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忠州 金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忠州 金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忠州 金氏
忠州 金氏
나라 韓國
貫鄕 忠淸北道 忠州市
時調 김남길(金南吉)
原始鳥 김알지 (金閼智)
人口(2015年) 10,582名

忠州 金氏 (忠州 金氏)는 忠淸北道 忠州市 를 本館으로 하는 韓國의 姓氏 이다.

歷史 [ 編輯 ]

忠州金氏時調(忠州金氏 始祖) 김남길(金南吉)은 경순왕(敬順王)의 세째 아들 領分공(永芬公) 김명종(金鳴鍾)의 16歲손으로 忠肅王 때 兵部侍郞을 지낸 김정윤의 아들이다. 高麗 忠肅王 때 태어나 文科에 及第하고 벼슬이 平章事 門下侍中에 이르렀다. 恭愍王 때 太子貸付를 지낸 뒤 充員群(忠州의 옛 이름)에 封해졌다. 그래서 後孫들이 忠州를 本官으로 삼았다.

時調 남길(南吉)의 玄孫(玄孫) 만수(萬守)의 아들 道民(道敏)은 1466年(世祖 12) 文科(文科)에 及第하고 吏曹 參議(吏曹參議)에 올라 直諫(稙諫)을 하다가 平北(平北) 鐵山(鐵山)으로 流配(流配)되었고, 그後 아우 韻民(雲敏)은 咸南(咸南) 定評(定平)으로 이거(移居)하였으며, 道民(道敏)의 둘째 아들 兩漢(亮漢)은 平北(平北) 碧潼(碧潼)으로, 세째 양희(亮禧)는 平北(平北) 義州(義州)로 옮겨 살면서 後孫들이 官西北 地方(關西北地方)에 많이 살게 되었다.

忠州金氏는 朝鮮時代 90餘 名이 官職에 올랐고, 判書 3名, 烽軍(封君) 2名, 功臣 1名을 輩出했다.

2015年 統計廳 人口調査 結果에 依하면 忠州金氏(忠州金氏)는 南韓(南韓)에 總 10,582名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世 김알지

2歲 歲寒 /居西干

3世 阿道 /葛文王

4歲 水流 /大王

5歲 욱補 /大王

6歲 構圖 /葛文王

7歲 미조 /味鄒王

7歲 말구 /忠情大王

8歲 내물 /奈勿王

9歲 復戶 /葛文王

10歲 習步/葛文王

11歲 地帶/지증왕

12歲 晉종/角干

13歲 欠韻?침연?/角干

14歲 馬車/角干

15歲 法線/現聖王

16歲 議官/新영왕

17歲 疑問/興평왕

18歲 孝養/名덕왕

19歲 更新/원성왕

20歲 예영/惠岡王

21歲 均貞/聖德王

22歲 雨徵/신무왕

23歲 경응/문성왕

24歲 안/上大等

25歲 민공/市中

26歲 실洪/의홍王

27歲 孝宗/新興王

28歲 部/경순왕


敬順王의 3男 慶州郡 慶州金氏 領分公派

29歲 明宗/領分공

30歲 선부/임흥공

31歲 毅宗/파간

32歲 鷄雍/파간

33歲 興業/아개공

34歲 例兼/內史令

35歲 酒酊/太子少傅

36歲 義陣/平章事

37歲 ??性/强化金氏

38歲 ??

39歲 迎鼓/闔門至厚

40歲 인경/貞淑공

41歲 櫃/平章事

42歲 요/충선공

43歲 정윤/시랑


44歲 남길/충원군 平章事公派


45歲 이련 李瑱 만수

46歲 맹광 道民 韻民

47歲 首唱 兩漢 양희


(忠州)는 忠淸北道(忠淸北道) 中央部(中央部)에 位置하는 地名이다. 高句麗 475年(高句麗 장수왕 63) 局員性(國原城)이라 하였다. 或은 腕章性(?長城)으로 불렸다. 新羅에 倂合되어 진흥왕 (眞興王) 때 이곳에다 小京(小京)을 두었고, 경덕왕(景德王)李 中原京(中原京)으로 고쳤다. 940年(高麗 太祖 23) 忠州(忠州)로 改稱하고, 983年(成宗 2) 忠注目으로 昇格되었다. 1395年(太祖 4) 忠淸道觀察使를 두었으며, 1895年(高宗 32) 충주부 忠州軍이 되었다가 1896年에 충주부가 廢止되고 忠淸北道 道廳所在地가 되었다. 1908年(純宗 2) 盜聽을 淸州로 移轉시키고 郡守를 두었다. 1956年 충주시로 昇格되었다.

人物 [ 編輯 ]

  • 김진성(金進聲) 朝鮮朝에 禦侮將軍(禦侮將軍)에 이르렀다.
  • 김효선(金孝先) 朝鮮 때 通政大夫(通政大夫)에 올랐다.
  • 김영익(金永益) 朝鮮에서 折衝將軍(折衝將軍)에 올랐다.
  • 김정삼(金鼎三) 朝鮮朝에 中樞府 錄事(中樞府祿事)에 올랐다.
  • 김맹호(金孟浩) 朝鮮 때 全羅 監査(全羅監司)를 지냈다.
  • 김맹연(金孟淵) 朝鮮 때 兵曹 判書(兵曹判書)를 歷任하였다.
  • 김중청(金仲淸) 朝鮮 때 春秋館 記事官(春秋?記事官)을 지냈다.
  • 김도민(金道敏) 號는 鐵棺(鐵冠). 1466年(世祖 12) 吏曹 參議(吏曹參議)로 있을 때 王에게 直諫(直諫)을 한 理由로 鐵山(鐵山)에 流配되었다.
  • 김운민(金雲敏) 朝鮮 때 文科에 及第하여 정언(正言)을 지냈다.
  • 김건화(金建化) 朝鮮朝에 承旨(承旨)를 歷任하였다.
  • 김양수(金亮水) 號는 手動(水洞). 朝鮮 때 禮曹 判書(禮曹判書)를 지냈다.
  • 김양한(金亮漢) 號는 壁헌(碧軒). 朝鮮 때 文科에 及第하여 吏曹 判書(吏曹判書)를 歷任하였다.
  • 김양희(金亮禧) 號는 萬와(灣窩). 朝鮮에서 掌令(掌令)을 지냈다.
  • 김송산(金松珊) 朝鮮 때 禦侮將軍(禦侮將軍)에 이르렀다.
  • 김만형(金萬亨) 朝鮮 때 文科에 及第한 後 承旨(承旨)를 지냈다.
  • 김세순(金世順) 朝鮮 때 武科에 及第하여 博川 郡守(博川郡守)를 歷任하였다.
  • 김희준(金熙俊) 朝鮮朝에 戶曹 佐郞(戶曹佐郞)을 歷任하였다.
  • 金 수(金 守) 朝鮮에서 銀桂度 察訪(銀溪道察訪)을 지냈다.
  • 김용우(金龍佑) 朝鮮 때 龍驤侍衛司우령護軍(龍?侍衛司右領護軍)을 歷任하였다.
  • 김 熱(金 冽) 者는 赦免(泗綿). 1717年(肅宗 43) 文科 及第 後 縣監(縣監)을 지냈다.
  • 김병원(金炳垣) 1851年(哲宗 2) 文科(文科)에 及第하였다.
  • 김대윤(金大胤) 者는 見性(見聖). 1869年(高宗 6) 정시문과(庭試文科)에 及第했다.
  • 김예진  : 獨立運動家
  • 김동원  : 本名 김동혁(金東爀), 俳優
  • 김준엽 (金俊燁) : 고려대학교 總長
  • 김대현 : 延世大學校 卒業, 現 카카오 在職. 헛소리를 매우 잘한다

人口 [ 編輯 ]

統計廳의 人口調査에 依하면 忠州金氏는 1985年에는 總 2095家口 8342名, 2000年에는 總 2923家口 9099名이 있는 것으로 調査되었다. 15年 만에 9百餘 家口, 800餘 名이 늘어났다. 1985年 當時 全國의 地域別 人口 分布는 서울 3660名, 釜山 644名, 大邱 215名, 仁川 416名, 京畿 1284名, 江原 654名, 忠北 250名, 忠南 425名, 全北 134名, 全南 129名, 慶北 261名, 慶南 231名, 濟州 39名이다. 서울·仁川·京畿地域에 全體 人口의 折半假量이 살고 있었다.

그 뒤 15年 後인 2000年 基準으로는 서울 3100名, 釜山 545名, 大邱 233名, 仁川 626名, 光州 57名, 大戰 269名, 蔚山 105名, 京畿 2451名, 江原 566名, 忠北 289名, 忠南 206名, 全北 86名, 全南 71名, 慶北 272名, 慶南 200名, 濟州 23名,美國 5 名이다. 1985年과 마찬가지로 서울, 仁川, 京畿地域에 가장 많다. 나머지 地域에도 고루 分布되어 있다

各州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