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누크티투트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이누크티투트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누크티투트어
??????, Inuktitut, Inuttitut, Inuktitun, Inuinnaqtun, Inuttut 等
使用 國家 캐나다 ( 누나부트 樽酒 , 누나비크, 노스웨스트 樽酒 , 누나트시아부트 ), 美國 ( 알래스카주 )
使用 地域 北아메리카
言語 人口 3萬 4,000 名 (2011年)
文字 로마字 , 캐나다 原住民 音節文字
言語 系統 이누이트알류트語族
  이누이트魚群
   이누크티투트어
公用語 및 標準
公用語로 쓰는 나라 캐나다의 기 캐나다 ( 누나부트 樽酒 , 누나빅 ( 퀘벡州 ), 노스웨스트 樽酒 , 누나트시아부트 )
標準 Inuit Tapiriit Kanatami를 비롯한 各種 地域 機關.
言語 富豪
ISO 639-1 iu
ISO 639-2 iku
ISO 639-3 多數:
iku  ? 이누크티투트어(標準)
ike  ? 東部 이누크티투트어
ikt  ? 西部 이누크티투트어
이누이트어군 언어의 사용 지역과 방언
이누이트魚群 言語의 使用 地域과 方言

이누크티투트어 ( ?????? )는 이누이트어 의 一種으로, 캐나다 北部에서 使用되는 方言群이다. 캐나다 누나부트 樽酒 노스웨스트 樽酒 公用語 로 指定되어 있으며, 퀘벡州 누나빅 에서는 이누이트 學校에서 言語를 가르칠 수 있도록 法的으로 指定되어 있다. 이누크티투트어는 이누크티투트 固有 文字 또는 라틴문자 로 表記된다.

文法 [ 編輯 ]

이누크티투트어는 接辭를 붙여 表現하는 體系를 갖고 있기 때문에, 낱말이 길어지는 境遇가 많다. 例를 들면,

tusaatsiarunnanngittualuujunga
나는 잘 들을 수 없습니다.

위 文章은 ‘듣다’라는 뜻의 tusaa에 여러 個의 接辭를 붙여서 만들어진다.

???????????)???????????????????????????????????

-

??????????????????????????????????????

?

???????
??????????


?

(否定文을 만든다)
-tualuu- 아주
-junga 1人稱 斷水

이누이트語에는, 一部 著作物에서 主張되는 것처럼, 눈에 關한 數百 個의 言語가 있는 것은 아니며, 語彙의 個數를 세는 方法에 따라 다르게 調査된다. 厚하게 쳐서 專門家들은 約 10個 程度라고 한다. [1] 이누이트語에서 눈이라는 뜻의 낱말은 qanik와 aput이 있는데, 이누크티투트語에서는 여기에 여러 接辭를 붙여서 길고 多樣한 ‘낱말’들을 만들어 낸다. 이는 韓國語에서 用言 을 더해서 낱말의 主體를 더 仔細히 말해주는 것과 비슷하다. (‘내리는 눈’, ‘흩날리는 눈’ 等)

陰性 [ 編輯 ]

IPA Inuujingajut 備考
傳說 悲願順 低母音 單母音 / a / a
長母音 / / aa
傳說 悲願順 高母音 單母音 / i / i 單母音 i 는 가끔 [ e ] [ ? ] 로 소리낸다.
長母音 / / ii
후설 悲願順 高母音 單母音 / u / u 單母音 u 는 가끔 [ o ] [ ? ] 로 소리낸다.
長母音 / / uu
純音 齒槽音 硬口蓋音 軟口蓋音 口蓋垂音 備考
茂盛 破裂音 p / p / t / t / k / k / q / q /
  • 모든 破裂音은 無氣音 이다.
  • Siglitun에서 [ x ] /k/ 를 代身하고, 다른 方言에서도 홀소리 사이, 홀소리와 半홀소리 사이에서는 [ x ] 로 소리내기度 한다.
  • /q/ r 로 쓰기도 한다.
茂盛 摩擦音 s / s /
ł / ? /
( h / h / )
  • Kivallirmiutut와 Natsilingmiutut에서는 h s 를 代身하며 Inuinnaqtun에서는 h s , ? 를 代身한다.
  • ? & , l 로 表記하기도 한다.
有聲音 v / v / l / l / j / j /
( j / ? / )
g / ? / r / ? /
  • /?/ 는 大部分의 方言에서 쓰이지 않으며 따로 쓰이는 글字가 없다.
  • Siglitun에서 [ ? ] /?/ 를 代身하고, 다른 方言에서도 홀소리 사이, 홀소리와 半홀소리 사이에서는 [ ? ] 로 소리내기度 한다.
  • /?/ 는 비음 앞에서 [ ? ] 童話 한다.
비음 m / m / n / n / ng / ŋ /

表記 體系 [ 編輯 ]

이누크티투트어 音節 文字. 各各의 文字 오른쪽에 該當하는 로마字 表記가 쓰여 있다. 點이 찍힌 것은 長母音을 나타내며, 이를 로마字로 쓸 때에는 모음을 重複해서 쓴다.

이누크티투트語를 記錄하는 方法은 地方마다 다르다. 위에서 쓰인 로마 文字 表記는 누나부트 州에서 쓰이는 Inuujingajut이다. 西部 누나부트와 노스웨스트 테러토리에서는 이누이트語의 方言을 쓰기 때문에 表記가 다르다. 알래스카에서 쓰이는 表記도 앞서 說明한 것과 다른 것이다. Nunatsiavut에서는 獨逸語를 쓰는 宣敎師가 考案한 表記法을 쓰고 있으며, 여기엔 크라(ĸ)도 쓰인다.

1970年代에 캐나다의 Inuit Cultural Institute에서는 宣敎師 제임스 에번스 크리어 를 위해 考案한 音節 文字 를 表記 體系로 받아들였다. 音節 文字로 불리지만 이를 아부기다 로 여기는 사람도 있다. 이 文字는 유니코드 文字集合에 包含되어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문미선 신효식 옮김, 《言語本能》, 東녘사이언스, 2004, 95쪽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