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하버법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하버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1918年의 프리츠 하버

하버법 ( 英語 : Haber process ) 또는 하버-보슈法 ( 英語 : Haber-Bosch process )은 現代 産業 現場에서 主要하게 使用되는 암모니아 合成 公法이다. [1] [2] 工法을 發明한 프리츠 하버 카를 보슈 의 이름을 따 지었다. 肥料 製作에 使用되어 現代 人類 扶養에 至大한 貢獻을 하고 있다.

背景 [ 編輯 ]

人類의 宿願事業 [ 編輯 ]

産業革命 以前의 農耕中心社會의 主 關心은 農業生産力 增大에 있었다. 衣食住 中에 食糧은 가장 切實한 問題로 充分한 食糧資源 確保는 人類의 오랜 宿願事業이었다. [3] 農耕技術 發展을 통해 增産이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技術發展은 더디었고 荒蕪地 開墾 等으로는 甑山의 限界가 있었다. [4] 結局 穀物 生産量은 人口增加에 미치지 못하여 人類는 恒常 굶주림의 苦痛속에 살아왔으며, 戰爭과 凶年에는 飢饉으로 인해 餓死者가 發生하였다. 이런 問題는 1492年 콜럼버스 의 新大陸 探險以後 아메리카 大陸 에서 넘어온 옥수수 감자 等의 救荒作物 을 통해 어느程度 解決이 되는 듯했다. [5] [6] [7] 그러나 18世紀들어 徐徐히 人口가 增加하자, 急激한 人口增加는 食糧不足으로 인해 災殃을 招來할 수 있다는 맬서스 의 警告가 1798年에 發表되기도 했다. [8] [9]

急激한 人口 增加 [ 編輯 ]

감자의 身分上昇 [ 編輯 ]

콜럼버스 時代의 探險家들에 依해 유럽에 傳來된 옥수수 等의 作物들은 人氣가 있었다. 그러나 스페인의 잉카 征服者들에 依해 16世紀 中後半에 감자 가 紹介되자 유럽人들은 큰 拒否感을 보였다. [10] 유럽人들은 감자의 생김새가 奇異했고 繁殖과 栽培方式이 상서롭지 못하다고 여겼다. 癩病 을 誘發한다는 所聞까지 퍼지며 觀賞用이나 家畜飼料에 使用할뿐 먹지 않았다. [11] 이런 감자 는 英國의 穀物供出 政策 [12] 等으로 인해 17世紀 初盤부터 아일랜드 人의 主食이 되었고 [13] [14] 아일랜드 人口는 暴發的으로 增加했다. [15] [16] 아일랜드를 除外한 유럽人들이 감자 를 本格的으로 먹기 始作한 것은 18世紀 後半이었다. [14] 7年戰爭 을 치루며 감자의 價値를 알게 된 프리드리히 大王 과 프랑스의 農耕學者 파르망티에 의 努力 德分이었다. [17] [18] [19] 감자 는 戰亂의 被害가 적고 가뭄에도 剛했기에 救荒食品 으로 漸次 貴한 待接을 받기 始作했고, 18世紀부터 食品으로 자리잡자 유럽의 人口는 큰폭으로 增加했다. [20]

醫學의 발달   [ 編輯 ]

窒素肥料의 重要性 [ 編輯 ]

獨逸의 地理學者 훔볼트 가 南美 探險을 마치고 1804年에 유럽으로 돌아온후, 페루의 구아노 (guano)를 輸入하여 肥料로 使用하면 農作物 生産量을 크게 增大시킬수 있다고 主張했으나 아무도 關心을 가지지 않았다. [21] 그러나 1841年에 '農藝化學의 아버지'라 評價되는 化學者 리비히 가 '植物의 武器 營養론'을 發表하자 狀況이 달라졌다. [22] [23] 그는 植物이 空氣로부터 얻는 二酸化炭素와 뿌리로부터 얻는 窒素 化合物과 미네랄을 가지고 成長한다는 事實을 알아냈다. [24] [25] 또한 肥料의 必須 成分이자 가장 重要한 成分이 窒素라는 것을 밝혔다.

一般的인 畜産分料로 만들어진 堆肥보다 구아노 속의 窒素와 人의 含量은 越等히 높았다. [26] 乾燥한 海岸地方에서 바다새의 排泄物이 오랜歲月 凝固, 堆積되며 많은 窒素가 濃縮되어 있기 때문이다. [27] 리비히의 發表以後 유럽人들은 구아노를 輸入하기 始作했다. 구아노 속에 있는 窒素는 火藥을 製造하는데도 必要했기 때문에 [28] 구아노의 經濟的 價値가 上昇하면서 이를 輸出하게 된 페루의 經濟는 크게 好況을 누렸다.

科學界의 宿題 [ 編輯 ]

18世紀 中盤 8億名이던 [29] 世界人口가 19世紀 末에 15億 程度로 크게 增加했지만 農業生産性은 人口增加에 比例하여 向上되지 않았다. [30] 積極的으로 植民地를 開拓하여 農耕地를 擴張시켜 나갔으나 限界가 있었다. 맬서스 가 《 人九론 》을 통해 "食糧은 算術級數的으로 增加하는 反面 人口는 幾何級數的으로 膨脹한다"고 主張했는데, 이것이 마치 豫言처럼 實現되어 19世紀 末 人口는 暴發的으로 增加하였고 人類는 ‘食糧不足’이라는 커다란 問題에 逢着했다. 1898年 英國 科學아카데미의 院長인 윌리엄 크룩스 는 1930年代쯤 大規模 飢餓事態가 發生할 것이라고 悲觀的인 展望을 하며 人類救援의 길은 化學肥料 開發에 있다고 强調했다. [31] [32] 또한 醫學의 發達로 人口가 急激히 增加했고, 産業革命으로 農村人力이 都市로 몰려 食糧生産이 減少했다는 事實도 指目했다. 이런 社會的 雰圍氣 속에 化學肥料 開發은 當時 科學界의 重要한 課題로 떠올랐다.

科學界의 努力 [ 編輯 ]

化學肥料 開發 [ 編輯 ]

암모니아 合成 [ 編輯 ]

反應式 [ 編輯 ]

五派우에 組立中인 첫 番째 암모니아 反應器 (1913年)

암모니아는 金屬 觸媒를 통해 다음과 같은 化學反應式 으로 生成된다.

그러나, 이 反應은 大氣中의 窒素 가 매우 安定한 物質이기 때문에 高溫, 高壓의 철 系統의 觸媒 가 있어야 한다. 觸媒를 使用하여 約 200氣壓, 400~500°C에서 反應이 進行, 암모니아를 만든다. 이를 하버법, 或은 하버-보슈法 理라 한다. 하버는 처음에는 철을 使用했으나 좋은 收得率을 얻는데에는 失敗하고, 以後 오스뮴 을 使用해 좋은 成果를 얻는다. 現代에는 철에 基盤한 觸媒를 如前히 使用한다. [33]

이렇게 生成된 암모니아는 窒酸 , 黃酸 과 混合하여 질산암모늄 이나 황산암모늄 을 만든다. 이로써 肥料를 만들어 食糧問題를 解決하였는데, 하버와 보슈는 이 業績으로 하버는 1918年, 보슈는 1931年에 노벨化學賞 을 受賞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Appl, M. (1982). 〈The Haber?Bosch Process and the Development of Chemical Engineering〉. 《A Century of Chemical Engineering》. New York: Plenum Press. 29?54쪽. ISBN   978-0-306-40895-3 .  
  2. Appl, Max (2006), 〈Ammonia〉, 《울만 工業化學 百科事典(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einheim: Wiley-VCH, doi : 10.1002/14356007.a02_143.pub2  
  3. 서울大 自然科學大學 <科學, 그 偉大한 好奇心> 窮理 2002 p181 ~ 182
  4. [中央日報]“救援者인가 惡魔인가? 사람 살리고 죽인 노벨賞 候補者의 두 얼굴”. 2019年 12月 14日 .......開墾을 통해 農耕地를 追加 確保하고 水利 施設을 擴充하더라도 늘어가는 人口를 먹일 수 있을 만큼 食糧 生産量을 劃期的으로 늘리는 데는 限界가 있었다. 堆肥를 使用해도 地力을 回復하기 위해 週期的으로 休耕地를 두어야 하므로 不可避하게 놀리는 땅도 많았다.
  5. 김승일 <人間을 支配한 飮食 21가지> 例文 1995年 p96......유럽의 飢饉救濟에 至大한 貢獻을 한 것이 地理上의 發見機에 新大陸에서 가져온 많은 食用植物이었다.
  6. [ 韓國經濟 ] '콜럼버스의 交換'은 어떻게 人類를 기아에서 求했나 2020.09.14. ...新大陸에서만 자라던 옥수수 감자 고구마 강낭콩 땅콩 고추 等이 유럽으로 傳해졌다. 特히 감자는 유럽人의 株式 中 하나가 됐다...(중략)... ‘콜럼버스의 交換’이 가져온 最大 利點은 人類를 기아에서 求한 것이다.
  7. 빌 로스 <珍奇한 野菜의 歷史> 눈과마음 2005年 p149.....유럽으로 건너간 아메리카 大陸의 野菜들은 1700年代 스페인 人口가 2倍로 增角韓 原因이 바로 아메리카 옥수수 때문이라는 말이 있을 程度로 유럽에서 큰일을 해냈다. 감자도 옥수수와 비슷한 일을 해냈다.
  8. [네이버 知識百科]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 [Thomas Robert Malthus] - [人口論]을 著述한 英國의 經濟學者 (人物世界史, 박중서)
  9. [네이버 知識百科] 人九론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人口論] (두산百科 頭皮디아, 두산百科)......過剩人口로 인해 必然的으로 貧困의 惡循環, 戰爭, 疾病 猖獗 等을 통해 不均衡이 是正되어 갈수밖에 없다.
  10. 김승일 <人間을 支配한 飮食 21가지> 例文 1995年 p93 ~ 94
  11. 헨리 홉하우스 <歷史를 바꾼 씨앗 5가지> 세종서적 1997年 p319
  12. 김승일 <人間을 支配한 飮食 21가지> 例文 1995年 p97
  13. 헨리 홉하우스 <歷史를 바꾼 씨앗 5가지> 세종서적 1997年 p318.....1625年頃 감자는 어느덧 아일랜드의 主要 食品이 되었다.
  14. 페르낭 브로델 <物質文明과 資本主義 1-1> 까치 1997.6.5, p230
  15. 헨리 홉하우스 <歷史를 바꾼 씨앗 5가지> 세종서적 1997年 p345, p348......1660年 50萬名, 1760年 150萬名, 1845年 900萬名
  16. 자바縣 歷史敎育者協會 <物件의 世界史> 嘉藍企劃 2002年 p28.......1800年 500萬名, 1841年 800萬名
  17. 김승일 <人間을 支配한 飮食 21가지> 例文 1995年 p92....7年戰爭동안 救荒作物이나 軍糧米로서 價値를 알게 된 프리드리히 大王은 終戰後 감자 普及에 앞장섰다.
  18. [네이버 知識百科] 프랑스의 감자 傳道師, 파르망티에 - 歷史 속의 감자 (감자, 2004. 9. 17., 전수미) ......오늘날의 감자料理를 이야기할 때 루이 15歲의 臣下이자 學者였던 앙투안 誤구스탱 파르망티에(Antoine Augustine Parmentier)를 빼놓을 수 없다. 그는 감자를 터부視하던 貴族, 王族들에게 감자의 重要性을 알리기 위해 平生을 바친 사람이다. 프러시아의 7年戰爭(1756~1763年) 때 監獄에 갇혀 있었던 파르망티에는 配給으로 맛본 감자가 훌륭한 飮食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以後 그는 사람들이 감자에 對한 偏見만 버린다면 감자가 營養學的으로 얼마나 優殊한가를 알리는데 一生을 바쳤다. 結局 그의 努力은 프랑스의 감자 歷史를 다시 쓰게 만들었다.
  19. 김승일 <人間을 支配한 飮食 21가지> 例文 1995年 p92.....감자의 長點....營養 豐富, 寒冷地域에서도 잘 成長, 가뭄에 剛함, 흙속에 있어 戰亂의 被害가 적다, 90日이라는 短期間에 收穫可能, 瘠薄한 環境에서도 잘 生育함.
  20. 헨리 홉하우스 <歷史를 바꾼 씨앗 5가지> 세종서적 1997年 p317.....減資는 單純한 食品에 머무르지 않았다. 감자는 人口 爆發의 原因이 되었고(이하생략)
  21. [네이버 知識百科] 알렉산더 폰 훔볼트 [Alexander von Humboldt] (두산百科 頭皮디아, 두산百科)
  22. 오진곤 <化學의 歷史> 電波科學史 1993年 p166
  23. 피터 매시니스 <100 디스커버리> 생각醫날개 2011年 p31
  24. [네이버 知識百科] 化學肥料 - 하버와 암모니아 合成法의 開發 (世上을 바꾼 發明과 革新, 송성수, 생각의힘)
  25. 서울大 自然科學大學 <科學, 그 偉大한 好奇心> 窮理 2002 p182
  26. 서울大 自然科學大學 <科學, 그 偉大한 好奇心> 窮理 2002 p183
  27. [네이버 知識百科] 구아노 [guano] (土壤事前, 2000. 10. 15., 류순호). ......海岸 또는 섬에 群生하는 물새들의 排泄物이 堆積된 것이며 질소질 구아노와 燐酸質 구아노로 크게 區分한다. 질소질 구아노는 降雨量이 적은 乾燥地帶에서 새들의 排泄物이 거의 美分解된 狀態로 堆積된 것이며 窒素 12% 以上, 因山 8% 以上 含有한다.
  28. 피터 매시니스 <100 디스커버리> 생각醫날개 2011年 p32
  29. [네이버 知識百科]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 [Thomas Robert Malthus] - [人口論]을 著述한 英國의 經濟學者 (人物世界史, 박중서)
  30. [네이버 知識百科] 化學肥料 - 하버와 암모니아 合成法의 開發 (世上을 바꾼 發明과 革新, 송성수, 생각의힘)
  31. [ 中央日報 ] 人類 배 불린 技術, 武器로 돌아와 2015.09.19
  32. Hager, Thomas (2008). The Alchemy of Air . New York City: Three Rivers Press. pp. 3?11. ISBN 978-0-307-35179-1 .....Crookes was named president of the British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in 1898. In his inaugural address, he outlined in detail a coming catastrophe: The wheat-eating peoples of the world were going to start running out of food in the 1930s. The reason, he said, was a dearth of nitrogen fertilizer available from natural sources. Crookes called on chemists to develop new ways of making fertilizer from the enormous stock of nitrogen in the atmosphere (which is roughly 80 percent nitrogen). His remarks on the coming famine achieved wide distribution in the press and were turned into a popular book.
  33. 여인형 東國大學校 化學과 名譽敎授 (2020年 4月 7日). “프리츠 하버와 암모니아 合成” . 한국화학硏究院 . 2020年 12月 12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참고](YTN - "炭素 排出 제로" 機械硏, 그린 암모니아 生産 工程 開發) https://www.yna.co.kr/view/AKR20210819052000063
  • [참고](ACS Energy Letters - Plasma Catalyst-Integrated System for Ammonia Production from H2O and N2 at Atmospheric Pressure, Iqbal Muzammil, You-Na Kim, Hongjae Kang, Duy Khoe Dinh, Seongil Choi, Chanmi Jung, Young-Hoon Song, Eunseok Kim, Ji Man Kim, and Dae Hoon Lee*,Cite this: ACS Energy Lett. 2021, 6, 8, 3004?3010,Publication Date:August 5, 2021 DOI://doi.org/10.1021/acsenergylett.1c01497 ,
  • KIMM, American Chemical Society) https://pubs.acs.org/doi/10.1021/acsenergylett.1c01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