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harta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Agharta》
마일스 데이비스 라이브 音盤
發賣日 1975年 8月
錄音 1975年 2月 1日
장르 재즈 록 , 펑크 록 , 아방가르드 , 앰비언트
길이 97 : 34
레이블 CBS/소니
프로듀서 테오 마貰로
마일스 데이비스 年表
Get Up with It
(1974)
Agharta
(1975)
Pangaea
(1976)

Agharta 》는 1975年 美國 재즈 트럼펫 演奏者, 作曲家, 밴드 리더 마일스 데이비스 의 라이브 더블 音盤이다. 데이비스는 이 音盤을 錄音할 當時 48歲였고 急進的인 일렉트릭 퓨전 音樂으로 젊은 록 觀客들을 끌어모으면서 재즈界의 많은 사람들을 疏外시켰다. 여러 라인업을 實驗한 끝에 1973年 安定的인 라이브 밴드를 結成해 藥물 濫用으로 인한 健康 惡化와 情緖 不安에도 不拘하고 2年間 꾸준히 巡廻 公演을 했다. 1975年 3週間의 日本 巡廻公演 中, 2月 1日 오사카 페스티벌 홀에서 喇叭手는 2回 公演을 하였는데, 午後 公演은 《Agharta》를 製作하였고, 이듬해 저녁 公演은 《 Pangaea 》로 發賣되었다.

데이비스는 콘서트에서 歲텟을 指揮했고, 색소폰 演奏者 소니 포춘 , 베이시스트 마이클 헨더슨 , 기타리스트 피트 코시 는 리듬 섹션 드러머 알 포스터 , 기타리스트 레지 루카스 , 打樂器 演奏者 제임스 音투메 의 리프, 電子 效果, 크로스 비트, 펑크 그루브 等의 密度 있는 背景에서 卽興 演奏를 할 수 있는 空間이 주어졌다. 데이비스는 손과 머리 제스쳐, 그의 와와 페달 加工된 트럼펫으로 演奏되는 句節, 그리고 同伴된 電子 오르간에서 나오는 드론으로 그들의 리듬감 있고 音樂的인 方向을 調節했다. 進化하는 公演의 性格은 作曲的 根據가 없다는 誤解를 擴散시켰으며, 어둡고 憤怒하며 沈鬱한 音樂的 資質은 當時 樂團의 리더의 情緖的, 精神的 狀態를 反映하는 것으로 보였다.

《Agharta》는 1975年 8月 健康 惡化와 疲勞로 데이비스가 臨時 隱退하기 直前 CBS/소니 에 依해 日本 에서 처음 釋放됐다. 音盤社의 提案으로, 그것은 傳說的인 地下 都市 의 이름을 따왔다. 데이비스는 日本 藝術家 요코 타다노리 에게 東洋 地下 神話와 아프로퓨처리즘 에서 靈感을 받은 要素들로 進步된 文明의 都市 風景을 描寫한 作品을 디자인하게 했다. 컬럼비아 레코드 가 1976年 北美에서 發賣할 때 大體 커버를 製作했다.

背景 [ 編輯 ]

1971年의 마일스 데이비스

1970年代 初 마일스 데이비스는 1950年代와 1960年代에 自身을 有名하게 했던 재즈 音樂과는 根本的으로 다른 方向을 繼續 探索했다. [1] 그는 이 電氣 時代의 音樂을 통해 록, 펑크, 아프리카 리듬, 떠오르는 일렉트로닉 音樂 技術, 그리고 電氣 樂器를 연주하는 뮤지션들의 變化無雙한 라인업을 經驗하게 되었다. [2] 트럼펫 演奏者는 퓨전 音樂이 急進的이고 抽象的으로 變하면서 젊은 觀客들을 끌어모았고, 自身을 邁進시켰다고 非難하는 재즈界의 나이든 聽取者, 音樂家, 評論家들을 疏外시켰다. [3] 데이비스는 1972年 《 On the Corner 》 音盤을 錄音한 後, 스튜디오에서 이따금씩만 作業하면서 라이브 公演에 더 集中하기 始作했다. 1974年 發賣된 《 Big Fun 》과 《 Get Up with It 》은 1969年과 1974年 사이에 錄音한 內容을 整理했다. [4]

1973年까지 데이비스는 베이시스트 마이클 헨더슨 , 기타리스트 피트 코시 , 레지 루카스 , 드러머 알 포스터 , 打樂器 演奏者 제임스 音투메 , 색소폰 演奏者 데이브 립먼 이 그 다음 해에 그룹을 脫退하고 소니 포춘 으로 代替되었다. [5] 루카스와 포스터, 음투메는 밴드의 리듬 섹션 役割을 했고 코지, 헨더슨, 포춘은 솔로로 卽興 演奏를 할 수 있는 空間이 주어졌다. [6] 록 公演場과 祝祭에서 자주 열리는 그들의 콘서트는 데이비스와 그의 同僚들에게 새로운 音樂的 아이디어와 電子 裝備를 活用하는 方法을 試驗할 수 있는 機會가 되었다. [7]

發賣 [ 編輯 ]

페스티벌 홀의 發賣를 準備하면서 테오 마貰로 는 編輯과 事前 錄音된 部分과의 스플라이싱을 自制했다. 이는 데이비스의 電氣 時代 音盤에 對한 平素 接近 方式에서 벗어난 것이다. 프로듀서가 나중에 뮤지션 雜誌에 說明했듯이, "日本人들은 特히 내가 空間的인 것들 속에서 떠나길 願했다"고 말했다. [8] 이들은 두 張의 더블 音盤으로 發賣되었는데, 1975年 8月 日本에서 午後 콘서트를 담은 《Agharta》가 처음 發賣되었고, 以後 1976年 北美에서 저녁 쇼가 《Pangaea》로 日本에서 獨占 發賣되었다. [9] 컬럼비아가 데이비스의 라이브 錄音을 못마땅해 했기 때문에 《Pangaea》와 《Dark Magus》는 CD로 再發賣된 1990年代까지 日本에서만 發賣되었다. [10]

曲 目錄 [ 編輯 ]

모든 曲들은 마일스 데이비스 에 依해 作曲하였다. [11]

1975年 LP [ 編輯 ]

Record one: Side A
# 題目 再生 時間
1. Prelude (Part 1) 22:34
Record one: Side B
# 題目 再生 時間
1. Prelude (Part 2) ?
2. Maiysha 23:01
Record two: Side A
# 題目 再生 時間
1. Interlude 26:17
Record two: Side B
# 題目 再生 時間
1. Theme from Jack Johnson 25:59

1991年 美國 CD [ 編輯 ]

Disc one
# 題目 再生 時間
1. Prelude (Part One) 22:37
2. Prelude (Part Two) 10:31
3. Maiysha 12:20
Disc two
# 題目 再生 時間
1. Interlude 26:50
2. Theme from Jack Johnson 25:16

各州 [ 編輯 ]

  1. Wilson 2003 , 60쪽.
  2. Freeman 2005 , 10?11, 155?156쪽.
  3. Freeman 2005 , 10쪽 ; Cole 2007 , 27쪽 .
  4. Freeman 2005 , 10, 110쪽.
  5. Cole 2007 , 27쪽 ; Freeman 2005 , 155쪽 .
  6. Freeman 2005 , 134쪽.
  7. Freeman 2005 , 7, 152쪽.
  8. Reese 1987 , 86쪽.
  9. Szwed 2004 , 342쪽 ; Chambers 1998 , 274?5쪽 ; Alexander 2007 .
  10. Bierman 2012 .
  11. Anon. 1975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