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平和의 神殿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平和의 神殿

平和의 神殿
平和의 神殿 殘骸
Map
Click on the map for a fullscreen view
座標 北緯 41° 53′ 33.43″ 東京 12° 29′ 15.40″  /  北緯 41.8926194° 東京 12.4876111°  / 41.8926194; 12.4876111

平和의 神殿 ( 라틴語 : Templum Pacis ) 或은 '베스파시아누스 포룸'( 라틴語 : Forum Vespasiani )은 로마의 平和의 女神 팍스 에게 敬意를 표하기 위해 베스파시아누스 皇帝 時期인 西紀 71年에 로마 에 建設된 建築物이다. [1] 有名한 콜로세움 이 있는 쪽인 벨리아 언덕 을 마주하고 있으며, 아르길레툼 南쪽에 位置해 있다.

歷史 [ 編輯 ]

스타티우스 는 平和의 神殿 建設이 베스파시아누스가 아닌 도미티아누스 皇帝한테서 비롯했다고 했으며 이 問題는 오늘날의 考古學界 內에서도 論爭으로 남아 있다. [2] 神殿은 한 世紀하고도 半世紀가 넘는 期間 로마에 建設된 一連의 記念性의 포룸人 皇帝들의 포룸 의 一部이다. 平和의 神殿은 公式的으로는 포룸 으로 여겨지지 않는데 이는 政治的 機能을 했을 것이라는 證據가 없기 때문으로, 따라서 神殿이라 불린다.

이 巨大한 建築物을 짓기 위한 費用은 유대-로마 戰爭 期間 베스파시아누스의 예루살렘 掠奪에서 充當하였다. 內部와 周邊 施設物은 로마軍이 그곳에서 蒐集한 寶物들로 裝飾되었다. [3] 臺플리니우스 에 依하면, 그리스와 小아시아에서 네로 도무스 아우레아 를 裝飾하기 위해 그리스와 小아시아에서 가져온 彫刻像들 亦是도 平和의 神殿에 있었다고 한다. 그 中에는 폴리클레이토스 , 페이디아스 , 아르고스의 나우키데스 , 美論 , 레오카레스 等의 그리스 彫刻家들의 作品들이 있었다. 세베루스 王朝 時代의 基壇, 레오카레스의 ' 가니메데스 '과 폴리클레이토스의 ' 被土클레스 ' 等 彫刻賞들의 碑文이 現在까지 남아 있다. [4]

베스파시아누스가 主要 將軍이고 以後에 제1차 유대 戰爭期間에 皇帝로 任命되었기에, 平和의 神殿은 指導者로서 그에게 特히나 重要하였다. 巨大하고 主要한 이 記念物은 影響力 있고 强靭한 皇帝라는 宣傳에 必須的이었으며, 베스파시아누스가 帝國에 가져올 수 있는 平和와 繁榮의 象徵이었다.

平和의 神殿은 書記 192年 2月 火災로 破壞되었다. 以後에 서기 203年頃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가 再建하였다. 神殿의 홀은 1世紀 뒤에 리모델링 되었고, 西紀 357年에 로마를 訪問한 콘스탄티누스 2歲 皇帝의 感歎을 이끌었다. [5]

4世紀 쯤에도 如前히 使用된 이 神殿은 基督敎도 皇帝 들이 모든 非基督敎 宗敎에 對한 崇拜와 神殿 施設들을 禁止하는 勅令을 내리던 期間 後期 로마 帝國의 異敎徒 迫害 期間에 閉鎖되었을 것이다. [6]

平和의 神殿은 410年에 알라리크 1歲 의 로마 掠奪 當時에 被害를 입었고 以後에 다시는 再建되지 못하였다. [7] 隣接한 막센티우스 바실리카 가 平和의 神殿이라 오랜 期間 믿어졌다가 考古學者 안토니오 니비 가 19世紀에 神殿의 實體를 제대로 糾明해냈다. [8]

神殿의 構造 [ 編輯 ]

오늘날 로마에는 平和의 神殿에 아주 적은 量의 殘骸만이 있을 뿐이지만, 3世紀 神殿 內部 壁에 걸려있던 로마에 對한 巨大하고 詳細한 大理石 地圖인 포르마 우르비스 德에 神殿의 構造와 配置에 對해서 많은 것이 알려져 있다. 神殿은 넓은 포르티코 쪽으로 開放되어 있는 애프스 로 이뤄져 있다. 기둥 은 中心部의 非鋪裝이고 풀로 이뤄진 地域들과 神殿을 分離하였다. 이는 普通 鋪裝이 되어 있던 大部分의 다른 포룸들과 달랐다. 이 地域은 아마도 庭園, 웅덩이, 彫刻像, 예루살렘 征服 期間에 獲得한 다른 寶物들이 있었을 것이다.

各州 [ 編輯 ]

  1. Tucci, Pier Luigi (2017年 11月 16日). 《The Temple of Peace in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2017). Two volumes, 1,107 pages, 263 color and 87 b&w illustrations. Volume 1: Art and Culture in Imperial Rome (ISBN 978-1-107-16247-1). Volume 2: Remodelings, Conversions, Excavations (ISBN 978-1-107-16254-9)》 . ISBN   9781108548816 .  
  2. Anderson, James C., Jr. (1982年 1月 1日). “Domitian, the Argiletum and the Temple of Peace”.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86 (1): 101?110. doi : 10.2307/504296 . JSTOR   504296 .  
  3. “Temple of Peace” . 《archive1.village.virginia.edu》. 2015年 12月 2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5年 11月 10日에 確認함 .  
  4. Filippo Coarelli (2014). 《Rome and Environs: An Archaeological Guid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6쪽.  
  5. Tucci, Pier Luigi.  The Temple of Peace in Rome . United St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pgs. 246-258.
  6. R. MacMullen, "Christianizing The Roman Empire A.D.100-400, Yale University Press, 1984, ISBN   0-300-03642-6
  7. Christie, Neil (2011). 《The Fall of the Western Roman Empire》. 145쪽. ISBN   978-0-340-75966-0 .  
  8. Coarelli, 2014; p. 125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