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C는 파레토 法則, 스마트폰은 롱테일 法則|新東亞

PC는 파레토 法則, 스마트폰은 롱테일 法則

모바일 인터넷의 眞正한 價値

  • 김지현│IT 칼럼니스트 http://oojoo.co.kr│

    入力 2010-10-05 10:26: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技術과 科學으로 包裝된 IT機器는 使用者를 빼놓고 생각할 수 없다. 窮極的으로 技術의 ‘끝’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다. 最近 注目받으며 成長 中인 스마트폰 또한 重要한 것은 그 技術이 아니라 使用者가 스마트폰을 어떻게 活用하는지다.

    스마트폰이 보여줄 비즈니스的 價値는 結局 使用者가 스마트폰을 使用하는 行態에서 찾을 수 있다. 모바일의 價値를 確認하기 위해 仔細히 들여다봐야 하는 것은 使用者의 스마트폰 使用 習慣이다. 使用者는 果然 3인치의 작은 畵面을 언제, 어디서, 얼마나 바라보게 될까. 이 解答을 찾는 곳에서 모바일의 價値를 豫見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언제 볼까?

    모바일을 使用하는 時間帶를 PC와 比較하면 前 時間帶에 걸쳐 均一하다는 것이 큰 差異點이다. 勿論 잠자는 時間代인 子正~아침 6時는 PC와 마찬가지로 使用量이 急激하게 줄어든다. 하지만 그 外의 時間帶는 PC처럼 들쑥날쑥하지 않다. PC는 아침 6時부터 인터넷 使用量이 漸次 늘기 始作해 9時가 되면 急激하게 늘어난다. 以後 11時 무렵부터 줄어들기 始作해 12時에 急落하고 午後 1時부터 다시 使用量이 늘어간다. 以後 2~3時에 잠깐 줄었다가 6時부터 持續的으로 下落한다. 이는 아침에 컴퓨터를 켜고 인터넷을 本格的으로 使用하다가 點心 즈음에 컴퓨터와 멀어지고, 다시 退勤 무렵인 6時에 컴퓨터를 끄는 一般的인 컴퓨터 使用 行態를 떠올리면 쉽게 豫測할 수 있다.

    反面 모바일 인터넷 使用量은 出勤 時間帶인 午前 8~9時에 急激하게 늘어난 뒤 持續的으로 늘어난다. 오히려 點心 무렵인 11~1時에 使用量이 많아지는 게 눈에 띈다. 點心食事를 하러 바깥에 나가 周邊의 맛집이나 地域情報를 檢索하는 境遇가 많기에 인터넷 使用量이 늘어나는 것이다. 午後 6時 以後 退勤 무렵부터 트래픽이 더 늘어나는 것도 特徵. 退勤하면서 스마트폰으로 交通情報 等을 檢索하고 버스, 地下鐵에서 뉴스 等의 콘텐츠를 消費하기 때문이다. 以後 9時부터 使用量이 小幅 下落하다가 11時가 되면 點心時間帶와 마찬가지로 使用量이 늘어난다. 이는 잠자리에서 잠이 잘 안 올 때 스마트폰으로 잠깐씩 인터넷을 使用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모바일 인터넷 使用 樣相은 PC와는 다른 패턴을 보인다. 가장 큰 差異點은 PC를 使用할 수 없는 場所, 時間帶에 인터넷 使用量이 많다는 것. 아울러 PC와는 달리 使用時間이 全體的으로 고르다는 點도 큰 特徵이다. PC와 달리 스마트폰은 늘 携帶하기에 그 어떤 디지털 디바이스보다도 使用者와의 接近性이 높다는 事實을 말해준다.

    PC 인터넷 트래픽은 週末에 크게 下落한다. 月曜日에 트래픽이 높은 反面 週末에는 다들 놀러 다니고 PC와 멀어지기에 그렇다. 하지만 모바일 트래픽은 오히려 週末에 上昇한다. 旅行을 가거나 外食을 하기 위해 나와서 모바일로 인터넷을 使用하는 境遇가 많다 보니 發生하는 現象이다. 特히 秋夕이나 설처럼 大單位로 移動하는 名節에는 모바일 트래픽이 急增한다. 特히 모바일 地圖와 같은 位置 基盤 檢索 서비스 使用量이 크게 增加하는 패턴을 보인다는 點도 興味롭다.

    PC는 파레토 법칙, 스마트폰은 롱테일 법칙

    平日 모바일웹과 PC WWW의 트래픽 推移

    PC는 파레토 법칙, 스마트폰은 롱테일 법칙

    休日 모바일웹과 PC WWW의 트래픽 推移



    스마트폰을 어디서 볼까?

    하루 24時間 中 언제 스마트폰을 主로 보는지 살펴보면서 알게 된 事實은 PC를 使用할 수 없는 곳, 接近性이 떨어지는 때에 主로 스마트폰을 使用한다는 點이다. 그렇다면 具體的으로 그 場所는 主로 어디일까.

    出退勤 時間帶에 모바일 인터넷 使用量이 많은 것은 그만큼 버스와 地下鐵에서 스마트폰을 많이 본다는 것을 뜻한다. 大部分의 스마트폰 使用 空間은 大衆交通手段日 것이다. 이러한 使用 패턴은 地下鐵에서 우리의 눈을 사로잡던 無價紙와 各種 地下鐵 廣告 效果에 影響을 줄 것이다. 勿論 雜誌, 新聞, 冊을 보는 時間도 줄어들게 만들 것이다.

    다음으로 거리, 커피숍, 쇼핑몰 等 移動이 잦은 場所에서 자투리 時間에 스마트폰을 利用한다. 距離나 커피숍에서 누군가를 기다리는 짧은 時間을 때우고자 스마트폰 畵面을 들여다보는 境遇가 늘고 있다. 或은 特定 場所를 찾거나 무엇인가 急하게 情報를 檢索하고자 이러한 場所에서 스마트폰을 使用하기도 한다. 쇼핑몰에서도 物件 購買를 위한 情報를 찾거나 價格比較를 위해 모바일 檢索을 즐겨 한다.

    재미있는 것은 PC가 있는 곳에서 모바일 인터넷을 쓰는 境遇도 많다는 事實. 집, 學校, 會社에서 스마트폰을 使用하는 頻度도 增加 推移를 보이고 있다. 집에서는 TV를 보거나 食事를 할 때, 或은 寢臺 위에서 스마트폰을 使用한다. 노트북을 使用하기에는 부담스럽고 잠깐 情報를 檢索하거나 時間을 때우고, 메일을 確認하는 目的으로 利用된다. 이러한 使用 行態는 學校의 공강時間, 會社의 會議 始作 煎이나 엘리베이터 等에서 目擊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얼마나 볼까?

    PC는 파레토 법칙, 스마트폰은 롱테일 법칙

    다양한 場所에서 使用되는 스마트폰.

    그렇다면 이러한 使用者의 스마트폰 使用 習慣이 모여서 하루 24時間 中 몇 時間이나 스마트폰을 보게 만들까. 이 時間이 많아질수록 거기에서 發生하는 비즈니스의 規模도 커지게 마련이다.

    筆者의 境遇를 例로 들면 하루 24時間 中에 어떤 스크린(TV, PC 모니터, 스마트폰 畵面, 아이패드, 電子冊 等)에 集中하는 時間은 10時間 남짓하다. 갈수록 스크린을 보는 時間이 많아지고 있다. 以前에는 스크린을 볼 수 없던 時間과 場所(버스, 地下鐵, 길거리, 食事 中)에서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 電子冊 같은 機器를 보는 時間이 늘었기 때문이다.

    事實 스마트폰을 使用하기 前만 해도 하루에 携帶電話 畵面을 보는 時間은 누군가와 通話를 하는 동안에 不過했다. 그 時間은 다 합쳐봐야 채 30分도 되지 않았다. 그런데 스마트폰을 使用하면서 하루 2時間 넘게 스마트폰 畵面을 보고 있다. PC를 보는 時間과 比較하면 아직 적다. 하지만 TV보다 많은 時間을 3인치 스마트폰 畵面을 보는 데 消費하고 있다.

    PC는 파레토 법칙, 스마트폰은 롱테일 법칙

    PC, TV, 스마트패드, 스마트폰 中 어느 것이 우리의 時間을 더 많이 차지하게 될까.

    筆者는 IT 專門 職場人이라 다양한 機器를 使用하고 있기에 이러한 데이터를 一般化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一般 使用者는 PC 앞에 앉아 있는 時間이 筆者보다 더 적을 것이다. 反面 携帶電話는 24時間 들고 다니기 때문에 PC보다 더 많이 볼 수 있다. 이러한 理由로 PC보다 스마트폰 畵面을 보는 時間은 繼續 늘게 될 것이다. 비록 이 時間이 PC를 보는 時間을 追越하지는 못할지라도 PC에 肉薄할 만큼 增加를 거듭할 것이다.

    무엇보다 PC를 보는 時間에서는 파레토의 法則(20%의 天才가 80%의 犯人(凡人)을 먹여 살림)처럼 一部 使用者가 큰 比重을 차지하겠지만, 스마트폰을 보는 時間에선 롱테일의 法則(그間 看過돼오던 80%의 犯人이 모여 莫大한 收益을 創出)처럼 많은 사람에 依해 平均 使用 時間이 늘게 되어 實際로 비즈니스 次元의 意味 있는 時間은 스마트폰이 더 큰 比重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