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팬 아트: 두 판 사이의 差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팬 아트: 두 판 사이의 差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內容 削除됨 內容 追加됨
태그 : 되돌려진 기여
9番째 줄: 9番째 줄:


[[디지털 畫像 處理]]와 인터넷의 擴散은 팬 아트의 範圍와 接近性을 大幅 擴大했다. 美國의 텔레비전 프로듀서 브라이언 코니츠코(Bryan Konietzko)는 2013年에 이렇게 적었다:
[[디지털 畫像 處理]]와 인터넷의 擴散은 팬 아트의 範圍와 接近性을 大幅 擴大했다. 美國의 텔레비전 프로듀서 브라이언 코니츠코(Bryan Konietzko)는 2013年에 이렇게 적었다:
{{引用文|"나는 '' [[아바타: 아앙의 傳說|아바타]] '' 때 2005年?2008年를 回想해 본다... 우리가 받는 보통의 팬 아트는 封套에 든, 魅力的이고 아이 같은 크레용 그림이었다. 요즘 '' [[코라의 傳說|코라]] '' 에서는, 내가 폰으로 歪曲된 스크린샷 寫眞을 찍어서 올리면, 그 直後 누군가 스크린샷을 復元해서, 잘라 내고, 登場人物들을 區分하고, 背景을 複寫하고, 擴大한 後 여러 레이어로 만들고, 登場人物들이 눈을 깜빡이며 말하는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色調를 더하고, [[GIF]]로 만들어서, 나는 내가 原作의 寫眞을 찍은 그 폰으로 그것을 보게 된다. 時代가 變하고 있다..."<ref>{{웹 認容|last=Konietzko|first=Bryan|title=I remember back in the Avatar days…|url=http://bryankonietzko.tumblr.com/post/46687253373/i-remember-back-in-the-avatar-days-the-typical|accessdate=2018-01-12}}</ref>}}
{{引用文|"나는 [[아바타: 아앙의 傳說|아바타]] 때 2005年?2008年를 回想해 본다... 우리가 받는 보통의 팬 아트는 封套에 든, 魅力的이고 아이 같은 크레용 그림이었다. 요즘 [[코라의 傳說|코라]]에서는, 내가 폰으로 歪曲된 스크린샷 寫眞을 찍어서 올리면, 그 直後 누군가 스크린샷을 復元해서, 잘라 내고, 登場人物들을 區分하고, 背景을 複寫하고, 擴大한 後 여러 레이어로 만들고, 登場人物들이 눈을 깜빡이며 말하는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色調를 더하고, [[GIF]]로 만들어서, 나는 내가 原作의 寫眞을 찍은 그 폰으로 그것을 보게 된다. 時代가 變하고 있다..."<ref>{{웹 認容|last=Konietzko|first=Bryan|title=I remember back in the Avatar days…|url=http://bryankonietzko.tumblr.com/post/46687253373/i-remember-back-in-the-avatar-days-the-typical|accessdate=2018-01-12}}</ref>}}


==論難==
==論難==

2024年 5月 25日 (土) 15:08 판

해리 포터 의 팬 아트

팬 아트 (Fan art)는 虛構 (主로 漫畫, 映畫, 텔레비전 시리즈, 비디오 게임 等)에서 팬들에 依해 登場人物 等의 側面에서 原作과 달라진 美術 作品이다. '팬 아티스트'들은 原作의 登場人物, 衣裳, 商品, 이야기 等을 따라 그리기도 하며, 이야기를 創作하기도 한다. 팬 아트는 다루어지는 原作의 創作者들에 依해 創作되지도, 注文이나 支援을 받지도 않은 美術 作品들을 가리킨다.

科學 小說 팬덤 에서는 다른 意味로 使用되는데, 여기에서의 팬 아트는 팬 아티스트들이 科學 小說 또는 판타지 分野의 作品들을 創作 (派生된 것이 아니다)하여, 同人誌 팬 잡지 , 科學 小說 展覽會 等에서 低價 또는 非營利로 등장시키는 것이다. 휴고賞 最高의 팬 아티스트 部門은 1967年부터 이 分野의 作家들에게 授與되고 있다. 팬 픽션 에서와 같이(더 적은 範圍에서긴 하지만), 이러한 定義는 위에서 敍述된 더 最近의 用例와 種種 混同되곤 한다.

形態

팬 아트는 다양한 形態를 取할 수 있다. 通常의 그림들에 더해, 팬 아티스트들은 웹 배너, 아바타, 그래픽 디자인, 웹 애니메이션, 寫眞 모음, 포스터, 原作에서 나온 大使들이나 登場人物들을 再解釋하여 藝術的으로 表現한 作品들을 만들 수 있다.

디지털 畫像 處理 와 인터넷의 擴散은 팬 아트의 範圍와 接近性을 大幅 擴大했다. 美國의 텔레비전 프로듀서 브라이언 코니츠코(Bryan Konietzko)는 2013年에 이렇게 적었다:

"나는 아바타 때 2005年?2008年를 回想해 본다... 우리가 받는 보통의 팬 아트는 封套에 든, 魅力的이고 아이 같은 크레용 그림이었다. 요즘 코라 에서는, 내가 폰으로 歪曲된 스크린샷 寫眞을 찍어서 올리면, 그 直後 누군가 스크린샷을 復元해서, 잘라 내고, 登場人物들을 區分하고, 背景을 複寫하고, 擴大한 後 여러 레이어로 만들고, 登場人物들이 눈을 깜빡이며 말하는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色調를 더하고, GIF 로 만들어서, 나는 내가 原作의 寫眞을 찍은 그 폰으로 그것을 보게 된다. 時代가 變하고 있다..." [1]

論難

팬 아트의 特性으로 인해, 이에 對한 主題에서는 여러 論爭的인 面들이 있다. 팬 아트에 對한 가장 基本的인 論難 中 하나는 애初에 이것이 藝術으로서의 價値가 있는가이다. 美術界의 몇몇 人物들은 팬 아트가 他人의 原作에 基盤했으므로, "藝術"으로서의 資格이 없다고 믿는다. 藝術 에 對한 이들의 定義는 作品은 반드시 藝術者의 表現物이어야 하며, 이미 存在하는 媒體에서 派生된 作品은 이에 該當하지 않는다는 것을 隨伴한다. 이에 對한 反論으로 팬 아티스트들이 그들의 創作物에 그들 各各의 個性을 더한다는 主張이 있다. 비록 構想은 他人의 것에서 派生될 수 있지만, 內容物은 다른 藝術 作品과 同等하게 個性 있고 表現的이라는 것이다. [2]

같이 보기

各州

  1. Konietzko, Bryan. “I remember back in the Avatar days…” . 2018年 1月 12日에 確認함 .  
  2. “Fanart - Fanlore” . 《fanlore.org》 . 2018年 1月 12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