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 짓는 휴머니스트 建築家 流乞|新東亞

집 짓는 휴머니스트 建築家 流乞

“젊을 땐 디자인을 봤지만 이젠 사람을 생각해요”

  • 글·移設 記者 snow@donga.com / 寫眞·김형우 記者 free217@donga.com

    入力 2008-04-03 17:26: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40年 建築 외길을 걸어온 白髮 星星한 建築家. 오늘도 손가락에 鉛筆心을 묻혀가며 作業에 熱心이다. 江山이 네 番 變한 歲月인데 혹 ‘밥벌이’가 지겹지는 않을까. 아니, 오히려 時間이 지날수록 집 짓는 재미가 새록새록하단다. 처음엔 디자인을 봤지만 이제는 建築物 속의 사람을 생각한다. 그러니 意欲도 보람도 예전과 비할 바 아니다.
    집 짓는 휴머니스트 건축가 유걸
    “技術만으로는 좋은 建築家가 될 수 없어요. 사람과 社會를 理解하는 眼目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建築物이 빛을 發하고, 그것을 利用하는 사람의 滿足度도 높아집니다. 좋은 建築物은 사람을 幸福하게 합니다.”

    建築事務所 아이아크 代表 流乞(杰·68)氏. 40年 經歷을 쌓아온 그는 建築에 對해 이야기하는 내내 ‘사람’을 强調했다. 그가 생각하는 좋은 建築物이란 窮極的으로 ‘創意的인 生活을 끌어낼 수 있는 建築’. 이를 위해 建築家는 設計부터 施工까지 오롯이 그속에서 生活할 사람을 생각해야 한다. 예컨대 敎會 하나를 짓기 위해서 牧師, 長老, 敎人들을 두루 만나 疏通하고 交感하는 式이다.

    柳氏는 아이아크 建築家 40名과 함께 프로젝트 더미에 싸여 산다. 요즘은 더 바빠졌다. 서울市 新廳舍 設計를 맡아서다. 노(老)建築家는 公募에 出品하지 않는다는 룰을 깨고 新廳舍 公募에 參加해 堂堂히 當選됐다.

    집 짓는 휴머니스트 건축가 유걸

    2011年頃 完工 豫定인 서울市 新廳舍 模型을 다듬고 있다. 水平型의 新廳舍 建物 앞部分은 韓屋 처마의 曲線을 借用해 傳統美를 살렸다.(좌) 柳氏는 “좋은 建築家가 되려면 社會·心理·政治 等 多樣한 分野를 끊임없이 探究해야 한다”고 말한다.(우)



    집 짓는 휴머니스트 건축가 유걸

    兪氏 夫婦는 京畿道 龍仁에 산다. 夫人 박혜란氏는 서울대 建築工學科 動機.

    그가 디자인한 新廳舍는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水平型 建物. ‘官廳社는 威容 있는 高層빌딩이어야 한다’는 固定觀念을 깼다. 驛이나 터미널처럼 市民들이 거리낌 없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한 親(親)市民的 디자인이다. 審査委員들이 이런 ‘哲學 있는 破格’을 높이 샀다는 後聞이다.



    新廳舍 公募에 當選돼 그의 이름이 알려지자 言論은 古稀(古稀)를 앞둔 그의 나이에 注目했다. 우리 建築界에선 60歲가 넘으면 大槪 스케치를 접는다. 그의 行跡은 正反對인 셈이다. 이에 그는 “外國에선 建築家들 間의 競爭이 워낙 甚해 70歲가 넘어서야 認定받는 이가 수두룩하다”고 말한다.

    建築家라는 職業에 對해 묻자 그는 瞬間의 망설임도 없이 “宏壯히 재미있다, 나와 아주 잘 맞는다”고 말했다. 平生의 ‘즐거운 밥벌이’가 됐지만 이 일을 始作한 契機는 多少 심심하다.

    “아버지(유형목)께서 西洋美術을 하셨어요. 日本 와세다대에서 工夫한 1世代 畫家시죠. 그 影響으로 저도 嘲笑에 關心을 가졌어요. 그런데 美術을 하면 돈을 많이 못 벌겠더라고요. 그래서 하는 일은 비슷하지만 돈벌이가 좋을 것 같은 建築工學科에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實際 벌이가 좋은 건 아니더라고요. 하하.”

    집 짓는 휴머니스트 건축가 유걸

    一週日에 두 番 서울對 建築學科 學生들의 卒業作品 設計를 指導한다.(좌)

    1963年 서울대 建築工學科를 卒業했다. 卒業 後 이광로 先生과 金壽根 先生의 建築硏究所에서 일했다. 그러다 더 넓은 世上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에 1970年 家族과 함께 渡美한다. 그곳에서도 rnl이라는 會社에 就職해 繼續 建築일을 했다. 1985年 올림픽選手村 建設에 關與하는 親舊 일을 돕기 위해 韓國에 온 뒤 美國과 韓國을 오가다가 2002年 慶熙大 建築造景專門大學院 敎授를 맡으면서 競技도 龍仁에 定着했다. 韓美 두 나라에서 活動한 그는 瘠薄한 國內 建築 土壤을 아쉬워했다.

    “外國 言論에는 建築만 다루는 섹션이 있습니다. 建築 批評家도 活潑히 活動하지요. 새로운 디자인에 對한 意見도 나누고 批評도 합니다. 美術 섹션에서 作品을 紹介하고 論하는 것처럼요.”

    무엇보다 建築에 對한 社會의 關心이 建築 競爭力을 높이는 모티프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期待値에 따라 建築家의 意欲과 結果物의 水準이 달라진다. 建築을 보는 一般人의 眼目이 높아져야 建築主의 要求를 뛰어넘은 建築, 創造性과 藝術性을 兼備한 建築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그가 가장 좋아하는 國內 建築物은 서울 서대문구 合同에 있는 프랑스大使館. 고(故) 金重業 先生의 作品으로 1962年에 完工됐다.

    “西歐 建築은 自尊(自存)하지만 韓國 建築은 여러 것의 한 部分으로 存在해요. 調和의 建築이지요. 釋迦塔과 多寶塔이 서로에 依해 有名해진 것처럼요. 프랑스大使館은 現代建築物이지만 韓國人의 情緖가 기막히게 녹아 있어요. 金重業 先生께서 完工 뒤 몇몇 知人을 招請해 뿌듯해 하시던 게 눈에 선합니다.”

    柳氏의 建築은 ‘空間活用이 自由롭고, 生活하면서 새로운 面들을 發見하게 된다’는 評價를 받는다. 그 亦是 “젊은 時節에는 디자인과 造形에 關心이 기울었지만, 只今은 사람과 建築物의 宮合에 마음이 간다”고 말한다. “내 魂을 쏟은 建築物 속에서 幸福해 하는 사람들을 볼 때가 가장 기쁘다”고 말하는 그의 얼굴에 어린아이 같은 天眞함이 스쳤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