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르바바 平原 戰鬪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크르바바 平原 戰鬪
오스만 帝國의 유럽 侵攻
오스만-크로아티아 戰爭 의 一部

오스만 帝國 아킨시스 의 戰鬪
날짜 1493年 9月 9日
場所
南部 크로아티아 의 크르바바 平原
結果 오스만 帝國의 決定的 勝利 [1]
交戰國
오스만 帝國 크로아티아-헝가리 同君聯合
指揮官
보스니아人 山드자크 베그 下둠 자쿱 파샤 미르코 데렌친
兵力
아킨시스 8,000名 中企病 2,000名
步兵 8,000名
被害 規模
1,000名 戰死 8,000名+ 戰死

크르바바 平原 戰鬪 ( 헝가리語 : Korbavmezei csata )는 크로아티아-헝가리 同君聯合 (크로아티아 王國)과 오스만 帝國 軍이 1493年 9月 9日 크로아티아 에서 벌인 戰鬪이다. 이 戰鬪는 半 미르코 데렌친 (Ban Mirko Deren?in)李 指揮하던 크로아티아 軍隊의 完敗로 끝났다. [2]

背景 [ 編輯 ]

보스니아 王國 1463年 陷落되어 오스만 帝國의 손에 들어간 以後, 크로아티아 王國의 南部와 中央部는 오스만 帝國의 攻擊에 露出되었고, 防禦는 少數의 軍隊로 自身의 費用을 들여 要塞化시킨 國營을 지켜야 하는 크로아티아 貴族들 손에 맡겨지게 되었다. 오스만 帝國軍은 보스니아 王國을 滅하고 나서 네레트바江 (Neretva)으로 進軍하여 헤르체고비나 (Herzegovina; 라마 (Rama)를 1482年 陷落시켰다. 그들은 이를 通해 强力하게 要塞化된 國境을 巧妙하게 避해 크로아티아 로 進軍할 수 있는 길을 찾아냈다. 크로아티아 王國을 占領함으로써, 오스만 帝國 輕騎兵隊는 카린티아 (Carinthia)와 카르니올라 (Carniola)와 같은 都市를 攻略하여 베네치아 共和國 의 國境을 壓迫할 수 있었다.

準備 [ 編輯 ]

오스만 帝國軍의 攻擊을 막아내기 위해 1493年 여름 크로아티아 人들은 非세로이 에메리크 데렌친(Viceroy Emerik Derencin)의 指揮 下에 中部 크로아티아에 있는 크르바바 平原(現在의 우드비나 (Udbina) 近處)에 그들의 兵力을 집결시키려 하였고, 여기서 오스만 帝國軍의 虛를 찌르기 위해 待機하고 있었다. 이러는 동안 오스만 帝國軍의 司令官 山드자크 베그 下둠 자쿱 파샤(Sandjak-beg Hadum Jakub Pasha)와 8,000名의 아킨치 (Akıncı;투르크 輕騎兵)는 스티리아 (Styria)와 크로아티아令 자고레(Zagorje)에 對한 攻掠을 끝내고 물러나던 中이었다.

크르바바 平原에서 待機하던 非세로이 데렌친 麾下의 크로아티아의 封建 領主들의 部隊는 크로아티아 全 地域에서 集結한 2,000名의 重騎兵과 8,000名의 步兵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크로아티아 人들은 그들의 힘을 過信하고 있었다.

1493年 9月 9日의 日出은 크로아티아 歷史上 가장 凄凉한 事件의 始作을 알리고 있었다.

戰鬪 [ 編輯 ]

크로아티아軍은 오스만 帝國軍에게 突擊하였다. 中世的인 크로아티아 記事들에 비해 오스만 帝國 輕騎兵隊가 有利한 平原으로 크로아티아軍을 끌어들인 後에, 오스만 帝國軍은 前衛, 側面, 後方으로 크로아티아 君을 包圍하였다. 크로아티아軍은 미르코 데렌친 을 包含한 크로아티아 貴族들의 精髓라 할 수 있는 無數한 많은 사람들을 잃을 程度의 完璧한 被害를 입었다. [3]

影響 [ 編輯 ]

敗北는 確實했다. 하루 만에 約 7,000名의 크로아티아軍이 목숨을 잃었고, 이 中에는 많은 數의 크로아티아의 封建 貴族들이 包含되어 있었다. 크르바바 平原의 敗北는 모든 階級의 크로아티아人들을 衝擊에 빠트렸다. 그러나 이는 더욱더 剛한 敵의 攻擊에 對抗한 크로아티아人들의 繼續的인 抵抗意志를 꺾어놓지 못했다. 이 戰鬪 以後에, 크로아티아 亡命者들 一部는 오스트리아 로 물러나고, 다른 이들은 이탈리아 의 海岸 地方으로 移住하였다. [3]

各州 [ 編輯 ]

  1.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By Richard C. Frucht, pg. 422
  2. Democratic Transition in Croatia: Value Transformation, Education & Media By Sabrina P. Ramet, Davorka Matic, pg. xii
  3. Croatia: A History By Ivo Goldstein, Nikolina Jovanovic, pg.31
  • Fred Singleton, A Short History of the Yugoslav People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