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韓國 傳統 樂器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韓國 傳統 樂器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韓國의 樂器 에서 넘어옴)

韓國 傳統 樂器 (韓國 傳統 樂器)는 韓國 傳統 音樂 에 쓰이는 樂器로 數十 種에 이르며, 여러 基準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韓國 傳統 樂器는 50 ~ 60餘 種에 이른다 . 宮中에서 쓰던 宴禮樂에서는 피리·代金·黨籍·伽倻琴·거문고·牙箏·編鐘·偏傾·장구·左顧 等 많은 樂器들이 쓰인다. 그러나 民俗音樂에서는 피리·代金·奚琴·伽倻琴·거문고·장구·北 等으로 그 쓰이는 樂器의 數가 적다. 또 行進曲人 大吹打(大吹打)에서는 太平簫·喇叭·소라·바라·杖鼓·龍鼓 같은 樂器들이 쓰이는가 하면 文廟祭禮樂에서는 지·藥·蘇·勳·部·축·語와 같이 보기 드문 樂器들이 쓰이기도 한다.

이들 樂器들은 거문고·伽倻琴과 같이 上古時代부터 韓國에서 쓰여온 것도 있고, 피리·琵琶와 같이 西域 에서 들어온 樂器가 있는가 하면, 編鐘·偏傾과 같이 中國 古代樂器가 들어온 것도 있다. 또한 洋琴·雲鑼와 같이 朝鮮 末期에 들어온 것도 있다. 金·枇杷·箜篌 같이 이미 州法(奏法)李 끊어져 쓰이지 않는 樂器도 있다.

오늘날 正樂에서나 民俗樂에서 가장 活潑하게 쓰이는 것은 亦是 피리·代金·奚琴·伽倻琴·거문고·杖鼓 等인데 이들 樂器들이 弄絃法 과 같은 韓國的인 音樂 表現에 적합한 機能을 發揮하기 때문으로 보이며 이 點은 이들 樂器들이 大部分 鄕樂 에 쓰인다는 點과 더불어 注目할 만한 事實이다. 牙箏은 中國에서 起源되는 樂器이지만 國樂器에서 드문 저음機인데다 그 樂器의 機能이 韓國音樂에 맞기 때문에 자주 쓰인다.

歷史 [ 編輯 ]

樂器의 分類 [ 編輯 ]

韓國音樂에 쓰는 樂器들의 傳統的인 分類方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樂器의 材料에 依한 分類로 《 增補文獻備考 》에서 보이는 分類法이다. 또 하나는 樂器의 由來와 系統에 依한 分類로 《 樂學軌範 》에 보이는 分類이다.

그 밖에 樂器의 形態와 演奏法에 依한 分類法이 있으니 이것은 西洋樂器의 分類이다.

由來別 [ 編輯 ]

그 由來와 用途에 따라 鄕樂器·唐樂器·雅樂器로 나눈다.

形態와 演奏法에 依한 分類 [ 編輯 ]

樂器의 振動體의 形態와 그 演奏法에 依한 分類로 西洋樂器와 같이 絃樂器·管樂器·打樂器로 나눈다.

  • 絃樂器 (絃樂器)는 통에 明紬실 或은 鐵絲를 매어 뜯거나 켜는 樂器이다. 演奏法에 따라서 彈絃樂器·擦絃樂器·打絃樂器로 나눈다.
  • 管樂器 (管樂器)는 棺에 입김을 넣거나 서(혀, reed)를 꽂아 부는 樂器로 木管樂器·金管樂器로 나뉘고, 木管樂器는 홑서樂器·겹서樂器·無簧樂器(無簧樂器)로 나뉘는데 韓國樂器에는 홑서樂器는 없다. 無簧樂器는 橫吹樂器·種吹樂器로 나눈다.
    • 겹서樂器(複簧樂器)는 겹서(혀)를 꽂아 부는 樂器로, 鄕피리 · 細피리 · 唐피리 · 太平簫 等이 있다.
    • 橫取樂器(橫吹樂器)는 가로 부는 樂器로, 代金 · 中金 · 黨籍 · 等이 있다.
    • 種吹樂器(縱吹樂器)는 歲로 부는 樂器로, 短簫 ·洞簫·蘇· · · 笙簧 等이 있다.
    • 笙簧은 黃葉 또는 金葉이라 불리는 金屬 떨板을 가지고 있는데, 혀라고도 한다. 따라서 笙簧은 홑서樂器로 分類된다.
    • 金管樂器(金管樂器)는 쇠붙이로 된 긴 管에 달린 吹口에 입술을 진동시켜 소리내는 樂器로, 喇叭 [1] 等이 있다.
  • 打樂器 는 振動體를 채로 쳐서 소리내는 樂器로 音높이가 없는 無律打樂器와 音높이가 있는 流率打樂器가 있다.
    • 流率打樂器(有律打樂器)는 音높이가 일정하거나 여러 音을 내는 打樂器로, 編鐘 · 編磬 · 方向 · 雲鑼 等이 있다.
    • 無律打樂器(無律打樂器)는 音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打樂器로, 꽹과리 · ·바라· 장구 ·北· 小鼓 ·左顧· 晉鼓 ·龍鼓 等이 있다.

樂器의 編成 [ 編輯 ]

韓國 傳統 音樂 의 樂器의 編成法은 다음과 같다. [2]

獨走 [ 編輯 ]

傳統 音樂에서 樂器 하나만으로 연주하는 境遇는 있지만, 獨奏曲이라는 用語는 없다. 또한, 獨奏樂器만을 위한 曲이 따로 없고 合奏曲을 獨奏하는 境遇가 많다. 典型的인 獨奏音樂에는 散調 가 있고, 그 밖에 〈 平調會上 〉·〈天性자진한입〉 같은 것들이 代金 或은 短簫 等으로 獨走하는 수가 있다.

倂奏 [ 編輯 ]

두 樂器가 나란히 演奏되는 것을 倂奏(倂奏)라 하며, 2重奏에 該當된다. 短簫 笙簧 , 洋琴 短簫 , 黨籍 雲鑼 , 거문고 代金 等의 編成은 모두 아름답고 깨끗하고 倂奏로 有名하다. 그 밖에 編鐘 編磬 의 倂奏가 있고, 金(琴)과 瑟(瑟)의 病주는 ‘琴瑟相和(琴瑟相和)’라 하고, 勳(塤)과 지(?)는 ‘壎篪相和(塤地上和)’라 하여 예로부터 이름이 높지만 只今은 쓰이지 않는다.

細樂 [ 編輯 ]

比較的 音量이 적고 室內에 알맞은 音色의 樂器로 2~4程度의 작은 編成을 細樂(細樂)이라고 부른다. 거문고 · 伽倻琴 · 洋琴 으로 絃樂만의 合奏와 代金· 피리 (細피리)· 解禁 의 冠岳만의 合奏가 있다. 玄과 管을 合하고 장구 를 곁들이기도 한다.

冠岳 [ 編輯 ]

傳統 音樂에서 冠岳(管樂)은 피리 · 代金 · 短簫 같은 管樂器 外에 解禁 · 牙箏 같은 擦絃樂器度 管樂으로 取扱된다. 거문고 · 伽倻琴 · 洋琴 같은 彈絃樂器(彈絃樂器)나 打絃樂器(打絃樂器)는 絃樂器로 取扱된다.

대風流 [ 編輯 ]

피리·代金 같은 管樂器가 대나무 로 되었다 하여 冠岳乙 대風流(竹風流)라 한다. 넓은 意味로는 管樂器가 中心이 되는 音樂을 가리키며 좁은 意味로는 〈 관악 靈山會上 〉을 가리킨다.

三絃六角 [ 編輯 ]

三絃六角(三絃六角)은 피리 2個· 代金 · 解禁 · 장구 · 으로 編成된 管樂으로 향악의 典型的인 編成이다. 大槪 冠岳 〈 靈山會上 〉·〈念佛타령〉·〈굿거리〉 같은 舞踊音樂에 쓰이고 其他 〈길軍樂〉·〈길타령〉·〈길念佛〉 같은 行惡(行樂)도 基本 編成은 三絃六角이다.

줄風流 [ 編輯 ]

絃樂이 中心이 되는 音樂을 줄風流(絲風流)라 한다. 좁은 意味로는 〈거문고會相〉을 가리키기도 한다. 줄風流라 하면 〈黃河淸〉과 같이 絃樂器만으로 編成될 수도 있지만 大槪는 거문고 가 中心이 되고 伽倻琴·良禽 같은 絃樂器를 곁들이며 音量이 작은 細피리와 代金·奚琴·장구도 곁들이는 것이 普通이다.

房中樂 [ 編輯 ]

小片性의 합주 卽 倂奏·細樂·줄風流 같은 音樂을 室內樂이라는 뜻으로 房中樂(房中樂)이라 하는데, 大槪 房中樂 하면 小片性의 管絃 合奏를 일컫는다. 줄風流가 가장 代表的인 房中樂이 된다.

合萼 [ 編輯 ]

合萼(合樂)은 韓國音樂의 最大 編成으로, 많은 管絃樂器로 編成된 音樂이다. 小片性의 細樂과 對比되는 말인데, 西洋音樂의 管絃樂에 該當된다. 唐피리 · 代金 · 黨籍 · 解禁 · 牙箏 · 編鐘 · 編磬 · 장구 ·左顧 같은 樂器들이 쓰이는 管樂器에 編鐘·編磬을 쓴 合萼과, 여기에 絃樂器를 덧붙인 合萼이 있다. 合萼에는 〈井邑( 壽齊天 )〉·〈 步虛子 〉·〈 洛陽春 〉·〈 與民樂 〉 같은 音樂이 있고 吹打 도 合萼으로 演奏되기도 한다.

樂器長 [ 編輯 ]

樂器長
大韓民國 서울特別市의 無形文化財
種目 無形文化財 第28號
(2002年 4月 23日 指定)
戰勝者 김복곤
住所 서울特別市

樂器長 김복곤은 全北 任實 出生으로 1969年 上京하여 當代의 빼어난 樂器丈人 金光洲의 門下에서 고흥곤, 최태진, 김희곤 等과 함께 絃樂器 製作의 機能을 傳受받았다. 金光洲는 그 技藝를 인정받아 일찍이 無形文化財 樂器長으로 指定되었다. 金光洲는 그 機能을 父親인 김광칠에게서 傳受받았는데, 김광칠은 近代에 들어 散調伽倻琴 製作의 基本틀을 세웠다. 김복곤의 傳承系譜는 김광칠 → 김광주 → 최태진 → 김복곤로 이어진다

樂器長으로서 김복곤은 국수무늬技法을 새롭게 復元하여 伽倻琴 울림筒의 性能을 改善하였다. 김복곤은 국수무늬의 性格과 槪念을 究明하는데 많은 時間을 들이면서 樂器 製作에 努力을 기울였다. 絃樂器의 主材料인 梧桐나무의 性質을 알아보기 林業硏究員, 耳鼻咽喉科 醫師, 補聽器 製作者들과 만나 함께 硏究하면서 국수무늬 울림筒의 性格을 세워나갔다. 김복곤은 오랜 硏究와 實驗을 거쳐 나이테를 日子로 가지런히 하여 만든 樂器가 맑고 淸雅한 소리를 낸다는 結論에 이르러, 最高의 明器가 된다는 국수무늬 울림筒을 再現할 수 있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改良樂器 [ 編輯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은 1950年代부터 樂器 改良事業을 벌여 音域이 다양한 種類의 樂器를 만들어 配合管絃樂 에 利用하고 있다.

參照 [ 編輯 ]

  1. 소리는 金冠으로 된 것이 아니지만, 演奏法은 金管樂器와 같다.
  2. 韓國音樂/韓國音樂/韓國音樂의 基礎知識/韓國音樂의 分類, 《글로벌 世界 大百科》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