牧胡의 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牧胡의 난

崔瑩의 高麗軍이 上陸했던 明月砲 海岸가
(遠景의 섬은 비양도)
날짜 恭愍王 23年( 1374年 ) 9月
場所
結果 高麗軍 의 壓勝
交戰國
高麗 몽골 牧胡
耽羅
指揮官
崔瑩 (崔瑩)
염흥방 (廉興邦)
이희필 (李希泌)
변안열 (?安烈)
목인길 (睦仁吉)
임견미 (林堅味)
지윤 (池奫)
나세 (羅世)
金柳 (金庾)
定龍 (丁龍)
임난수(林蘭秀) [1]
石質리필社 (石迭里必思)†
超孤獨佛畫 (肖古禿不花)†
觀音步 (觀音保)†
석다시만 (石多時萬)†
助長홀高孫 (趙莊忽古孫)†
兵力
戰艦 314隻, 軍事 25,605名 3千 以上?
被害 規模
? ?

牧胡의 난 (牧胡亂)은 高麗 공민왕 23年( 1374年 )에 當時 (元)의 牧場이 있던 耽羅 (오늘날의 濟州道)에서 말을 기르던 몽골族 牧者인 牧胡(下치)들이 주동해 일으킨 叛亂이다. [2] 하치의 난 ( 合赤의 亂 ) 또는 亂이 일어난 해의 干支를 따서 甲寅의 便 ( 甲寅의 變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背景 [ 編輯 ]

三別抄에 依한 大夢抗爭 이 鎭壓된 元宗 (元宗) 14年( 1273年 ) 以後, 원은 三別抄가 占據했던 耽羅 郡民摠管部 를 設置하고 다루가치 를 두어 다스렸으며, 충렬왕 (忠烈王) 3年( 1277年 )에는 皇室의 말을 耽羅에 放牧해 牧場을 設置하였다. 耽羅가 忠烈王 21年( 1295年 )에 高麗에 返還된 뒤에도 濟州島는 그대로 원 朝廷의 牧場 機能을 했는데, 이 牧場에서 말을 치는 몽골族 牧者들을 牧胡 (牧胡)라고 불렀다. [2]

牧胡의 數字는 많을 때는 1,400名에서 1,700名에 이르렀으며, 約 1百 年 동안을 濟州島에 駐屯하며 現地 住民들과 섞여 살면서 말 기르는 技術을 傳授하는가 하면 耽羅 女人과 婚姻해 子息을 두기도 했고 [3] 한便으로 耽羅에 派遣된 高麗 官吏들의 苛酷한 收奪과 不淨腐敗로 因한 耽羅 住民들의 反撥心을 巧妙히 煽動하여 高麗 朝廷에 叛亂을 일으키도록 劃策하기도 했다. [4]

恭愍王의 卽位와 더불어 班員政策이 施行되면서 濟州에서 牧胡와 高麗 官吏의 對立은 더욱 심해져 牧胡들이 高麗 官吏를 殺害하거나 院 本國에 要請해 萬戶府를 設置해줄 것을 要求하는 일도 있었다. 원을 北쪽으로 몰아내고 中國 大陸을 차지, 高麗와 修交한 (明)은 考慮에 對해 威壓的인 態度를 보이며, 北쪽으로 쫓겨간 원의 盞當( 北元 )을 치는데 必要한 濟州馬 (濟州馬) 2千 疋을 바칠 것을 考慮에 要求하였는데, 濟州 牧胡의 指導者였던 石質리필社 · 超孤獨不和 · 觀音步 等은 이에 反撥하여 "世祖(世祖) 皇帝( 쿠빌라이 칸 )께서 放牧하신 말을 우리가 어찌 敵國인 明에 보낼 수 있단 말인가?" [5] [2] 라며 350匹만 내어주었고, 明의 使臣의 抗議에 高麗 調整은 마침내 耽羅를 征伐할 것을 決定하였다.

經過 [ 編輯 ]

朝廷에서 牧胡 討伐을 위해 編成된 各 軍隊의 指揮官은 다음과 같다.

  • 양광全羅慶尙道統社(楊廣全羅慶尙都統使) - 崔瑩 (當時 門下贊成事)
  • 都兵馬使(都兵馬使) - 염흥방 (當時 密直提學)
  • 楊廣道元帥(楊廣道元帥) - 이희필 (上元帥, 當時 三司左使), 변안열 (副元帥, 當時 判密直司事)
  • 全羅道元帥(全羅道元帥) - 목인길 (上元帥, 當時 贊成事), 임견미 (副元帥, 當時 밀職)
  • 慶尙道怨讐(慶尙道元帥) - 지윤 (上元帥, 當時 판崇敬府使), 나세 (副元帥, 當時 동지밀직사사)
  • 三道助戰元帥(三道助戰元帥) 兼 西海都巡問使(西海都巡問使) - 金柳 (當時 指紋下士)

이들은 過去 紅巾賊의 亂 倭寇 (倭寇), 催乳의 난 等 잦은 戰亂을 鎭壓하고 平定하는 過程에 參與하고 得勢한 武人 勢力으로써 戰鬪 經驗이 많을 뿐더러, 出征軍으로 差出되기 前에는 모두 宰相級에 該當하는 2品 以上의 官職을 거쳤던 高位層들이었다. 動員된 戰艦은 모두 314隻으로 倭寇로부터 빼앗은 倍였으며 [6] 軍士는 總 25,605名이었다. 여기에 門下評理(門下評理) 류연과 知密直司事(知密直司事) 홍사우를 各各 楊廣道와 全羅道의 都巡問使로 삼아 머물러 지키면서 或是 있을지 모를 牧胡와 倭寇의 合勢, [5] [7] 內地 倭寇의 奇襲에 對備하도록 하였다.

崔瑩을 總司令官으로 한 高麗의 討伐軍은 8月에 羅州 (羅州)의 영산포 (榮山浦)에서 軍士들의 規律을 定했는데, 珍島 (珍島)를 出發한 뒤 추자도 (楸子島)에 이르기까지 보름 與間에 逆風이 부는 等 不純한 氣象與件에 西海都巡問使 김유의 割當 戰艦 1百 隻이 오지 않았다는 理由로 崔瑩은 珍島 벽파진의 檢算串에 좀 더 머무르려 하였으나, 다른 장수들이 崔瑩의 名에도 不拘하고 甫吉島 에서 배를 띄워 추자도로 向하는 바람에 최영도 뒤따라 出發할 수 밖에 없었고, 結局 추자도 隣近에서 風浪을 만나 艦船 相當數가 크게 破損되는 被害를 입었다. [5]

8月 28日에 明月砲(明月浦)에 到着한 高麗軍은 前任 濟州牧師 박윤청을 보내 耽羅 星州 와 王子(王子)를 懷柔하는 한便 牧胡들에게도 自進 降伏을 要求하면서 배 11隻에 타고 있던 高麗軍을 먼저 上陸시켰지만, 牧胡들은 崔瑩이 보낸 文書를 찢어버리며 協商을 拒否했고, 濟州에 上陸한 考慮軍도 明月砲에 布陣해 있던 牧胡 指導者 石質리필辭意 3千 騎兵에게 몰살당했다. 앞서 耽羅에 와서 머무르고 있던 高麗의 按撫使 以下生徒 牧胡의 손에 殺害되었다. 몇 番에 걸쳐 高麗에서 보낸 管理 引率君을 擊退한 적이 있는 목好意 氣勢는 騰騰했고 耽羅 住民 모두가 牧胡와 結託했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8] 에 軍士들이 進軍하지 않으려 하자, 崔瑩은 脾臟(裨將, 下級將校) 한 名을 兵士들이 보는 앞에서 목을 베어 조리돌려 보였고 그제서야 軍士들이 海岸에 上陸해 牧胡와 戰鬪를 치렀다.

외돌개 方面에서 바라본 범섬. 범섬으로 달아난 牧胡를 鎭壓하기 위해 崔瑩이 외돌개 바위를 將軍의 모습으로 治粧했고, 멀리서 이를 본 牧胡들은 大將軍이 陣을 친 것으로 알고 그만 怯에 질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傳한다.

30里까지 追擊해 들어간 高麗軍은 牧胡들의 말을 모두 빼앗아 騎兵隊를 갖추었으며, 明月砲(名월촌)를 始作으로 어름非, 밝은오름, 검은데기오름 方面에서 [6] 밤낮으로 戰鬪를 치렀고, 다시 明月砲로 돌아와 軍營을 두었을 때 牧胡 指導者인 石質리필社 等이 高麗軍을 새별오름 [5] [9] 으로 誘引해 決判을 내려 했으나, 이를 看破한 崔瑩은 軍士를 몰아 急히 追擊했고 [5] 守勢에 몰린 牧胡들은 年來(延來)와 紅爐(烘爐)를 [6] 거쳐 西歸浦 (西歸浦) 南쪽의 범섬 으로 달아났다.

崔瑩은 빠른 배 40隻을 모아 범섬을 包圍하게 한 뒤 精兵을 거느리고 범섬으로 들어갔고, 窮地에 몰린 石質리필社는 그의 세 아들을 데리고 나와 降伏하고 다른 牧胡 指導者 超孤獨不和와 觀音보는 벼랑에 뛰어내려 自決하였다. [5] [10]

崔瑩은 降伏한 石質리필社와 그의 세 아들을 모두 허리를 베어 處刑하고, 벼랑에서 自決한 나머지 두 牧胡 指導者의 屍身도 찾아내 목을 베었으며, 需給은 開京의 王에게 보내졌다. 남은 무리들은 招撫해서 良民으로 편입시켰는데, [6] 崔瑩에게 捕虜로 잡혔다가 달아난 석다시만(石多時萬) [5] [11] · 助長홀高孫(趙莊忽古孫) 等 105人은 다시 東쪽으로 달아나 동도(東道) 아막을 據點으로 籠城하였다. 崔瑩은 이마저도 擊破하고 逃亡치는 牧胡 무리를 샅샅이 찾아내 모두 죽였다. 이때 죽은 屍體가 들을 덮었다고 한다. [5]

牧胡들을 쳐부수고 거둔 戰利品 가운데 말 1,700匹 中 774匹은 現地 官印에게 맡겨서 기르게 하고, 錦貝(金牌)와 銀牌(銀牌), 人身(印信)은 濟州의 高麗 官員과 耽羅의 土着 指導者들에게 나눠주었다. 나머지 말을 가지고 9月 22日에 明月砲를 出發한 高麗軍은 火頉도(火脫島)에서 逆風이 불어서 明月砲로 回航, 다음날 다시 出港해서 추자도에 到着했으나 10月 5日에야 추자도를 出發해 風浪을 뚫고 小限度, 甫吉島, 珍島 等地를 거쳐 11月 3日에야 木浦 海岸에 到着할 수 있었고 그 渦中에 배에 실은 말 가운데 93匹이 風浪으로 죽었다. [6]

崔瑩이 濟州를 떠나고 13日만에 濟州 本土에서는 다시 現地 사람인 마적(馬賊) 차현油(車玄有)가 叛亂을 일으켜 官衙를 불사르고 崔瑩이 거두어 官에 맡겼던 말과 소를 죽여 잡아먹는 等 勢力을 떨치다가 王子 文身步(文臣輔)와 星州 高悉皆 (高實開)에 依해 한 달餘 만에 鎭壓되기도 하는 等 班考慮 · 反명 性向의 殘存勢力이 濟州에 한동안 存在했다.

影響 [ 編輯 ]

耽羅에서 일어난 牧胡의 亂을 鎭壓함으로써 그때까지 半은 高麗, 半은 몽골의 勢力 아래 있던 濟州는 完璧하게 考慮에 歸屬되었으나, 濟州는 前보다 더 많은 馬匹 貢納 要求에 시달렸다. 禑王 (禑王) 5年( 1379年 )부터 공양왕 (恭讓王) 4年( 1392年 )까지 高麗에서 明에 바친 約 3萬 匹의 말 가운데 2萬 匹 以上이 耽羅山 말이었다. 恭愍王 19年( 1370年 )에 高麗가 名에 《耽羅啓稟票》를 올려 濟州는 예전부터 高麗의 땅으로 몽골은 但只 濟州의 牧草地만을 빌려썼을 뿐이라는 過去의 緣故를 내세워 耽羅를 考慮令으로 承認해줄 것을 通知했을 때조차 名은 이를 바로 認定하거나 公式的으로 否認하는 立場을 밝히지는 않은 채 高麗를 强壓해 耽羅의 말만을 要求하였으나, 禑王 12年( 1386年 )에 事實上 말을 바치라는 耽羅 말 購買 意思를 高麗에 傳達했다가 이듬해에 撤回하면서 高麗 朝廷의 濟州道 領有權을 비로소 認定했다.

國內 情勢로써는 崔瑩이 濟州島로 내려가 있는 사이에 開京에서는 恭愍王이 弑害되었고, 明의 使臣 임밀과 채빈은 3百 匹의 말을 가지고 돌아가던 中 개주참(開州站)에서 護送을 맡았던 高麗의 管理 金義에 依해 被殺되어(김의는 事件 直後 北元으로 逃走), 高麗와 名의 外交關係는 險惡해지게 되었고, 名의 鐵嶺衛 (鐵嶺衛) 設置 通報에서 崔瑩 等에 依해 요동 征伐 試圖가 觸發되었다. 이때 八道都統使(八道都統使)로써 直接 征伐軍을 指揮하려는 崔瑩을 禑王은 "先王(恭愍王)李 弑害된 것은 警(崔瑩)李 南쪽(濟州)으로 征伐하러 나가서 開京에 아무도 없었기 때문" [5] 이라며 限死코 自身의 곁에 붙잡아두려 하였고, 結局 崔瑩 代身 요동征伐軍을 指揮하게 된 友軍都統使(右軍都統使) 李成桂 (李成桂)가 威化島 (威化島)에서 軍士를 돌려( 威化島 回軍 ) 崔瑩을 處刑하고 禑王을 廢位시킴으로써, 朝鮮 建國의 端初를 마련하게 된다.

牧胡의 欄에는 耽羅에 와있던 몽골人뿐 아니라 몽골人과 耽羅人 사이에 태어난 反(半)몽골化된 耽羅人들度 相當數 加擔했으나, 崔瑩의 高麗軍에 依해 亂이 鎭壓된 直後 차현油, 강백언(姜伯彦) 等과 牧胡 殘黨들에 依해 일어난 騷亂에서는 耽羅 住民들이 거의 同參하지 않았고, 叛亂 鎭壓도 濟州의 土着 勢力들에 依해 이루어졌다. 耽羅人들은 漸次 牧胡 殘黨을 排斥하고, 過去 몽골과 어우러져 살았던 事實조차 否定하려는 態度를 取하게 되었다. 朝鮮 太宗 17年( 1417年 )부터 世宗 2年( 1420年 )까지 濟州 대정현 (大靜縣)의 判官을 지냈던 하담(河澹)은 牧胡의 亂을 가리켜 "우리 同族도 아닌 것들이 섞여들어 甲寅의 便(牧胡의 난)을 불러왔다. 칼과 防牌가 바다를 메웠고 肝과 腦髓로 땅을 발랐으니, 말하자면 목이 멘다." [12] 고 하여 熾烈했던 戰亂의 모습을 回顧하였다.

參考資料 [ 編輯 ]

  • 김일우, 《高麗時代 耽羅史硏究》(2000), 신서원
  • 김일우 · 문소연 《濟州, 몽골을 만나다》(2013), 濟州文化藝術財團

各州 [ 編輯 ]

  1. 《宋子大全》(宋子大全) 卷164 비(碑) '임장군神道碑'
  2. 牧胡의 난
  3. 《新增東國輿地勝覽》權38 全羅道 濟州목 정의현兆.
  4. 《高麗史》勸第111, 熱前提24, 臨迫
  5. 《高麗史》勸第113, 최영전
  6. 《利文》權2, 濟州行病都評議使司新潮
  7. 이미 明의 洪武帝가 考慮에 對해 "耽羅 牧胡가 倭寇와 合勢하는 일을 警戒할 것"을 指摘한 바 있다(《고려사》권43, 恭愍王 23年 7月條).
  8. 牧胡의 飯器와 그 餘波가 이어진 30餘 年 동안 耽羅와 陸地를 오가는 商人들의 발길이 끊어지면서(《세종실록》권4, 世宗 元年 7月 丙辰兆) 이 때문에 相當數의 耽羅民들이 牧胡에 對抗하여 이들을 積極 拒否하는 活動을 벌였으나, 이러한 活動들은 陸地에 잘 알려지지 못한 채 '耽羅 住民이 모두 목號에 붙었다'는 推測만 茂盛했다.(김일우, 《高麗時代 耽羅社 硏究》 신서원, 2000, p.382~383)
  9. 새별오름의 漢文表記는 《高麗史》최영전에는 「曉星岳」, 《利文》에는 「曉星吾音」으로 되어 있다.
  10. 《利文》에는 石質리필사와 超孤獨佛畫, 觀音步 세 사람 모두 自決하였다고 했다.
  11. 《利文》에는 答室만(答失蠻)으로 되어 있다.
  12. 《新增東國輿地勝覽》勸第38 全羅道 濟州목 대정현兆.

關聯 作品 [ 編輯 ]

뮤지컬
  • 《범섬의 숨비소리》 2002年
小說
  • 이성준 《耽羅, 노을 속에 지다》(전2권) 圖書出版 各, 2015年 ISBN   978-89-6208-124-4
漫畫
  • 정용연 〈牧胡〉 무크지 《報告》(1號 ~ 5號) 圖書出版(週)휴머니스트, 2014年
    • 같은 著者, 《牧胡의 난:1374 濟州》딸기冊房, 2019年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