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토스 共和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第1次 世界大戰 이 끝난 後의 폰토스 共和國. 이 領土 範圍는 6個의 地域 그리스正敎 主敎 管轄權에 依한 것이었다.
폰토스 共和國의 國紀 ( 1917年 - 1922年 )

폰토스 共和國 ( 그리스어 : Δημοκρατ?α του Π?ντου , Dimokratia tou Pontou ) 은 오늘날의 튀르키예 黑海  沿岸 地域의 폰투스 地域을 包含하는 폰토스 그리스人 國家이다. 이 國家는 1919年 파리 講和 會議 에서 提案되었으나, 그리스의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는 不安定한 이 國家의 狀況을 考慮하여 代身 윌슨 아르메니아 에 包含되려고 하였으나 폰토스나 윌슨 아르메니아 모두 建國되지 못하였다. 이 國家는 誕生되지 못했으며 폰토스 그리스인들은 1922年 以後 튀르키예로부터 추방당하고 蘇聯 이나 그리스 마케도니아 에 재定着하였다. 以後에 이 追放은 1923年 일어난 그리스-터키 人口 交換 으로 確認되었다.

歷史 [ 編輯 ]

오스만 帝國 이 그리스인들의 國家 트레비존드 를 征服함에 따라, 폰투스 地方은 오스만의 支配를 받게 되었다. 1830年代 初盤, 그리스인의 國家는 獨立을 爭取했지만 只今보다는 적은 領土를 支配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리스 民族主義者들은 그리스人 居住地에 對한 그리스의 領有權을 主張하였지만 폰토스 그리스人 들은 그들이 그리스와의 連結性이 宗敎 外에는 거의 없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그리스에 倂合되는 것은 深度있게 考慮된 적이 없다. [1] 同時에 폰토스 그리스인들은 러시아 조지아 等의 他國으로 移住하고 있었다.

1904 튀르키예 메르地폰 에 폰토스의 獨立을 目的으로 하는 폰토스 祕密團體가 만들어졌다. [2] 이 團體는 1910年代 1920年代 많은 成長을 했고 後日 아테네 大主敎 가 되는 크리산토스 필리피데스 가 主要 指導者가 되었다. [3] 海外의 폰투스 그리스인들의 團體들은 메르地폰의 獨立 團體와 連繫하여 主로 美國과 러시아를 包含 한 國家들에게 로비를 하여 폰투스의 獨立을 爭取하고자 했다. [4] 이 期間 中에, 레오니다스 이아소니디스 가 폰토스 共和國의 設立을 위한 運動의 主要 指導者가 되었다. [4]

1914年 오스만 帝國의 小아시아 人口調査.

아르메니아인 , 아시리아人 , 오스만 帝國의 다른 그리스인들처럼 트라브존 地域의 그리스인들은 20世紀 秒에 靑年 튀르크當 隊員들과 케말主義者들의 集團 虐殺에 시달렸다. [ 出處 必要 ] 領土를 이들에게 잃어버릴지 모른다는 恐怖와, 地域의 튀르크化를 爲한 것이었다. [ 出處 必要 ] 튀르키예의 山岳地帶를 貫通하는 죽음의 行軍과, 아나톨리아의 惡名 높은 勞動對大에서의 强制 勞役, 그리고 土팔 오스만 의 非正規軍에 依한 虐殺로 因해서 1915年에서 1922年 사이 數十萬의 폰토스 그리스인들이 虐殺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都市 內部의 그리스인들 自體는 直接的으로 이런 行爲들의 對象이 되지 않았다. 地域의 有志들은 土팔에게 武器를 提供하길 拒否했고, 그의 部下들이 都市에 들어오게 하지 못했다. 또한 多數를 차지하는 크리스트敎人들의 逮捕에 對해서 都市의 무슬림들 亦是 反撥했다. [5]

여기서 살아남은 폰토스 그리스인들은 山으로 올라가 1923年 그리스-터키 人口 交換 協定이 맺어질 때까지 그리스人 아르메니아인 들을 主軸으로 튀르키예人들의 攻擊을 防禦하기 始作했다. 이들은 적어도 6萬名의 폰토스 그리스인들과 아르메니아인들의 生命을 救했다고 여겨진다. [6] [7]

1918年 1月 8日 , 美國 大統領 우드로 윌슨 은 前後 措置에 對한 14個 條項 을 發表했다. 그中 12番째 項에는 튀르키예 支配下의 非투르크系 民族들은 安全이 保障되어야 하고 自治運動을 妨害받지 않을 自由를 누려야 한다는 內容이 明示되어 있었다. 이 條項은 폰토스 地域을 包含하는 아나톨리아의 非투르크系 民族들의 團結을 促進시켰다. [3] 1918~1919年, 그리스 總理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는 大戰 中 러시아에 定着한 폰토스 그리스인들의 本國 歸還을 支援하기 始作했다.

오스만 帝國과 協商國 과의 무드로스 從前 協定 으로 인해 英國軍은 三旬 에 上陸하고 많은 地域을 掌握했다.

1919 파리 講和 會議 에서 오스만 帝國의 領土 問題에 對한 論議가 始作됨과 同時에 크리산토스는 1919年 4月 29日 폰토스 地域의 獨立을 主張하기 위해 파리에 到着했다. 그는 그곳에서 폰토스 共和國의 設立을 主張하는 18쪽의 글을 發表했다. [3] 그곳에서 提案된 폰토스 共和國은 트라브존 , 三旬 , 시노페 , 아마시아 카라히사르 와 같은 地域들을 領土로 하고 現代 튀르키예의 大部分의 黑海 地域들을 所有했다.

그러나 파리 講和 會議에서 베니젤로스는 獨立한 폰토스 共和國이 그리스의 軍事 支援을 받기에는 너무 멀고 또한 튀르키예의 攻擊을 防禦하기에는 너무 弱하다고 생각했다. [8] 이로 인해 그는 폰토스 共和國의 設立을 反對하였다. 따라서 協商은 事實上 終結됐다. 以後, 베니젤로스는 폰토스의 트라브존 地域이 새로 만들어지는 아르메니아에 包含되는 方案을 提案했지만, 聯合國 은 別 興味를 보이지 않았으며, 터키-아르메니아 戰爭 , 터키 獨立 戰爭 , 그리고 볼셰비키의 아르메니아 侵攻 으로 인한 流血事態가 論議의 進展을 막았다. [8] 1919年 5月, 폰토스 地域의 그리스 赤十字 는 이 地域은 安全하지 못하고 支援이 必要하다고 報告했다. [4]

1921年 폰투스의 많은 正敎會敎徒 男性들이 에르주름 勞動部隊 로 追放되었다. 이때 무스타파 케말의 튀르키예 民族主義者들이 主導하는 野마스야 의 "튀르키예 獨立을 위한 臨時法定"李 여러 重要 人士들에게 絞首刑을 宣告했다. 이때 처형당한 人物 中에는 오스만 帝國 議會의 一員이었던 Matthaios Kofidis 도 있었다. 그들의 嫌疑는 폰투스의 獨立을 꾀했다는 것이었다. [9]

以後 [ 編輯 ]

많은 폰투스 그리스인들의 居住地가 戰爭과 1923年의 로잔 條約 , 그리고 그리스-터키 人口交換으로 인해 재정착되었다. 記錄에 따르자면 人口交換의 結果로 182,169의 폰투스 그리스인들이 交換되었다. [8] 그리고 많은 폰투스 그리스인들이 蘇聯으로 떠났다. 蘇聯은 이른 時期부터 폰투스 그리스인들의 中心地가 되었고 따라서 家族을 따라서 移動한 境遇도 많았다. 나머지 사람들은 市民權을 保障한 그리스로 移住하였다 (오늘날 러시아에서 그리스로 移住하는 폰투스 그리스인도 비슷한 特權을 받는다.). 그리스에서 폰투스 移民者들을 Pondioi라고 불렀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ionidou, Violetta (2012). “ " Abroad I was Greek and in Greece I am a Foreigner": Pontic Greeks from Former Soviet Union in Greece”. 《Journal of Modern Greek Studies》 30 (1).  
  2. Shaw, Stanford J.; Ezel Kural Shaw (1977).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London,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Erimtan, Can (2008). “Hittites, Ottomans and Turks: A?ao?lu Ahmed Bey and the Kemalist Construction of Turkish Nationhood in Anatolia”. 《Anatolian Studies》 58 : 141?171. doi : 10.1017/S0066154600008711 . JSTOR   20455417 .  
  4. Voutira, Eftitia (2011). 《The 'Right to Return' and the Meaning of Home》. Berlin: Lit Verlag.  
  5. Library Journal Review of Not Even My Name by Thea Halo.
  6. people. http://www.impantokratoros.gr/antartiko-pontou.el.aspx/ >
  7. “保管된 寫本” . 2014年 2月 1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2月 1日에 確認함 .  
  8. Freely, John (2010). 《Children of Achilles: the Greeks in Asia Minor Since the Days of Troy》 . London: I.B. Taurus.  
  9. Clark, Bruce (2006). 《Twice a Stranger: The Mass Expulsion that Forged Modern Greece and Turkey》 .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12?114쪽. ISBN   97806740236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