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Things Must Pass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All Things Must Pass》
조지 해리슨 正規 音盤
發賣日 1970年 11月 27日
錄音 1970年 5月 26日~10月 末
장르 [1] , 포크 록
길이 105 : 59
言語 英語
레이블 애플
프로듀서 조지 해리슨 , 필 스펙터
조지 해리슨 年表
Electronic Sound
(1969)
All Things Must Pass
(1970)
The Concert for Bangladesh
(1971)
專門家 評價
評價 點數
出處 點數
AllMusic 5/별[2]
Blender 5/별[3]
Christgau's Record Guide C [4]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4/별[5]
Mojo 5/별[6]
MusicHound Rock 5/5 [7]
Pitchfork 9.0/10 [8]
Q 5/별[9]
Rolling Stone 4.5/별[10]
Uncut 5/별[11]

All Things Must Pass 》는 英國 의 싱어송라이터 조지 해리슨 의 세 番째 스튜디오 音盤이다. 1970年 11月에 트리플 音盤으로 發賣된 이 音盤은 그해 4月 비틀즈가 解體된 後 해리슨의 첫 솔로 作品이었다. 히트 싱글 〈 My Sweet Lord 〉와 〈 What Is Life 〉는 勿論, 〈 Isn't It a Pity 〉와 같은 曲들과 비틀즈 가 發賣한 타이틀曲에 包含되지 않도록 看過되었던 曲들이 收錄되어 있다. 이 音盤은 해리슨이 1968年~70年 동안 밥 딜런 , 더 밴드 , 덜레이니 & 보니 , 빌리 프레스턴 과 같은 아티스트들과 함께 한 音樂 活動의 影響과 전 밴드 同僚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에 對한 助演을 넘어 아티스트로서의 成長을 反映한다. 《All Things Must Pass》는 해리슨의 特徵的인 슬라이드 其他 사운드와 그의 後續 솔로 作業 내내 存在하는 精神的인 主題를 紹介했다. 오리지널 바이닐 發賣는 두 曲의 LP와 《Apple Jam》이라는 題目의 非公式 잼 세 番째 디스크로 構成되었다. 몇몇 評論家들은 해리슨이 네 個의 庭園 料亭에 둘러싸인 모습을 담은 배리 파인스타인 의 音盤 커버 寫眞을 비틀즈로부터의 獨立에 對한 聲明으로 解釋한다.

1970年 5月 런던 EMI 스튜디오 에서 製作이 始作되었고, 10月까지 廣範圍한 오버더빙과 믹싱이 繼續되었다. 에릭 클랩튼 과 덜레이니 & 보니 밴드 멤버 3名, 링고 스타 , 게리 라이트 , 빌리 프레스턴 , 클라우스 부어만 , 존 바햄 , 배드핑거 , 피트 드레이크 가 錄音 中에 클랩튼과 데릭 앤 더 도미노스 를 結成했다. 세션은 더블 音盤의 追加 資料 價値를 만들어냈으며, 大部分은 發行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All Things Must Pass》는 全 世界 차트에서 오랫동안 1位를 維持하면서 發賣와 同時에 商業的으로 成功的이었다. 共同 프로듀서 필 스펙터 는 그의 月 오브 사운드 製作 技法을 使用하여 注目할 만한 效果를 얻었고, 《 롤링 스톤 》의 벤 거슨은 이 사운드를 " 바그너 , 브루크너 , 山꼭대기와 廣大한 地平線의 音樂"이라고 描寫했다. [12] 비틀즈 以後 해리슨의 데뷔에 對한 確信에 對한 廣範圍한 놀라움을 反映하여, 《 멜로디 메이커 》의 리처드 윌리엄스는 이 音盤을 말하는 寫眞에서 그레타 가르보 의 첫 役割에 比喩하고 "가르보는 말한다! 해리슨은 자유롭다!"라고 宣言했다. [13] 2011年 《 大衆音樂 百科事典 》에 寄稿한 콜린 라킨 에 따르면, 《All Things Must Pass》는 移轉 비틀즈의 모든 솔로 音盤 中 最高로 "일一般的로" 評價된다. [14]

해리슨은 生涯 마지막 해 동안 音盤 發賣 30周年을 記念하여 成功的인 再發賣 캠페인을 監督했다. 이 再發賣 以後, 美國 音盤 産業 協會 는 이 音盤을 6倍 플래티넘 認證했다. 이 音盤은 적어도 2百萬 張의 音盤이 팔리면서, 그 以後로 7倍나 플래티넘 認證을 받았다. 批評家들의 베스트 音盤 目錄에 登場한 것들 中, 《All Things Must Pass》는 1993年 《 타임스 》의 "歷史上 가장 偉大한 音盤 100張"에서 79位에 올랐고, 《 롤링 스톤 》은 雜誌의 2020年 업데이트 " 歷史上 가장 偉大한 音盤 500張 "에서 368位에 올랐다. 2014年, 《All Things Must Pass》는 그래미 名譽의 殿堂 에 獻額되었다.

背景 [ 編輯 ]

音樂 저널리스트 존 해리스는 1968年 末 비틀즈 自稱 더블 音盤 ("White Album"으로도 알려진)을 위한 辛辣한 세션 以後 美國 을 訪問했을 때 《All Things Must Pass》를 만들기 爲한 조지 해리슨의 "旅行"李 始作되었다고 말했다. [15] 11月 우드스톡 에서 [16] 해리슨은 밥 딜런 과 오래 持續되는 友情을 始作했고 존 레논 폴 매카트니 가 비틀즈에서 優位를 占한 것과 對照되는 밴드와의 創造的인 平等을 經驗했다. [17] [18] 그는 또한 더 많은 曲을 썼고 [19] , 印度 시타르 를 3年間 工夫한 後 기타에 對한 그의 關心을 새롭게 했다. [20] [21] 해리슨은 딜런과 함께 曲을 共同 作曲한 몇 안 되는 音樂家들 中 한 名일 뿐만 아니라 [15] , 最近 에릭 클랩튼 과 함께 1969年 봄 크림 의 히트 싱글이 된 [22] Badge 〉를 作業했다. [23]

해리슨의 《 Wonderwall Music 》 사운드트랙을 위한 《 빌보드 》 廣告 (1968年)

런던 으로 돌아온 해리슨은 自身의 作曲이 비틀즈의 發賣에 包含되는 것을 持續的으로 看過하면서 [24] [25] , 그의 音樂 傳記 作家인 사이먼 렝의 말에 따르면 밴드에서 그에게 賦課된 制限으로부터 "發想力" 役割을 한 課外 프로젝트에서 創意的인 成就를 發見했다. [26] 1969年 동안 그의 活動은 밴드의 音樂만큼 가스펠 의 뿌리가 《All Things Must Pass》에 影響力이 있는 것으로 立證된 두 名의 美國의 싱어송라이터 빌리 프레스턴 도리스 트로이 애플 사인을 製作하는 것을 包含했다. [27] 그는 또한 리언 러셀 [28] 잭 브루스 [29] 와 같은 아티스트들과 錄音을 했고, 클랩튼과 함께 덜레이니 브램里 , 덜레이니 & 보니 와 함께 짧은 투어에 同行했다. [30] 게다가 해리슨은 하레 크리슈나 運動 에 自身이 關與한 것을 1966年에 始作한 靈的 旅行을 나타내는 "直訴 퍼즐의 또 다른 조각"을 提供한 것으로 確認했다. [31] 해리슨은 힌두敎 비슈누파 分派를 包容할 뿐만 아니라 1969年~70年 동안 英國에 基盤을 둔 信者들에 依해 라다 크리슈나 寺院(런던)으로 認定받는 두 個의 히트 싱글을 製作했다. [32] 1970年 1月 [33] , 해리슨은 美國의 프로듀서 필 스펙터 존 레논 플라스틱 오노 밴드 싱글 〈 Instant Karma! 〉의 錄音에 參與하도록 招待했다. [34] [35] 이 協會는 스펙터에게 비틀즈의 《Get Back》 리허설 테이프를 回收하는 일을 맡겼고, 公式的으로 《 Let It Be 》 音盤 (1970年)으로 發賣되었고 [36] [37] , 以後 《All Things Must Pass》를 共同 製作했다. [38]

해리슨은 1969年 1月 트위크넘 스튜디오 에서 열린 性質 나쁜 《Get Back》 세션에서 自身의 使用되지 않은 노래의 솔로 音盤을 만들 可能性에 對해 처음으로 論議했다. [39] [40] 그의 26番째 生日인 2月 25日, 해리슨은 트위크넘에서 레논과 매카트니의 關心을 거의 받지 못한 두 曲의 〈 All Things Must Pass 〉 데모를 錄音했다. [41] [42] 1969年 9月 비틀즈의 《 Abbey Road 》 音盤에 이 曲들 中 하나인 〈 Something 〉과 〈 Here Comes the Sun 〉이 包含되면서, 音樂 批評家들은 해리슨이 레논과 매카트니와 어울리는 作曲家로 꽃피웠다고 認定했다. [43] [44] 그는 1969年 가을부터 自身의 音盤을 錄音하는 것에 對해 公開的으로 이야기하기 始作했지만 [45] [46] , 1970年 4月 매카트니가 비틀즈를 떠난다고 發表한 後에야 그 생각에 專念했다. [47] 매카트니의 自稱 솔로 音盤 弘報 資料의 一部로 包含된 이 發表는 밴드의 解體 를 알리는 信號彈이었다. [48] 해리슨은 大部分 器樂 사운드트랙 音盤인 《 Wonderwall Music 》 (1968年)과 實驗的인 《 Electronic Sound 》 (1969年)를 이미 만들었음에도 不拘하고 [49] , 《All Things Must Pass》를 그의 첫 솔로 音盤으로 생각했다. [50]

曲 目錄 [ 編輯 ]

모든 曲들은 특별한 言及이 없는 限 조지 해리슨 에 依해 作詞/作曲되었다.

오리지널 發賣 [ 編輯 ]

Side one
# 題目 作詞·作曲 再生 時間
1. I'd Have You Anytime 해리슨, 밥 딜런 2:56
2. My Sweet Lord   4:38
3. Wah-Wah   5:35
4. Isn't It a Pity (Version One)   7:10
Side two
# 題目 作詞·作曲 再生 時間
1. What Is Life   4:22
2. If Not for You 딜런 3:29
3. Behind That Locked Door   3:05
4. Let It Down   4:57
5. Run of the Mill   2:49
Side three
# 題目 再生 時間
1. Beware of Darkness 3:48
2. Apple Scruffs 3:04
3. Ballad of Sir Frankie Crisp (Let It Roll) 3:48
4. Awaiting on You All 2:45
5. All Things Must Pass 3:44
Side four
# 題目 再生 時間
1. I Dig Love 4:55
2. Art of Dying 3:37
3. Isn't It a Pity (Version Two) 4:45
4. Hear Me Lord 5:46
Side five (Apple Jam)
# 題目 作詞·作曲 再生 時間
1. Out of the Blue   11:14
2. It's Johnny's Birthday 빌 마틴 , 筆 콜터 , 해리슨 0:49
3. Plug Me In   3:18
Side six (Apple Jam)
# 題目 再生 時間
1. I Remember Jeep 8:07
2. Thanks for the Pepperoni 5:31

引證 [ 編輯 ]

國家 引證 販賣量/出荷量
캐나다 ( 뮤직 캐나다 ) [51] 골드 50,000 ^
덴마크 ( IFPI Danmark ) [52] 골드 10,000 이중 칼표
英國 ( BPI ) [53] 골드 100,000 ^
美國 ( RIAA ) [54] 7× 플래티넘 7,000,000 이중 칼표
^ 出荷量을 基盤으로 한 引證
이중 칼표販賣量+스트리밍을 基盤으로 한 引證

各州 [ 編輯 ]

  1. Moon, p. 346.
  2. Richie Unterberger, "George Harrison All Things Must Pass " , AllMusic (retrieved 28 April 2012).
  3. Paul Du Noyer, "Back Catalogue: George Harrison", Blender , April 2004, pp. 152?53.
  4. Christgau, p. 171.
  5. Larkin, p. 2650.
  6. John Harris, "Beware of Darkness", Mojo , November 2011, p. 82.
  7. Graff & Durchholz, p. 529.
  8. Jayson Greene, "George Harrison: All Things Must Pass " , Pitchfork , 19 June 2016 (retrieved 3 July 2016).
  9. Album review, Q , March 2001, pp. 122?23.
  10. Anthony DeCurtis, "George Harrison All Things Must Pass " , Rolling Stone , 12 October 2000 (archived version retrieved 1 April 2012).
  11. Nigel Williamson, "All Things Must Pass: George Harrison's post-Beatles solo albums", Uncut , February 2002, p. 60.
  12. Ben Gerson, "George Harrison All Things Must Pass " 保管됨 28 4月 2013 - 웨이백 머신 , Rolling Stone , 21 January 1971, p. 46 (retrieved 5 June 2013).
  13. Schaffner, p. 140.
  14. Larkin, p. 2635.
  15. Harris, p. 68.
  16. George Harrison, p. 164.
  17. Leng, pp. 39, 51?52.
  18. Tillery, p. 86.
  19. Leng, p. 39.
  20. George Harrison, pp. 55, 57?58.
  21. Lavezzoli, pp. 176, 177, 184?85.
  22. "Artist: Cream" , Official Charts Company (retrieved 16 January 2013).
  23. Leng, pp. 39, 53?54.
  24. Sulpy & Schweighardt, pp. 1, 85, 124.
  25. Martin O'Gorman, "Film on Four", Mojo Special Limited Edition : 1000 Days of Revolution (The Beatles' Final Years ? Jan 1, 1968 to Sept 27, 1970) , Emap (London, 2003), p. 73.
  26. Leng, pp. 39, 55.
  27. Leng, pp. 60?62, 71?72, 319.
  28. O'Dell, pp. 106?07.
  29. Rodriguez, p. 1.
  30. Miles, pp. 351, 360?62.
  31. Clayson, pp. 206?08, 267.
  32. Spizer, p. 341.
  33. Miles, p. 367.
  34. Rodriguez, p. 21.
  35. George Harrison, in George Harrison: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DVD, Village Roadshow , 2011 (directed by Martin Scorsese; produced by Olivia Harrison, Nigel Sinclair & Martin Scorsese).
  36. The Beatles, p. 350.
  37. Spizer, p. 28.
  38. Schaffner, pp. 137?38.
  39. Hertsgaard, p. 283.
  40. Spizer, p. 220.
  41. The Editors of Rolling Stone , p. 38.
  42. Huntley, p. 19.
  43. Clayson, p. 285.
  44. Lavezzoli, p. 185.
  45. Tillery, p. 87.
  46. Clayson, p. 284.
  47. O'Dell, pp. 155?56.
  48. Hertsgaard, p. 277.
  49. Huntley, pp. 30?31.
  50. The Editors of Rolling Stone , p. 180.
  51.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George Harrison ? All Things Must Pass” (英語). 뮤직 캐나다 .  
  52. “Danish album certifications ? George Harrison ? All Things Must Pass” (英語). IFPI Danmark .  
  53.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George Harrison ? All Things Must Pass” (英語). 英國 蓄音機 協會 .  
  54.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George Harrison ? All Things Must Pass” (英語). 美國 音盤 産業 協會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