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포그래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타이포그래피 ( Typography ), 또는 活版術 (活版術)은 活字 書體 의 配列을 말하는데, 特히 文字 또는 活版적 記號를 中心으로 한 2次元的 表現을 가리킨다. 活版으로 하는 印刷術을 가리키는 用語이기도 하다. 오늘날에는 뜻이 바뀌어 寫眞 까지도 添加하여 構成的인 그래픽 디자인 全體를 가리키고 一般의 디자인과 同義語 같이 쓰이는 일도 있다. 卽, 編輯 디자인 分野에서는 活字의 書體나 글字 配置 따위를 構成하고 表現하는 일을 가리키는 用語이다.

西洋의 活版術 發明 以前의 樣式을 只今도 繼承하고 있으나 바우하우스 를 中心으로 하는 近代 타이포그래피는 構成主義的인 創作에 依하여 옛 形態를 打破하고, 漸次 機能的인 表現을 行하여 디자인의 한 分野가 되었다. 한便 조본(造本)을 中心으로 하는 古典的인 技法과 有機的·流動的인 아메리칸 타이포그래피 等도 있다.

타이포그래피는 文字 配列, 文字 디자인과 文字 象形을 修正하는 技術과 藝術이다. 象形文字는 創造되고 다양한 일러스트레이션 技法으로 修正된다. 글字의 整頓은 書體의 選擇, 포인트 사이즈, 선 길이, 선 間隔, 文章 사이의 間隔 맞춤과 單語 사이의 間隔 맞춤을 包含한다.

타이포그래피는 度辦公 타입세터, 컴包紙터, 타이포그래퍼, 그래픽 디자이너, 아트 디렉터, 코믹 北 아티스트, 그래피티 아티스트와 書記官에 依해 表現된다.

어원 [ 編輯 ]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는 '活字'를 意味하는 'Type'와 '-술'을 의미하는 接尾辭 'Graphy'의 合成語이다. 卽, 英語 單語 typography는 그리스어 의 두 單語 τ?πο?(typos, 標示)와 γρ?φω(grapho, 쓰다)에서 由來된 造語 이다.

歷史 [ 編輯 ]

타이포그래피의 첫 番째 時代가 열린 것은 古代時代의 죽은이의 封印과 貨幣流通에서 찾을 수 있다. 最初의 移動可能한 印刷 加工品은 파이스토스의 圓盤으로 推定되고, 이것의 眞짜 目的에 對해서는 如前히 推定中이다. 이는 紀元前 1850에서 1600年 사이로 미노아 時代義것으로 그리스, 크레테섬의 헤라클리온 考古學 博物館에 展示되고 있다.

移動 可能한 形態의 타이포그래피는 11世紀 中國에서 部分的으로 發明되었다. 金屬形態로는 韓國의 1230年假量의 高麗 時代에 처음으로 發明되었다. 유럽에서는 獨自的으로 15世紀 中盤에 開發되어 特別한 테크닉을 開發하여 模樣形態를 뜨고 低廉한 價格의 글字板을 複合하여 厖大한 量의 글 印刷를 始作하였다.

이 單語가 使用되기 始作할 무렵에는 活字에 依한 印刷術만이 存在하였기 때문에 活판 印刷術을 뜻하는 말로 使用하여 왔으나, 18世紀 産業 革命 以後 글字뿐 아니라 寫眞, 일러스트 等의 글의 補助的 形態를 包含한 印刷가 可能해지면서, 타이포그래피는 '視覺的 形態로 무엇인가를 記錄하거나 表現하는 方法'을 包括的으로 의미하게 되었다. 또한 現代의 타이포그래피는 컴퓨터 및 인터넷 技術의 發達에 따른 빠른 變化와 함께 그 모습도 變貌해가고 있다. 이제 글字의 役割은 읽히는 機能만이 아니라 보이는 機能까지 包含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의 타이포그래피는 글字와 글字, 글字와 그림, 글字가 位置한 空間, 글字의 움직임 等 '글字로 構成하는 모든 디자인의 過程과 結果'를 의미하게 되었다.

타이포그래피의 標準化 [ 編輯 ]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는 印刷物의 텍스트와 密接하게 聯關되어 글, 그림의 사이의 調節 等 可讀性에 對한 要求를 받는 分野이다. [1] 17世紀 末부터 印刷 關聯 知識이 傳播되면서 印刷物의 大量生産이 試圖되었다. 이때 一定한 大量生産을 爲해 最善의 可讀性을 가져가면서 作業效率을 빠르게 높이기 위해 타이포그래피의 典型化, 規格化가 必要했다. 工程中 印刷所와 活字製作所 사이에 互換해야할 共通 命名法과 標準型이 必要했고,이후 標準化의 必要性을 느낀 여러 나라에서 타이포그래피를 體系化 또는 秩序를 附與하려는 試圖가 일어났으며 그러한 試圖들은 印刷術이 現代化하는데 큰 影響을 주었다. [2]

프랑스 : 타이포그래피를 標準化하려는 試圖 [ 編輯 ]

王의 로만體(Romain du Roi) [ 編輯 ]
루이 14世와 王의 로만體

1692年 프랑스 루이 14歲 는 프랑스 王立 印刷所에서 使用할 수 있는 새로운 글꼴을 開發하라는 施行令을 내렸다. 이를 爲해 프랑스 翰林院 에선 書體를 위한 委員會가 組織되었다. 委員會는 여태없던 새로운 試圖를 위해 以前에 쓰이던 活字와 글字꼴에 對해 많은 硏究를 進行하였다. 硏究를 基礎로 各 段을 6段으로 細分化해 正四角形 2,304個로 이루어진 그리드를 使用해 活字의 比例를 決定하였다. 그 以後 23年에 걸쳐 銅板에 活字를 새겨 넣어 完成하였다. 銅板에 새겨진 初期 書體를 根據로 王室 印刷所의 出版物을 製作하는데 使用하였다. [3]

또한 翰林院에선 書體外에 王立 印刷所 活字 比例票를 提出하며 印刷術의 體系的 要素를 導入을 試圖한 事例가 있다. 圖表에 活字의 名稱別로 7.5에서 192段까지 單位값을 附與하였다. 하지만 當時 一般 單位값들과 互換되지 못하였고, 以後 修正을 거쳐 1695年 리뉴(ligne, 프랑스式 인치인 '푸스'[pouce]를 12로 나눈 單位)와 互換되었다. 이 圖表는 「活字 種類 및 크기 計測度」에 記錄되었다. 圖表에는 活字의 크기, 엑스字의 높이, 大文字의 높이, 디센더의 길이, 活字部位는 勿論 活字面에서 아래의 餘白까지 다양한 要素를 보여주며 翰林院이 타이포그래피를 深度깊게 理解하며 實用的으로 使用하려했던 試圖를 엿볼 수 있다. [2]

피에르 시몽 푸르니에(Pierre-Simon Fournier)포인트法 [ 編輯 ]
피에르 시몽 푸르니에(Pierre-Simon Fournier) 포인트法

피에르 시몽 푸르니에(Pierre-Simon Fournier)는 活字鑄造價와 印刷業者 집안에서 태어나 아버지와 오랫동안 파리의 르베 活字鑄造所에서 일하였다. 그러다 1730年에 파리에서 獨自的인 活字製作所를 세우게된다. 以後 1736年에 첫 標本을 發行, 1737年에 活字 比例票를 펴내며 活字鑄造家로서 能力을 인정받기 始作했다. 1737年에 푸로니에는 活字 몸통값의 體系化를 定立해 提案 한다. 提案 內容은 1리뉴를 '6포인트'로 整理하며 프랑스 單位값 푸스(pouce)와 리뉴(ligne)에 함께 連繫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初期에는 活字가 標準化 되있지 않아 出版物의 이름에서 由來하여 포인트를 設定해 體系를 試圖하였다. 푸르니에가 定立을 試圖한 體系化는 많은 活字鑄造所에 適用되기까지 오랜時間이 걸렸지만 以後에는 實用的인 面에서 큰 影響을 미쳤다.

1742年에는 <印刷用 文字 標本>을 出刊하는데 앞서 前提한 內容들과 함께 活字를 普通,重刑,大型으로 나누며 패밀리 槪念을 처음 提案한 內容을 볼 수 있다. 末年에는 푸르니에의 最大業績이자 타이포그래피 技術 集約本人 《타이포그래피 메뉴얼 Manual Typographic》李 發行된다. 總 4卷으로 構想 되었지만 그가 죽기 前까지 發行된 冊은 2卷이다. 《타이포그래피 메뉴얼 Manual Typographic》에는 單純化된 푸로니에의 포인트法이 실려있으며, 活字鑄造의 理論과 實際에 對해 仔細하게 알 수 있다. [2] [3]

美國 : 印刷術 革新과 體系化 [ 編輯 ]

넬슨혹스(Nelson Hawks)의 活字크기 標準化 [ 編輯 ]

美國의 포인트法(American Point System)

1775年 프랑스의 타이포그래피 體系化 試圖는 다른 유럽 國家로 퍼져나갔다. 그러나 美國에서는 그보다 늦은 19世紀 後半부터 加速化되기 始作하였다. 19世紀 後半 美國에서는 오트마어 메르겐탈러(Ottmar Mergenthaler)가 發明한 活字를 한 行式 鑄造하는 方式의 植字機 라이盧타입 (Linotype), 톨버트 랜스턴(Tolbert Lanston)이 發明한 活字를 한글字씩 낱個로 鑄造하는 植字機 모노타입 (Monotype)이 나타나면서 印刷領域이 크게 發展하였다. [4] 印刷物의 需要가 增大되며 타이포그래피의 正確한 計測이 可能해진 時代였다. 또한 한 行式 鑄造하는 라이盧타입보다 낱자 修正이 可能해 正確한 計算이 可能한 모노타입으로 因해 後에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가 나타나면서 遠距離에서 制御할 수 있는 可能性을 열어주었다는 것을 보면 標準化에 큰 影響을 준 發明이라 할 수 있다. [2]

처음 美國은 푸르니에 1746年안 포인트 法을 採擇하여 使用하였지만 一般 度量衡과 完璧하게 連繫되지않아 批判을 받았다. 하지만 그 以後 大規模 活字鑄造所였던 마더 루스社(Marder, Luce, & Company)의 샌프라시스코 事務室을 맡고 있는 寺院 넬슨 혹스(Nalson Hawks)에 依해 活字 몸통의 標準化가 試圖되었다. 넬슨은 印刷所와 疏通하는데 非標準化된 活字때문에 생기는 일들을 繼續 맞닥드려야 했다. 問題를 最少化하기 위해 넬슨은 活字크기의 標準化의 體系를 考案해냈고 많은 努力과 時間을 들여 1886年 美國에서 完全히 받아들여졌다. 以後 1898年 英國에서도 正式으로 採擇되어 使用되었다. [3]

領域 [ 編輯 ]

現在 타이포그래피의 領域은 매우 厖大하며, 視覺디자인科 關聯된 全 分野에 두루 應用되고 있다. 타이포그래피 領域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包含된다.

디지털화되면서 申請書가 發達하고, 웹페이지, LCD 携帶電話 畵面, 손으로 잡는 비디오 게임이 出現하여 타이포그래피는 넓고 厖大하게 펼쳐지게 되었다. 타이포그래퍼들은 "글字는 어디에나 存在한다"는 句節처럼 到處에 存在하게 되었다.

傳統的인 타이포그래피는 4가지 原則에 따르는데: 反復, 大棗, 近接性과 整列에 따른다.

텍스트 타이포그래피 [ 編輯 ]

로만 書體 見本 윌리엄 카슬론 (William Caslon)

傳統的인 타이포그래피에서, 텍스트는 可讀性, 一貫性과 視覺的 滿足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을정도로만 읽는이에게 認識 없이 創造되었다. 書體 材料는 分割과 例外性을 最少化하여 構成되며 正確한 目的과 透明性이 있을 때에만 製作되었다.

草創期 書體 外觀은 글에 따라 폰트가 決定되었다.- 散文體 小說, 논픽션, 社說, 敎育用, 宗敎的, 科學的, 精神的인 內容과 商業的인 글쓰기에 따라 各其 다른 性質의 固有한 書體와 폰트를 使用하였다. 歷史的 材料로 出版된 글 書體를 보면 種種 歷史的인 形式의 計劃에 따라 印刷가 길게 增加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에 歷史的인 期間이 相當히 겹친다.

現在의 冊은 세리프(serif)가 定立이 잘 된 ‘텍스트 로만’ 或은 ‘北 로만’체로 니콜라스 젠슨, 프란체스코 그리抛(앨딘 書體의 모델을 創造한 活字工) 그리고 클라우드 개러몬드처럼 傳統的인 書體 모델에 基礎를 둔 書體로 大部分 오늘날 디자인 아트에 끊임없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들의 獨特한 樣式들은 簡潔하고, 딱맞게 맞춰져야 하는 세리프 글字 폰트들을 바탕으로 하는 新聞, 雜誌 같은 業務- 最大限 流動性 있고, 可讀性 있으며 페이지 效率이 有能하도록 알맞게 特別히 製作되었다. 산 세리프 폰트는 種種 冊 序文 段落, 흔히 쓰는 글 과 짧은 社說에 主로 쓰인다.

타이포그래피는 綴字法과 言語學 要素, 單語 構造, 劃 回數, 形態, 音聲構造와 構文論으로 調整한다. 타이포그래피는 또한 獨自的 文化 慣例 分野이다.

色(톤) [ 編輯 ]

타이포그래피에서 Color는 줄, 書體, 사이즈로 주된 決定이 이루어지는 페이지의 잉크 濃度를 말한다. 또한 글字 間隔과 餘白의 길이 包含한다. 글 레이아웃, 톤 科 全體 調和 色과 글과 페이지의 흰 餘白과 다른 그래픽 要素들이 합쳐서 ‘雰圍氣’ 或은 ‘反響’을 알리는 相互保安 作用을 글 全體에 드러나게 한다. 印刷 擔當 타이포그래퍼는 또한 바인딩 餘白, 種이 選擇과 印刷 方法 等을 잘 考慮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타이포그래피 [ 編輯 ]

19世紀 나무와 金屬을 利用한 포스터 印刷

디스플레이 타이포그래피는 그래픽 디자인안의 强力한 要素이다. 含蓄으로 可讀性을 높이고 藝術的인 글字體 使用을 좀더 可能하게 한다. 書體를 使用하지 않는 餘白에까지 넣을수있으며, 그래픽 要素와 그림, 聯關 內容과 單語와 이미지 사이의 對話로 複合할 수 있다.

글字要素의 톤과 사이즈는 텍스트 書體보다 훨씬 더 效果가 있다. 많은 디스플레이 타이포그래피는 活字 디자인에서 細部的으로 좀더 誇張된 큰 사이즈의 글字體를 開發한다. 톤은 좀더 內容의 雰圍氣를 잘 傳達할 수 있는 感情的인 效果를 일으키는 톤을 使用한다

디스플레이 타이포그래피는 다음과 같다:

  • 포스터, 冊 表紙
  • 타이포그래픽 로고와 言語마크, 빌보드
  • 패키지와 라벨, 製品속 타이포그래피, 캘리그래피
  • 그래피티, 碑文과 殿閣
  • 포스터 디자인과 다른 大型 크기의 標識板
  •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과 販賣弘報
  • 言語마크와 타이포그래피 로고(로고타입)
  • 映像과 텔레비전 속의 움직이는 글字, 自動販賣機 畵面, 온라인과 컴퓨터 畵面 디스플레이

아브라함 링컨의 暗殺者를 찾는 手配 포스터는 납版과 나무 조각 書體와 寫眞을 混合하여 印刷하였다.

廣告 [ 編輯 ]

타이포그래피는 오랜時間동안 프로모션과 廣告의 重大한 部分이다. 디자이너는 廣告의 테마와 雰圍氣에 맞게 타이포그래피를 자주 利用한다; 例를 들어, 볼드를 利用하거나 큰 글字를 利用하여 讀者에게 특정한 메시지를 傳達한다. 書體는 色의 效果的인 調和, 形態와 이미지를 混合하여 種種 特定 廣告에 맞춰 그려진다. 오늘날, 廣告속 타이포그래피는 會社의 브랜드를 反映한다. 廣告속 폰트는 讀者들에게 各其 다른 메시지를 傳達하고, 클래식한 폰트는 剛한 性格을, 좀더 現代化된 폰트는 깔끔함과 中性의 느낌을 준다. 볼드 폰트는 說明書를 만들 때 主로 使用되어 集中하게 한다.

碑文과 殿閣 글字 [ 編輯 ]

碑文의 書體 歷史는 活字디자인과 水攻 活字의 發達인 글쓰기의 歷史에서부터 詳細히 들어간다. 컴퓨터가 널리 普及되고 에칭과 모래噴射 테크닉이 發達한 오늘날 水攻 記念碑文 彫刻은 稀貴品이 되었고 美國內 殿閣의 數字도 漸次 減少하고 있는 趨勢다.

記念碑文은 글 內容을 좀더 愼重히 效果的으로 傳達해야 한다. 보는 이의 增加에 따라 글字의 面積과 間隔이 改善된다. 殿閣 名人은 그들의 作品에서 漸次 熟鍊되고 觀察을 통해 이런 微妙한 差異들을 理解해간다. 글字는 손으로 쓰이고 丈人의 손에서 彫刻을 통해 글字 깊은 곳에서까지 아름다움과 고급스러움이 살아난다. 이는 많은 時間을 所要하게 되고, 모래噴射機法과 같은 自動化 産業工程에서는 絶對 따라할 수 없는 것이다.

모래噴射 技法 殿閣을 만들기 위해서는, 컴퓨터 파일로 고무판을 레이저로 잘라 돌에 붙인다. 그 後 모래를 表面에 噴射하면 表面을 곱게 갈아낸다. 안타깝게도 많은 컴퓨터가 이 파일을 應用하여 殿閣을 만들었는데, 레이저 커터에는 書體를 많이 갖고 있지 않아 種種 質이 낮은 書體가 나오곤 한다. 쉽고 빠르게 몇分안에 끝마칠 수 있으나, 塡刻에 금이 가고 갈리地高 彫刻의 內部面이 弱하게 나타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金炳朝.타이포그래피 空間의 垂直的 秩序》
  2. 《로빈 킨로스.현대 타이포그래피.최성민.作業室幽靈,2020》
  3. 《로빈 도드.타이포그래피의 誕生.김경선.洪디자인,2010》
  4. 韓國타이포그라피學會 (2004). 《타이포그래피 事前》. 안그라픽스.  

外部 링크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