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國에 싹튼 人文學의 뿌리는?|신동아

韓國에 싹튼 人文學의 뿌리는?

  • 고승철│저널리스트·高麗大 미디어學部 講師 koyou33@empas.com

    入力 2011-05-19 17:54: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한국에 싹튼 인문학의 뿌리는?

    人文學의 싹<br>김기승 等 12名 지음, 人物과사상사, 419쪽, 1萬6000원

    디드로, 달랑베르…. 記憶力이 좋은 사람이라면 이들이 프랑스 百科全書派 人物임을 떠올리리라. 18世紀에 그들은 當時의 다양한 知識을 集大成해 本文 19卷, 圖版 11卷 規模의 大規模 百科事典을 만들었다. 市民을 啓蒙하기 위해 만든 이 百科事典은 프랑스革命의 불씨로 作用하기도 했다. 그냥 知識만 모은 게 아니라 批判精神을 담았기에 讀者들은 이 冊을 읽고 夢寐 狀態에서 벗어났다. 執筆者들은 討論, 講演 等의 熾烈한 過程을 거쳐 原稿를 作成했다.

    21世紀 들어 프랑스에서는 옛 百科全書派의 精神을 이어받자는 움직임이 있었다.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아 새 知識을 總網羅해서 市民에게 傳達하자는 뜻에서 大衆을 위한 講演會가 열렸다. 2000年 1月1日부터 12月31日까지 하루도 빠지지 않고 美術學校의 메카인 에콜 데 보자르에서 進行됐다. 그해는 2月이 29日까지 있었으니 1年이 366日이었다. 366個 講義가 묶여 ‘文化란 무엇인가’라는 冊으로 出版됐다. 韓國에서도 飜譯돼 나왔다. 講演을 整理한 것이니만큼 生動感이 돋보인다.

    先進國에서는 이처럼 講演 內容을 冊으로 묶어내는 事例가 흔하다. 이런 冊이 名著 班列에 오르는 境遇도 적잖다. 歷史學을 理解하는 데 손에 꼽히는 名著인 ‘歷史란 무엇인가’도 著者 E. H. 카의 講演集이다. 美國 컬럼비아대 敎授로 活動하며 西歐中心主義를 猛烈히 批判했던 에드워드 사이드의 講演집 ‘抵抗의 人文學’은 ‘오리엔탈리즘’에 버금가는 代表作으로 꼽힌다. 現代 美術理論을 定立하는 데 큼직한 기둥 하나를 세운 美學者 에르빈 파노프스키는 ‘道上解析學 硏究’라는 代表的 講演資料集을 남겼다.

    講演을 整理한 冊의 長點은 생생한 現場感이 느껴진다는 點이다. 口語體로 技術되니 理解하기 쉬운 便이다. 質疑應答을 덧붙이면 現場感은 더욱 두드러진다. 老鍊한 著者나 編輯者는 現場 雰圍氣를 잘 描寫해서 讀者가 오디오뿐 아니라 비디오도 보는 것처럼 느끼게 한다. 聽衆 가운데 가끔 ‘在野의 固守’가 앉아 있다. 그는 날카로운 質問을 던져 發表者의 肝膽을 서늘하게 한다.

    서울 종로구 季冬에 ‘人文學博物館’이라는 곳이 있다. 普通名詞 같지만 特定 博物館을 指稱하는 固有名詞다. 地下鐵 3號線 안국역에서 내려 고즈넉한 北村 韓屋마을길로 10餘 分 걸어가면 나타나는데 中央高校 構內에 자리 잡고 있다. 優雅한 石造 建物인 이곳에서는 近代化 資料를 展示하는 것말고도 人文學 敎養講座가 꾸준히 열린다. 講座는 1回省이지만 이를 整理한 書籍은 오랜 生命力을 가진다. 2010年 5月에는 ‘人文學 博物館에서’라는 冊이 나왔다. 人文學者 12名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主題로 講演 또는 大膽한 內容을 묶은 것이다. 이 冊에 이어 1年餘 만에 나온 ‘人文學의 싹’도 이곳에서 열린 大衆 講座를 整理한 冊이다.



    冊 題目에서도 斟酌할 수 있듯이 人文學이 어디에서 싹을 틔웠는지를 探究하는 內容이다.

    地域은 韓國. 時期는 近代 前後로 거슬러 올라간다. 싹을 품은 씨앗 12個를 골랐다. 이 冊의 副題는 ‘오늘의 韓國 人文學을 있게 한 人文古典 12線’이다. 이중환(1690~1756)의 ‘擇里志(擇里志)’처럼 널리 알려진 古典부터 北韓의 代表的인 국어학자인 홍기문(1903~92)의 ‘朝鮮神話硏究’까지 다루어 多樣性이 돋보인다. 人文學博物館 側은 南北韓의 人文學을 統合해 ‘우리의 思想史’로 再탄생시켰다고 밝혔다.

    먼저 ‘擇里志’를 살펴보자. 1751年에 나온 이 冊은 朝鮮 後期의 代表的인 人文地理書다. 從前의 다른 地理書들은 行政區域別로 敍述했는데 이 冊은 生活圈, 文化圈의 觀點에서 主題別로 나눠 說明했다. 마을의 立地를 決定하는 4代 條件으로 지리, 生理, 人心, 山水를 꼽았다. 여기서 ‘生理’는 物資의 生産 및 流通 環境을 말하는 것으로 經濟가 重要하다고 言及한 點이 두드러진다. 살기 좋은 곳으로는 小白山 아래쪽 安東權과 賞主權, 智異山 蟾津江 流域, 忠淸道 公主 等이 꼽혔다. 이중환 自身이 가장 살고 싶어한 곳은 小白山에서 喪主로 넘어가는 쪽에 있는 청화산이었다.

    國學 硏究者 安廓(1886~1946)李 쓴 ‘조선문명사’는 上古時代부터 朝鮮時代 末까지의 政治史를 다루었다. 副題가 ‘朝鮮政治史’다. 유럽의 先進 文明에서처럼 朝鮮時代에 鄕會, 村會 같은 自治制가 發達한 面이 자랑스럽다고 밝혔다. 水準 높은 여러 著書를 낸 安廓은 申采浩, 崔南善, 李光洙 等에 비해 生疏한 便인데 앞으로 그에 對한 새로운 評價가 必要하겠다. 講義를 맡은 류시현 全南大 HK敎授는 “安廓은 解放 後 近代 學問的 아카데미즘에 屬하지 못했기에 그의 朝鮮文化 硏究의 成果가 繼承되지 못한 面이 있다”고 說明했다.

    革命, 사랑, 아나키즘 追求한 朴烈

    開化期에 醫師, 敎育者로 活動한 이만규(1889~1978)가 쓴 ‘조선교육사’는 韓國에서는 처음으로 實證史學에 따라 敎育史를 살핀 冊이다. 畫廊도 敎育을 매우 높이 評價했고 敎育 面에서 日帝强占期를 民族敎育破滅기라고 規定했다. 著者는 경성의학교를 나와 開城에서 開業醫로 일했으나 敎育이 더 重要하다고 보고 培花女學校 等에서 25年間 敎鞭을 잡았다. ‘조선교육사’에 對한 講義를 進行한 正味量 博士는 “出刊된 지 60餘 年이 지났지만 現在 南北韓 大部分의 韓國敎育史 槪說書는 이 冊을 재인용하는 것만 봐도 古典의 位置에 오른 冊”이라 評價했다.

    有名한 無政府主義者 朴烈(1902~74)은 愛人이자 同志인 가네코 후미코와 함께 日本 國王을 테러로 除去하려다 붙잡혔다. 그는 裁判 過程에서 日本人 判事에게 半말을 하는 等 堂堂한 態度를 보였다. 日本 國王을 죽이려는 理由에 對해 條目條目 說明했다. 이에 唐慌한 判事는 非公開 裁判으로 얼른 바꾸었다. 朴烈은 死刑을 宣告받았지만 無期懲役으로 減刑돼 20餘 年間 日本에서 英語(囹圄)의 몸으로 지냈다. 光復 後 歸國한 그는 1948年에 出版한 ‘新朝鮮革命論’에서 우리 民族에 알맞은 民主主義와 左右分裂을 克服할 統一戰線을 强調했다. 아나키즘을 바탕으로 한 論理였다. 오제연 歷史問題硏究所 硏究員은 “革命, 사랑, 아나키즘 이 세 가지 單語가 朴烈의 삶을 가장 잘 보여주는 키워드”라고 말했다.

    韓國 最初의 마르크스주의 哲學者인 신남철(1907~58?)의 著書 ‘歷史哲學’은 같은 題目의 다른 冊과는 달리 熾烈한 現實參與意識과 歷史意識을 담았다. 경성제국대학에서 哲學을 專攻한 著者는 마르크스주의 理論家인 미야케 敎授에게서 影響을 받았다. 光復 後 서울對 敎授가 된 그는 1948年 1月에 이 ‘歷史哲學’을 펴낸다. 곧이어 5月에는 ‘轉換期의 理論’이라는 冊을 냈고 6月에는 越北한다. 6·25 때 그는 南韓에 내려와 서울市 文化部長 자리에 앉는다. 신남철은 避亂을 가지 못한 옛 同僚 박종홍 서울大 敎授와 遭遇했는데 北韓 體制에 若干 失望한 듯한 發言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解放期에 文學評論家로 活動하던 김동석(1913~53?)이 지은 ‘뿌르조아의 人間像’은 1949年 2月에 나온 評論서다. 4月에 裁判을 찍을 程度로 人氣를 끌었다. 安懷南, 김동리, 이광수, 金光均 等의 作品에 關한 評論을 收錄했다. 李光洙와 김동리 같은 右派 陣營의 作家에 對해 酷評을 퍼부었다. 김동석은 仁川 富者의 아들로 태어나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에서 工夫했다. 그는 ‘뿌르조아의 人間像’을 낸 後 몇 달이 지나 越北한다. 戰爭 때는 人民軍 通譯將校로 南韓에 왔는데 그 後로는 活動相이 알려지지 않았다.

    光復 前後에 國內 最高의 經濟史學者로 인정받던 백남운(1894~?)은 1949年 2月22日부터 4月7日까지 蘇聯을 訪問했다. 北韓의 內閣敎育上 資格으로 갔다. 蘇聯 訪問記를 整理한 冊이 ‘쏘련引上’이다. 講義 進行者인 이상호 博士는 “이 冊을 分析하면 當時 知識人의 最高峯인 백남운의 視角을 통해 北韓의 對外認識, 特히 社會主義 大國 蘇聯을 어떻게 把握했는지 알아볼 수 있다”고 말했다.

    言論人 배성룡(1896~1964)의 ‘농민독본’은 知識人 視角에서 農民 立場을 理解하려 努力한 冊이다. 김기승 순천향대 敎授는 “이 冊은 農民을 覺醒시켜 스스로 權益을 爭取하도록 도왔다는 點에서 ‘農民民主主義’를 이끌었다”고 評價했다.

    西歐 美學思想을 國內에 제대로 紹介한 先驅者 김태오(1903~76)는 1950年에 ‘美學槪論’ 初版을 펴냈다. 文筆家, 心理學者, 哲學者 等 다양한 活動을 한 著者는 獨逸 學風에 影響을 받아 心理學的 美學 分野에 穿鑿했다. 講義 進行者였던 陳重權 文化評論家는 “이 冊을 읽는 동안 한便으로는 지루했지만 當時에 이런 苦悶을 했다니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었다”고 높이 評價했다.

    北韓 學者 홍기문의 ‘朝鮮神話硏究’는 우리 古代史의 맨 앞을 차지하는 歷史를 正確히 보자는 意圖를 담은 冊이다. 神話를 歷史學的 立場에서 糾明한 最初의 試圖였기에 副題를 ‘朝鮮史料考證’이라 붙인 듯하다. 홍기문은 大河小說 ‘林꺽정’의 作家인 벽초 洪命憙의 長男이다.

    大邱에서 活動限 이종하(1913~2007)가 쓴 ‘우리 民衆의 勞動史’는 著者가 88歲이던 때인 2001年에 出版됐다. 영남대 敎授였던 著者는 嚴酷한 軍事獨裁 時節에 勞動者 團體들이 無償으로 事務室을 마련할 수 있도록 默默히 도와주었다. 이 冊은 民衆에 對한 著者의 사랑을 그득 담았다. 著者의 아들은 노무현 政府 時節에 靑瓦臺 政策室長을 지낸 이정우 경북대 敎授.

    12强이 進行되는 동안 眞摯하게 參與한 聽衆 가운데 數十 年 前 著者들과 直接 만난 분들이 있었다. 이들 元老 聽衆은 講師도 把握하지 못한 著者 關聯 에피소드를 紹介하기도 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