牙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正樂 (正樂) 牙箏
散調 (散調) 牙箏

牙箏 (牙箏)은 7絃으로 된 韓國 傳統의 擦絃樂器 中 하나로 가장 좁은 音域을 가진 低音 樂器다. 師傅(絲部) 樂器이며, 처음에는 唐樂(唐樂)에만 使用되었다. 소리는 깊고, 若干 거칠고 투박한 듯하면서도 莊嚴한 소리를 내며, 低音樂器로서 重要한 구실을 한다. 唐樂系와 享樂界 宴禮樂에 쓰이는데 最近에는 散調 等 民俗音樂에서도 쓰인다.

構造 및 由來 [ 編輯 ]

나무桶에 明紬실로 된 줄을 매어 활로 켜 소리를 낸다. 正樂 (正樂) 牙箏에는 10個의 줄이, 散調 (散調) 牙箏에는 7個의 줄이 있다. 활대는 개나리 나무 의 껍질을 벗겨 松津(松脂)을 묻혀 만든다.

中國에서 戛箏(軋箏)이란 이름으로 쓰이던 樂器로 高麗 때부터 唐樂에 쓰이던 것이 朝鮮王朝 때에는 享樂에도 널리 쓰이게 되었다. 길이 5字, 넓이 8치의 梧桐나무 桶에 7個의 줄을 얹었다. 머리쪽의 좌단(坐團)에 있는 絃枕(絃枕)과 꼬리쪽에 있는 絃枕에 7個의 줄을 얹고 雁足(雁足) 비슷한 기둥(柱)을 버티어 놓았다.

演奏 方法 [ 編輯 ]

본디 개나리나무로 된 활에 松津을 漆하여 줄을 켜지만 現在는 미루나무 等 다른 나무로 代替하여 使用하고 있다. 머리쪽 밑에는 발(足)이 있고 꼬리쪽 밑에는 雲足(雲足)이 있다. 오른손에 활을 쥐고 줄의 絃枕 가까이를 문질러 켜고 왼손은 食紙와 葬地로 기둥(柱) 가까이 줄을 눌러 弄絃(弄絃)한다. 演奏者 쪽에서 먼 쪽으로부터 第1絃, 第2絃...하고 부르는데 가장 굵은 第1縣에서부터 漸次 가늘어진다.

調絃法 (調絃法)은《 樂學軌範 》에 따르면 唐樂系 音樂에서 平調(平調) 調絃法이 있다. 鄕樂系 音樂에서는 平調 調絃法 및 界面調(界面調) 調絃法이 있다. [1]

各州 [ 編輯 ]

  1. '牙箏', 《글로벌 世界 大百科》

參考 資料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