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육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육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漢字
發達過程
甲骨文字
金門
戰서 ( 大戰 , 素筌 )
繁體
簡體
書體
예서   · 해서   · 行書   · 草書
글꼴
宋朝體   · 明朝體   · 淸朝體   · 고딕체   · 굴림體   · 교과서체
分類法
筆劃   · 筆順   · 육서   · 附隨
漢字의 標準化
標準
常用漢字 康熙字典
文字 改革
본자 正體字
簡體字
弱者 神自體
漢字의 主音및 表音火
半切 · 注音符號 · 倉頡輸入法 · 漢語병음
나라別 使用
中國 大陸·타이완
홍콩·마카오
韓國 ( 韓國 漢字音 )
日本 ( 日本 漢字音   · 류큐 漢字音 )
베트남 ( 한월어   · 고한월어 )
派生文字1
韓國製 漢字 ( 吏讀 , 鄕札 , 口訣 ) · 日本 국자 · 쯔놈 · 方言子 · 測天 文字 · 房怪長子 · 房怪童子
派生文字2
히라가나   · 가타카나   · 萬요가나   · 餘서문자   · 西夏 文字   · 거란 文字   · 女眞 文字

v   ?   d   ?   e   ?   h

육서 (六書, liush?)는 漢字 를 여섯 가지로 分類한 것을 일컫는다. 漢字는 基本的으로 表意文字 에 屬하나, 文字가 만들어지고 使用되는 方法에 따라서 더 仔細하게 나눌 수 있다. 象形(象形), 指事(指事), 會意(會意), 形聲(形聲), 全州(轉注), 假借(假借)의 여섯 가지를 六書라고 부른다. 漢字에서 各 分類가 차지하는 比重은 象形字와 지獅子가 가장 낮고, 形聲字가 가장 높다.

歷史 [ 編輯 ]

現在 六書는 象形, 指事, 會意, 形成, 全州, 假借의 여섯 가지를 뜻하지만, 이 이름들이 처음부터 定着된 것은 아니다. '육서'라는 單語가 맨 처음 登場한 게 周나라 의 官僚 制度를 說明한 《 主禮 》이지만 [1] , 六書가 무엇인지에 關한 具體的인 說明은 없다. 또 班固 가 編纂한 《 漢書 》 藝文志에도 言及이 있으나 [2] , 여기서는 六書를 象形, 上司(象事), 相議(象意), 상성(象聲), 全州, 假借로 分類했으며, 六書를 '助子(造字)의 根本'이라고 定義했다. 이 分類 方式은 順列(荀悅)의 《寒氣(漢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3] . 또 정현 의 《主禮週(周禮注)》에서는 六書를 象形, 會議, 前週, 處事(處事), 假借, 해성(諧聲)으로 分類했으나 [4] , 各各에 對한 說明은 없다.

現在의 分類와 分類 基準이 定着된 건 許愼 이 著述한 《 說文解字 》라는 自轉에 依해서다. 許愼은 이 冊에서 序論에 六書를 現在 알려진 대로 分類하고 [5] , 各 分類에 對한 說明도 追加해, 그 原理에 依해 附隨 에 따라 漢字를 配列했다. 이 時期에는 六書의 順序가 知事, 象形, 形成, 會議, 前週, 假借였으나, 現在는 一般的으로 志士와 象形, 會議와 形成이 各各 順序가 바뀌어 있다. 이 以後, 六書는 漢字를 分類하는 基準이 되었고, 또 그 漢字의 語源을 探索하는 手段이 되기도 했다. 1899年에 甲骨文字 가 發見되었을 때, 그 文章을 解釋할 때도 六書가 큰 도움이 되었다.

分類 [ 編輯 ]

象形, 指事, 會意, 形成 네 가지는 글字를 만드는(造字) 方法이고, 全州, 假借는 글字를 活用하는(運用) 方法이다. 다만, 全州는 躁恣인지 運用인지에 對해서 論難이 若干 있다. 이는 前週 自體의 模糊性 때문이다. 이는 아래의 全州 項目 參照

또한, 說文解字에서는 躁恣原理에 依한 分類인 象形, 指事, 會意, 形成을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첫 番째는 獨體者(獨體字)로, 象形字과 지獅子가 여기에 屬한다. 이 둘은 構成이 單純해서 글字를 더 以上 쪼갤 수 없거나, 쪼개면 아예 그 말이 가지는 意味가 없어지는 글字로, (例를 들면 日의 境遇, 글字를 더 쪼갤 수 없는 獨體者이다. 억지로 쪼개어 外形과 點으로 나눌 수 있지만, 그럴 境遇 '태양'이라는 뜻이 사라진다.) 說文解字에서는 이 둘을 '門(文)'이라고 불렀다. 두 番째는 合體子(合體字)로, 毒體姿가 두 個 以上 모인 글字를 뜻한다. 會意字와 形聲字가 여기에 屬하며, 說文解字에서는 둘을 '者(字)'라고 불렀다. 이 둘을 합쳐서 '文字(文字)'라고 불렀으며, '說文解字'는 '文字'를 解說한다는 뜻이다. [5]

象形 [ 編輯 ]

二曰象形。象形者,?成其物,隨體詰?,日月是也。

둘째는 象形이라 한다. 象形이란 그려서 그 事物을 이루는 것으로,

形體를 따라 굽게 되며, '日'과 '月'李 그러하다.

? 《 說文解字

形態가 있는 具體的 物體의 形象을 본따 만드는 方式으로, 지獅子의 創製原理와 反對되는 方式이다. 宋나라 정초(鄭樵)는 24235 者 中 608 者를 象形字로 分類했다. 가장 原始的인 方式이기 때문에, 육서 中에서 가장 먼저 생긴 方式으로 認知되고 있다. 實際로 現在까지 中에선 가장 初期에 形成된 文字인 甲骨 文字 의 境遇, 全體에서 象形字가 차지하는 比重이 4分의 1 程度로, 現在 漢字에서 象形字가 차지하는 比重보다 훨씬 높다. 또한, 甲骨文에서는 象形字가 元來 본뜸의 對象이 된 物體의 形態가 거의 維持되어 있었지만, 時間이 흐르고 書體가 바뀜에 따라 本來의 形態를 大部分 잃어 버렸다. 例를 들어 날 일(日)은 甲骨文에서는 圓 안에 點(또는 선)이 있는 形態로, 黑點이 있는 太陽 을 본따 만든 글字임을 알 수 있었지만, 現在의 글씨體는 그 形態가 많이 일그러져 있다. 이는 글字를 쓸 때 번거로움을 줄이기 爲해서 글字를 더 抽象化했기 때문이다. 이는 쐐기 文字 에서도 確認할 수 있다.

象形字는 독체자이기 때문에 글字를 쪼개는 것이 거의 意味가 없다. '日'을 太陽의 表面을 나타내는 바깥의 四角形과 黑點을 나타내는 안쪽의 線으로 分析할 수 있지만, 太陽을 太陽의 表面과 黑點으로 나누는 것은 딱히 意味가 없다. 마찬가지로 말 마(馬)를 머리, 몸통, 꼬리에 該當하는 部分으로 나눌 수 있지만, 그렇게 나누는 것이 딱히 意味를 가지지는 않는다. 이런 象形字는 나중에 複雜한 뜻을 가지는 글字를 만들기 爲해 必要한 構成要素로 作用되며, 이 때문에 象形字는 一般的으로 附隨 다. 또한, 龍 龍(龍), 거북 귀(龜), 쥐 서(鼠), 맹꽁이 맹(?)과 같이 劃數가 比較的 많은 部數는 거의 大部分이 象形字다.

象形字의 예:

知事 [ 編輯 ]

一曰指事。指事者,視而可識,察而見意,上下是也。

첫째는 知事라 한다. 知事란 보아서 알 수 있고,

살펴서 그 뜻이 나타나는 것으로, '上'과 '下'가 그러하다.

? 《 說文解字

象形이 그려낼 수 있는 具體的인 事物을 對象으로 글字를 만드는 方式인 데에 비해, 直接 그려낼 수 없는 抽象的이면서 比較的 基本的인 槪念을 表現하기 위해 만드는 形式으로, 點과 線을 利用해서 象徵이 될 수 있는 符號로 글字를 만드는 方式이다. 符號로써 글字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制約 때문에 만들 수 있는 가짓數에 比較的 큰 制約이 있어, 漢字 中에서 차지하는 比重이 가장 적다. [6] 知事者에는 위 上(上)과 아래 下(下)와 같이 純符號를 가지고 本來의 象徵的인 意味를 나타낸 글字와, 根本 본(本)이나 마디 寸(寸)과 같이 象形字에다가 符號를 添加해서 派生的인 意味를 나타낸 글字가 있다.

지獅子가 記號를 使用해서 抽象的인 槪念을 나타낸 글字라고 하지만, 이 定義는 曖昧한 部分이 있다. 例를 들면 큰 大(大)는 두 팔과 두 다리를 크게 벌려서 '크다'는 槪念을 나타낸 象形字지만, 팔다리를 벌린 모습을 一種의 記號로 보면 記號를 使用해서 抽象的인 槪念을 나타낸다는 支社의 正義에 符合한다. [7] 反對의 境遇, 知事字로 分類되는 凶할 흉(凶)은 어떤 事物이 艦艇과 같은 구덩이에 빠진 모습을 본떠서 '凶하다'는 槪念을 나타낸 것인데, 이는 매우 具體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一部 學者는 象形字와 知事者를 딱히 區別하지 않기도 한다. [8]

지獅子의 예:

甲骨 文字 金門 戰서 해서

아래
하나

會議 [ 編輯 ]

四曰會意。會意者,比類合誼,以見指?,武信是也。

넷째는 會議라 한다. 會議란 글字를 나란히 하고 뜻을 합쳐서,

事物이 가리키는 바를 나타내는 것으로, '武'와 '信'李 그러하다.

? 《 說文解字

글字를 두 個 以上 組合하면서, 各 글字들의 意味에서 派生된 새로운 意味를 가지고 있는 글字를 만드는 方法이다. 組合의 要素가 되는 글字는 독체자일 수도, 合體者일 수도 있다. 例를 들어 쉴 休(休) 같은 境遇는 사람 人(人)과 나무 木(木)이라는 獨體者 두 個로 構成되어 있지만, 쉴 게(憩)와 같은 境遇는 혀 설(舌)과 숨쉴 式(息)으로 構成되어 있어, 獨體者 하나와 合體子 하나가 합쳐진 形態이다. 會議者는 構成要素들의 意味가 有機的으로 連結되어 있어 個別의 글字들이 서로의 뜻을 補完한다.

會議에는 수풀 림(林), 姦淫할 間(姦), 불꽃 廉(炎)과 같이 同一한 글字를 反復해서 意味를 加重하거나 새로 만드는 胴體會議(同體會意), 볼 間(看), 사내 男(男), 좋을 號(好)와 같이 서로 다른 글字들을 合하여 意味를 附與하는 移替會議(異體會意), 孝道 孝(孝), 있을 존(存)과 같이 構成要素의 一部가 省略된채로 합쳐진 變體會議(變體會意)가 있다. [9] [10]

공 공(功)은 丈人 공(工)과 힘 力(力) 모두의 뜻을 取하지만, 工이 功의 음까지도 겸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會意字를 構成하는 要素 中 一部가 會意字의 소리까지 決定하는 兼性會議(兼聲會意)도 있다. 이 때, 兼聖會椅子의 陰과 性部(聲符)의 音 사이에 聯關性이 얼마나 되는지 學者들마다 意見이 다르기 때문에, 兼聖會椅子의 範圍가 어디까지인지도 意見이 다양하다. 例를 들면 갓머리(?)와 계집 女(女)로 構成되어 있는 便安할 안(安)은 一般的으로 會議字로 分類하지만, Peter Boodberg, William Boltz는 安의 古代 發音을 *?an, 女의 古代 發音을 *nrja?로 推定하면서, 安이 女라는 聖父를 가진다고 主張했으며, 便安할 안(?, *?rans), 訟事할 난(?, *nruan), 姦淫할 間(姦, *kran)李 類似한 音을 가진 理由도 이 때문이라고 說明한다. [11] [12] 한便, 다른 學者들은 위의 例에서 ?은 잔치 연(宴)의 省略型이라서 安을 聲部로 갖지 女를 聲部로 가지는 것이 아니며, ?科 姦는 音聲學的 理由에 依해 形成者로 보기 어렵다고도 말한다. [13]

會意字의 예:

글字 構成
수풀 木+木 나무 두 個
빽빽한 수풀 木+木+木 나무 세(여러) 個
쉬다 人+木 나무와 나무에 기댄 사람
보다 手+目 눈과 눈 위에 댄 손
모이다 ?(集) ?+?+?+木 나무와 나무 위에 세(여러) 마리의 새
한 雙 ?+?+又 손과 손에 쥔 두 마리의 새
좋다 女+子 女子와 아이
걸음 止+??(止의 變形) 왼발과 오른발

形成 [ 編輯 ]

三曰形聲。形聲者,以事爲名,取譬相成,江河是也。

셋째는 形成이라 한다. 形成이란 事物로써 뜻(名)을 삼고,

소리(譬)를 醉해 서로 이루는 것으로, '江'과 '河'가 그러하다.

? 《 說文解字

意味를 나타내는 部分(兄夫, 形符)과 소리를 나타내는 部分(聖父, 聲符)을 組合해서 새로운 글字를 만들어내는 方法이다. 一般的으로 聖父는 元來 뜻을 가지지 않고 但只 소리만 標示해야 하나, 聲部가 形聲字의 뜻에도 一部 影響을 줄 境遇 兼聖會椅子로 分類할 수 있다. 聖父는 上下左右, 바깥과 안, 귀퉁이 等 아무 곳에 位置하는 것이 可能하며, 聖父에서 글字의 音을 따올 때 반드시 그대로 따올 必要는 없고 忠誠 衝(忠)처럼 같은 韻(韻)을 가진 音으로 바뀌는 境遇도 있다. 兄夫는 그 글字의 뜻에 直接的인 影響을 주기 때문에, 거의 部數가 兄夫를 맡게 된다. 會議와 마찬가지로 組合의 要素가 되는 글字는 독체자일 수도, 合體者일 수도 있다.

여러 가지 漢字를 만들 수 있는 가장 效率的인 方法이기 때문에, 漢字에서 形聲字가 차지하는 比重은 壓倒的으로 높다.《설문해자》에서는 全體의 約 82%가 形聲字로 分類되어 있고, 《康熙字典》에서도 5萬餘 字 가운데 約 89%가 形聲字다. [6] 또한, 文字가 생겨날 때, 普通 助子 方法으로 形成이 頻繁하게 使用됐기 때문에, 甲骨 文字 가 쓰인 時期로 推定되는 紀元前 1200~1500年에서 現在에 이르기까지, 形聲字의 比重은 漸漸 높아지고 있다. 代表的인 例로 生疏한 元素 이름을 中國語로 나타낼 때 形成의 方式을 採擇했는데, 常溫에서 固體인 金屬元素는 쇠 金(金), 非金屬元素는 돌 席(石), 液體인 元素는 물 수(水), 氣體인 元素는 기운 基(?)를 兄夫인 部數로 使用하고, 元素 이름의 發音과 類似한 漢字를 聲部로 使用했다. 例를 들면, 常溫에서 固體인 金屬元素 몰리브덴 을 表記하기 위해 金을 兄夫로, 눈 목(目, mu)을 聲部로 가지는 ?(mu)라는 글字를 새로 만들었다.

比較的 예전에 만들어진 形聲字에는 元來 글字에서 나중에 兄夫가 追加된 事例가 적지 않다. 이런 事例는 元來 글字가 時間이 지나면서 本디 가지고 있던 뜻 外에 새로운 뜻이 만들어지고(이를 全州 라고 한다.), 새로운 뜻이 元來의 뜻을 代替해버리자, 元來의 뜻을 다시 살리기 위해서 그 뜻과 聯關된 兄夫를 追加하고 音은 元來 있던 글字의 音을 그대로 使用해서 元來 글字가 自動으로 聲部로 轉換된 境遇다. 例를 들면 그럴 年(然)은 개고기를 불에 구워 먹는 모습을 본떠 만들어서 '불타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는데, 나중에 이 글字가 '그렇다'라는 뜻을 가진 語助辭가 되자, '불타다'라는 뜻을 살리기 위해 然에 불 禍(火)를 덧붙인 글字가 탈 年(燃)이다. 이에 燃은 火가 兄夫, 然이 聲部로 區分된다. 이와 비슷한 例로는 허리 요(腰), 발 지(趾), 키 基(箕) 等이 있다.

形聲字의 예:

글字 兄夫(뜻) 聖父(음)
梅花 木(나무) 每(매)
바다 水(물) 每(매)
水(물) 工(공)
金(쇠) ?(盞)
맺다 ?(실) 吉(길)
倍(과일) 木(나무) 利(里)
바다 水(물) 羊(陽)

全州 [ 編輯 ]

五曰轉注。轉注者,建類一首,同意相受,考老是也。

다섯째는 전주라 한다. 전주란 같은 類의 글字를 한 手(首)에 세워,

같은 뜻을 서로 주고받는 것으로, '考'과 '老'가 그러하다.

? 《 說文解字

全州가 正確히 무엇인지는 現在까지도 定說이 없다. 육서 中 다른 部類가 正義가 알려져 있지만 基準이 曖昧한 데에 비해, 全州는 定義 自體가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 이 理由는, 육서에 對해서 比較的 仔細히 說明한 《 說文解字 》에서도 說明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고, 說文解字에 있는 漢字들 中에 전주자의 例示도 너무 적어서 전주자의 特徵을 把握할 수 없기 때문이다. '全州(轉注, 電話(轉化)시키고 붓다)'라는 이름에서 그 뜻을 推測하기 어려운 것도 全州를 定義내리기 어려운데 거든다. 西歐圈에서는 基本的으로 類推해낼 수 있는 特徵을 따와서 derivative cognates(派生 冬季), synonyms(留意) 等으로 불리고 있다.

全州를 어떻게 定義하는가에 對해서는 여러 說이 있는데, 主로 위에 있는 說文解字의 說明(建類一首, 同意相受)에서 類와 一首를 어떻게 解釋하냐에 따라 설이 갈린다. 이 說들은 '全州'라는 이름을 土臺로, 漢字의 特性 中 무엇을 전환시키는 것이라고 主張하는지에 따라 音傳說(音轉說), 型傳說(形轉說), 醫傳說(義轉說)의 세 가지로 크게 分類된다.

假借 [ 編輯 ]

六曰假借。假借者,本無其事,依聲託事,令長是也。

여섯째는 假借라 한다. 假借는 本來 그 글字가 없어,

소리에 依據해 글字를 寄託하는 것으로, ‘令’과 ‘長’李 그러하다.

? 《 說文解字

末路는 存在하나 文字로는 存在하지 않는 單語나 글字를 文字로 나타내기 위해, 表現하고자 하는 單語의 發音과 같거나 비슷한 다른, 旣存의 漢字로써 表現하는 것이다. 語助辭나 代名詞 等이 古代에 假借의 方法을 利用해서 많이 表現되었다. 例를 들어, 나 아(我)는 元來 톱니 模樣의 날이 붙은 武器 같은 것을 表現하기 위해 만든 글字인데, 漢文에서는 第1人稱 代名詞로 쓰인다. 올 來(來)도 元來는 보리 이삭을 본떠 '보리'를 나타내기 위해 만들었지만, 古代 中國人은 '오다'라는 動詞를 表現하기 위해 發音이 비슷한 來를 따왔다.

어떤 한 글字가 假借의 影響을 받을 境遇, 說文解字에서 提示한 曳引 하여금 令(令)이나 길 腸(長)과 같이 現在까지도 元來 意味와 假借에 依해 새로 생긴 意味가 共存하는 境遇도 있지만, 위의 曳引 我와 來 같이 많은 글字들은 새로 생긴 意味가 元來 가지고 있던 뜻을 完全히 代替해버린다. 이 때, 元來 뜻을 되살리기 위해서 새로운 글字를 만들기도 한다. 來의 境遇 '오다'라는 뜻이 '보리'라는 뜻을 代替해버리자, '보리'를 나타내기 위해 來 아래에 뒤쳐올 치(?)를 追加해서 뜻을 補充해(?를 통해 보리 밟기를 하는 모습을 그렸다) 보리 맥(麥)이라는 새로운 글字를 만들었다. 形成 者의 例에서 든 燃, 腰, 趾, 箕가 바로 이런 方式으로 만들어졌다.)

說文解字에서 提示된 例에서는 多少 멀지만, 中國이 他國語로 된 單語나 人命, 團體名을 漢字로 表記하기 爲해서 音借를 利用하는 것도 넓은 意味에서의 假借라고 할 수 있다. 代表的인 例로, 이탈리아, 泰國, 터키 같은 國名을 音借를 利用해서 各各 意大利(Yidali), 泰?(Taiguo), 土耳其(T?'?rqi) 等으로 表記하거나, 코카콜라 같은 飮料 이름을 可口可?(k?k?uk?le)로 表記해서 最大限 元來 外國語의 發音과 비슷하게 하려고 하는 것이 있다.

假借의 過程을 거친 글字의 예:

假借된 글字 새로 생긴 글字
假借된 뜻 글字 元來 뜻 글字
스스로
오다 보리
요하다 허리
그것(指示代名詞) 키(바구니)
北쪽
그렇다 佛陀다
없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照 [ 編輯 ]

  1. 《周禮·地官·보氏》
  2. 《漢書·藝文志》
  3. 《寒氣》
  4. 《主禮週》
  5. 《說文解字 서》
  6. 김태만 外 (2011年 9月 7日). 《쉽게 理解하는 中國文化》. 다락원. ISBN   978-89-277-2078-2 .  
  7. 潘重規《中國文字學》
  8. 唐蘭《中國文字學》
  9. 권영민 (2004年 2月 25日). 《韓國現代文學大辭典》. 서울대학교출판부. ISBN   8952104617 .  
  10. 孝의 境遇 늙을 로(老)에서 아래 匕가 省略된 形態에 아들 字(子)가, 存의 境遇 있을 再(在)에서 土가 省略된 形態에 子가 追加되었다.
  11. William G. Boltz (1994). 《The origin and early development of the Chinese writing system》. American Oriental Society. ISBN   0940490781 .  
  12. 李在晃 (2008年 5月 22日). 《漢字의 再發見(소리로 만든 글字)》. NEWRUN. ISBN   8901080214 .  
  13. Geoffrey Sampson 外 (2013). 《The reality of compound ideographs》 (PDF) . Journal of Chinese Linguistics. 255?27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