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文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文學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_文學)은 8.15 光復 以後의 越北作家들에 依하여 形成되었다.

槪要 [ 編輯 ]

8.15 解放 과 함께 韓半島 分斷 이 일어나던 時期, 수많은 作家들이 38線을 넘어 南에서 北으로, 또는 北에서 南으로 移動하였고, 以後 發達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以下 北韓)의 文學은 政府의 介入으로 크게 統制되었다. 文學의 中心은 조선문학가동맹 을 前身으로 한 조선작가동맹 으로, 이들은 “主體文學論”을 통해 文學이 最高 守令의 뜻을 따라야함을 分明히 하였으며, 1953年 한설야 는 全國 作家.藝術家 大會에서 陳述한 報告에서 "우리의 文學藝術은 黨籍인 文學藝術"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1] 現在 北韓의 文學은 조선작가동맹의 作家들만이 製作, 出版할 수 있도록 制限되어 있다.

北韓 文化部는 冷戰 時代 동안 北韓의 文學을 러시아 中國 으로 輸出하였다. 그에 따라 수많은 作品들이 러시아語로 飜譯되어 輸出되었다. 이 過程에서 이기영 , 홍명희 , 韓雪野의 作品은 中國, 러시아에 紹介되었다.

沿革 [ 編輯 ]

1945年 9月 17日 結成됐던 朝鮮 프롤레타리아 文學同盟이 조선문학건설본부와 1945年 12月 조선문학가동맹 으로 統合되는 過程에서 한설야 · 이기영 等이 理念을 따라 먼저 越北하고, 뒤이어 송영 · 이동규 · 윤기정 · 안막 · 박세영 等이 越北함으로써 北韓文學의 原形이 形成되었다. 여기에 조기천 으로 대표되는 蘇聯派의 歸國, 남로당 과 함께 越北하는 이태준 · 林和 · 김남천 · 李源祚 等이 뒤늦게 加勢하여 北韓 文段이 量的 膨脹을 보이면서 葛藤像이 드러났다. [2]

1946年 3月 北朝鮮文學藝術總同盟이 結成되면서 植民地時代 階級主義 文學路線을 共産主義 政治路線과 結合하여 北韓文壇이 成長하게 되는데, 6·25 를 전후해서 정지용 · 김기림 · 박태원 · 설정식 · 이용악 等의 납·越北이 이루어지면서 北韓文壇의 再編成이 마무리되었다. 以後 北韓文壇은 6·25 後 남로당 系列의 作家인 林和 等을 肅淸하고 强勁階級主義 路線을 再闡明한다. 이러한 北韓文壇의 體制整備는 1961年 3月 朝鮮文學藝術總同盟 이 結成되면서 完了되었으며, 이 時期를 전후하여 戰後世代(戰後世代)가 登場했다. [2]

時代 區分 [ 編輯 ]

北韓文學의 時代區分은 大體로 南韓 의 것과 類似한 點이 많다. 1986年에 發行된 《朝鮮文學槪觀》에는 北韓文學의 時代區分을 다음과 같이 列擧했다. [2]

  • 1945年 8月 ~ 1950年 6月: 平和的 建設時期 文學
  • 1950年 6月 ~ 1953年 7月: 偉大한 祖國解放時期 文學
  • 1953年 7月 ~ 1960年: 戰後復舊建設과 社會主義 基礎建設을 위한 鬪爭時期 文學
  • 1961年 以後: 社會主義의 全面的 建設과 社會主義의 完全 勝利를 앞당기기 위한 鬪爭時期 文學

이렇게 볼 때 北韓의 文學史 時代區分은 南韓과 같이 政治的 變動에 依한 要因들이 文學에 많이 作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朝鮮文學槪論》 以外에도 《조선문학통사》나 《조선문학사》 等에도 時代區分이 되어 있는데, 위의 區分과 別般 다를 것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2]

基本 思想 [ 編輯 ]

北韓의 는 基本的으로 黨의 文藝政策을 基調로 展開된다. 黨의 文藝政策의 根幹을 이루고 있는 것은 主體思想 이다. 主體思想은 北韓의 對內外 政策에 基礎를 이루는 思想으로 "革命과 建設의 主人이 人民大衆이며, 革命과 建設을 主動하는 힘도 人民大衆에게 있다."는 思想으로서 人間을 모든 思考의 中心에 두고 있다"고 말한다. 卽, 北韓의 文學은 社會主義的 思想을 民族的 形式으로 表現하는 것으로, 黨性·勞動階級性·人民性을 基盤으로 具現된다. 이런 基盤에 依한 文學이 人民大衆에게 服務할 수 있기 때문에 大衆性과 群衆性을 確保해야 한다는 것이다. [2]

北韓의 作家들 [ 編輯 ]

小說家 [ 編輯 ]

  • 이기영 (李箕永, 1895~1984): 代表作品 《豆滿江》, 《봄》 等 [3]
  • 홍명희 (洪命熹, 1888~1968): 代表作品 《 림꺽情 》 等 [4]
  • 한설야 (韓雪野, 1900~1976): 代表作品 《승냥이》 等 [5]
  • 강귀미 : 代表作品 《삶의 位置》, 《나의 家庭 이야기》 等. 2000年 勞動黨 創建 55돌 記念 文學祝典上 受賞. [6]
  • 홍석중 (1941~): 代表作品 《높새바람》, 《黃眞伊》. 洪命憙의 孫子로 2004年 北韓人으로써는 唯一하게 萬海文學賞 을 受賞. [7]

是認 [8] [ 編輯 ]

  • 白蝦: 代表作品 《불타는 해》 等
  • 里嶺蔘: 《기다리는 땅》으로 2001年 '朝鮮文學' 祝電上 受賞 [9]
  • 新興國
  • 同期춘: 代表作品 《고요한 바다》 等
  • 최영화: 詩集 《黨의 숨결》, 《날개》, 《크나큰 사랑》. 김일성賞(1982) 桂冠人 [9]
  • 리현철
  • 렴형미

月刊誌 [ 編輯 ]

조선작가동맹에서는 1948年부터 機關紙 《 朝鮮文學 》을 每月 發行하는데, 이는 外國에서 購讀이 可能하다. [10] 以外에도 《靑年文學》도 發刊되고 있으며, 不定期的으로 《통일문학》을 發刊, 南北 및 海外 同胞의 文學을 紹介한다. [11]

現代 文學 [ 編輯 ]

아직 조선로동당 의 監視를 避해 非公式的인 文學 刊行이 이루어진다는 證據는 없다. 2006年 國際 文學 定期刊行物 《國境 없는 文學》 (Words Without Borders)에서는 “惡의 祝儀 文學”이라는 題目으로 4個의 北韓 文學을 紹介하였는데, 강귀미 , 홍석정 , 임화원, 전병주 等의 作品이 실렸다. 作品들은 大體로 金正日 에 對한 忠誠을 盟誓하거나 美國 을 批判하거나 統一에 對한 念願을 담고 있다.

各州 [ 編輯 ]

  1. 《朝鮮文學》 1953年 10號, 125쪽
  2. 言語I·韓國文學·論述/현대 文學/현대 後期 文學/北韓의 文學, 《글로벌 世界 大百科》
  3. 박태상, “李箕永의 小說文學 硏究 : 『開闢』과 『땅』에 나타난 北韓의 社會現實을 中心으로”, 韓國放送通信大學校論文集 30(2000.8) pp.3-41, 韓國방송통신대學校
  4. 홍명희 - Daum 百科事典
  5. 조영복 (2002年 9月 10日). 〈한설야 - 하나의 選擇을 向해 달려간 北方人〉. 《越北 藝術家, 오래 잊혀진 그들》. 서울: 돌베개. ISBN   978-89-7199-150-3 .  
  6. 최척호, “北 最高의 女流 小說家 강귀미”, 統一뉴스, 2002年 7月 11日
  7. 김영번, “올 萬海文學賞 `北 홍석중의 황진이`選定”, 文化日報, 2004年 7月 22日
  8. 홍용희 外, “오늘의 朝鮮市와 朝鮮時人들②”, 문화저널21, 2009年 6月 26日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9. 홍용희 外, “오늘의 朝鮮市와 朝鮮時人들①”, 문화저널21, 2009年 6月 26日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10. 임채욱 저, 北韓 文化의 理解, 《朝鮮文學》 128페이지
  11. [이충렬, “南쪽 作家와 하나된 民族文學 만들터 ? 北의 作家를 찾아서4”, 한겨레, 1991年 12月 26日] 現在까지 發刊되고 있는지 出處는 不明確하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