한 매혹과 공포

    女性 畫家 아르테미시아의 ‘홀로페르네스의 목을 베는 유디트’. 섬뜩하고 事實的인 描寫로 花壇에 큰 衝擊을 준 作品이다.

    그女들은 이브의 딸들이며 메두사의 姊妹들이다. 이브에게선 ‘原罪’라는 DNA를, 메두사에게선 ‘狂氣’와 ‘恐怖’라는 性格을 물려받았다. 무엇보다도 그女들의 가장 큰 武器는 拒否할 수 없는 사랑스러움이다. 롤리타와 살로메는 至毒한 아름다움과 至毒한 危險을 同時에 內包한 女性性의 代名詞가 됐다. 롤리타에게 빠진 男性 험버트는 살로메의 춤사위로 처형당한 요한처럼 ‘社會的으로’ 참수당한다. 그럼에도 如前히 그女를 사랑하는 것, 如前히 그女를 만나지 못하는 것이 그에게는 가장 큰 苦痛이다. 내가 가진 모든 것을 잃어도 그女 하나를 갖겠다는 欲望, 롤리타 콤플렉스의 核心은 바로 그 ‘끊어낼 수 없는 欲望’에 있다.

    험버트는 좋은 사람이 되려고 애썼다. 正말로 眞情으로 그는 그랬다. 그는 純粹하고 傷處받기 쉬운 平凡한 어린이들을 尊重했다. (…) 그러나 純粹한 아이들 가운데, 보는 것을 들키기만 해도, 沈沈한 눈, 밝은 입술로 十年은 監獄살이를 해야 하는 惡魔的 아이, 魅力的이고 陰凶한 아이를 훔쳐보기만 해도 얼마나 그의 가슴은 뛰었는가.

    -나보코프, ‘롤리타’ 中에서

    오스카 와일드의 ‘살로메’는 ‘모든 性的 倒錯症의 集合所’라는 非難을 받았으며 ‘350年 以來 유럽에서 가장 强力한 惡의 勢力’이라는 非難까지 甘受했다. 와일드에 對한 敵對感은 매카시즘의 狂風처럼 한 作家를 ‘異端’으로 몰아 ‘正常的 社會’로부터 追放시켰다. 實際로는 變態 性慾은커녕 에로틱한 場面조차 매우 制限的으로 描寫돼 있는데도 살로메는 ‘事後檢閱’로 裁判을 받았다. 와일드가 다시 쓴 살로메는 어머니 헤로디아의 命令과는 獨立的으로 요한을 사랑했으며 요한의 죽은 머리에 키스하는 衝擊的인 場面을 演出해내 社會的 物議를 일으켰다. 와일드를 攻擊하는 者들은 갖은 罪目을 捏造해 그를 犯罪者로 몰아갔지만, 作家의 作品을 保護할 수 있는 社會的 裝置는 겨우 ‘藝術性’이라는 不安한 버팀木뿐이었다.

    흥미로운 것은 롤리타와 살로메를 그린 作品들에서 共通的으로 發見되는, 그女들의 ‘視線’의 方向性이다. 롤리타度, 살로메도 정작 그女들의 視線은 男性의 삶 自體를 向해 있지 않다. 男性들은 그들 自身의 삶의 모든 缺乏을, 모든 不滿을, 모든 禁忌를 그女들을 통해 충족시키려 한다. 그들이 목마르게 願하는 그 모든 것을 그女들은 반드시 가지고 있으리라 믿으며.

    하지만 그것은 그들의 幻想이 탄생시킨 虛構的 魅惑일 뿐 ‘그女들의 現實’은 아니다. 그들이 그토록 渴求하는 女性의 魅力을, 男性의 渴症을 그女들은 정작 모르거나 無關心하다. 그들을 魅惑의 主人公으로 만드는 것은 男性 스스로의 渴症과 欲望의 視線이지 그女들의 意圖가 아니다. 그런데 정작 神奇한 것은 그 모든 事實을 認定하고 나서도 그女들은 如前히 魅惑的이라는 것, 그女들을 向한 人類의 幻想은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느님의 想像力이 이브를 創造했듯이, 이 男性들의 ‘幻想’이야말로 그女 롤리타-님펫(nymphet·性的 魅力을 지닌 女子아이)의 形象을 創造하는 피그말리온의 손길이다. 그러나 그女를 向한 欲望이 全的으로 그 男子 自身만의 一方的인 것임이 밝혀졌을 때, 彫刻像에조차 生命을 불어넣는 피그말리온의 손길은 살아 있는 모든 被造物을 죽은 黃金으로 만드는 미다스의 손길이 돼버린다. 이 不可能한 사랑의 끝은 어김없이 破局으로 치닫는다.

    나는 살로메의 춤이 내게 불러일으킨 두려움 때문에 괴로워하고 있다! 나는 그것을 疏忽히 다루기가 두렵다.

    -플로베르의 個人 書信 中에서

    3 끝나지 않는 誘惑의 메시지

    롤리타, 내 삶의 빛이요, 내 生命의 불꽃. 나의 罪, 나의 靈魂 롤-里-타. 입天障을 세 番 굴러 세 番째는 이를 톡 치는 혀끝. 롤. 리. 타.

    -나보코프, ‘롤리타’ 中에서

    죽음에 이르는 유혹, 그 비장한 매혹과 공포

    R.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살로메’의 한 場面. 이 作品에는 官能的이면서 同時에 狂氣 어린 恐怖가 가득하다.

    小說 ‘롤리타’와 戱曲 ‘살로메’엔 男性을 ‘世上 끝’까지 몰아간 팜파탈들의 이야기에서 共通的으로 느껴지는 아름다움이 또 하나 있다. 그것은 ‘悲壯美’다. 이는 存在를 破壞해야만 얻을 수 있는 사랑이 發散하는 悲劇的 아름다움이기도 하지만, 그女들을 만나기 以前으로는 다시는 되돌릴 수 없는 時間에 對한 哀悼에서 나오는 悲壯美이기도 하다. ‘롤리타’와 ‘살로메’의 文學的 成就 中의 하나는 不道德한 사랑에 빠진 人間의 狂氣에 더할 수 없이 雄壯한 悲壯美를 附與했다는 點이다. 이 춤만 끝나면 只今 이 瞬間 죽어도 좋을 것만 같은 悲壯美를 풍기는 살로메의 그림들 또한 마찬가지의 悲劇的 아름다움을 發散한다.

    롤리타에 對한 험버트의 사랑은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故鄕(亡命, 卽 政治的 죽음)에 對한 補償받지 못하는 그리움과 얽혀 있다. 記憶 속의 첫사랑을 永遠히 다시 찾을 수 없듯이, 그는 故鄕(亡命 以前의 故鄕, 只今은 永遠히 되돌릴 수 없는 곳, 그의 記憶 속에서만 살아 있는 곳)으로 돌아갈 수 없다. 그 抑壓된 그리움의 深淵이 깊어질수록, 험버트가 亡命生活에 適應하기 위해 故鄕과 過去의 存在 自體를 잊으려 할수록, 그는 아무것으로도 代替할 수 없는 巨大한 缺乏을 채워줄 存在 롤리타에 執着하게 된다. 플로베르가 그려낸 살로메는 팜파탈을 向한 魅惑과 喜悅을, 그女를 보는 瞬間 自身의 正體性조차 잃어버리는 人間의 視線을 이렇게 描寫한다. 이런 ‘忘我的 喜悅’은 팜파탈型 女性을 向한 典型的인 描寫로 자리매김했다.

    눈꺼풀을 半쯤 뜬 그女는 허리를 비틀어 꼬며 배를 넘실거리며 물결치게 하여 가슴을 출렁이게 만든다. 그女의 얼굴에는 變化가 없고 두 다리는 멈추지 않았다. (…) 四方으로 몸을 뒤로 젖히는 그女는 마치 비바람에 흔들리는 한 떨기 꽃과 같다. 그女의 귀에 달린 裝身具가 번쩍이고 등 뒤의 천은 아롱거린다. 그女의 팔과 다리, 옷에서는 男子들의 가슴을 불타게 만드는 보이지 않는 光彩가 용솟음친다.

    -플로베르, ‘헤로디아’ 中에서

    그러나 살로메를 ‘제대로’ 描寫하는 것은 永遠히 不可能할 것이다. 남아 있는 聖經에는 그女에 對한 ‘正確한’ 描寫를 全혀 찾을 수 없다. 永遠한 再現 不可能性 때문에 그女는 더더욱 오래오래 새로운 藝術作品의 뮤즈가 될 것이다. 그女의 춤은 아직 추어지지 않았으며 그女의 誘惑은 아직 始作되지도 않았을지 모른다. 살로메와 롤리타는 모든 禁止된 것을 向한 不可能한 사랑을 含蓄하는 뜨거운 象徵으로 살아 숨 쉬고 있다. 돌이킬 수 없는 모든 現實로부터 逃避하고 싶을 때, 우리는 不可能한 사랑을 向한 渴望에 中毒되는 것이 아닐까.

    그女는 나에게 嫌惡感을 불러일으키고, 나는 그女를 讚美한다.

    -로맹 롤랑, ‘日記(Journal)’ 中에서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