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僞裝術策 作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僞裝術策 作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마이애미 익세큐티브 空港 에 展示된 이 未濟 더글러스 A-26 인베이더 戰鬪機는 1961年 4月 CIA가 後援하는 準軍事組織인 第2506旅團 이 마치 쿠바 空軍에서 內戰이 난 것처럼 보이게 遂行한 피그스만 侵攻 을 위해 쿠바 空軍의 塗色으로 圖章했다.

僞裝術策 作戰 (僞裝術策作戰) 或은 英語圈에서 假짜 旗발 作戰 (false flag)이란 實際 責任所在를 僞裝하고 他 當事者에게 이 責任을 轉嫁하기 위해 저지르는 行爲를 말한다. 英語圈에서 使用하는 "假짜 旗발"이라는 單語는 16世紀頃 누군가를 向한 거짓된 忠誠心을 意圖的으로 보여주는 行爲를 의미하는 말에서 始作되었다. [1] [2] 그러다가 이 用語는 海戰 에서 船舶이 自身의 正體를 숨기기 위해 中立國 或은 敵國의 國旗를 一部로 揭揚하는 計略을 說明하는데 使用했다. [1] [2] [3] 元來 이 戰術은 海賊 史略 線이 다른 船舶을 攻擊하기 前에 "假짜 旗발"을 揭揚해 속여서 더 가까이 接近하는데 使用했다. 以後 이 戰術은 國際海洋法에서 海戰에서 攻擊하는 船舶이 攻擊을 始作한 後에는 眞짜 國旗를 揭揚할 境遇에 한해 許容되는 慣行으로 자리잡았다. [4] [5] [6]

現代에는 이 用語를 자국을 向한 攻擊을 組織하고선 敵國이나 테러리스트 가 加한 攻擊으로 보이게 僞裝해서, 마치 攻擊받은 것처럼 보이는 國家가 國內를 彈壓하거나 外國을 向한 侵略의 口實 을 提供하는 데 使用하는 戰術을 가리키는 말로 擴大되었다. [7] 平時에 個人이나 非政府組織이 遂行하는 이와 類似한 活動도 "假짜 旗발 作戰"이라 부를 때도 있지만, 英語圈에서 使用하는 一般的인 法的 用語로는 프레임업 , 스티치業, 셋업 等을 使用한다.

戰爭에서 使用 [ 編輯 ]

러시아-스웨덴 戰爭 [ 編輯 ]

1788年 스웨덴 王立 오페라 의 首席 봉재社는 러시아 軍服 여러 벌을 裁縫하라는 命令을 받았다. 이 軍服은 1788年 6月 27日 러시아-스웨덴 國境에 있는 스웨덴의 푸말라 前哨基地를 攻擊하는 作戰에서 스웨덴軍이 使用했다. 이 事件은 스톡홀름 에서 큰 憤怒를 일으켰으며 當時 러시아를 向한 攻勢戰爭에 同意하지 않던 스웨덴 貴族院 에도 큰 影響을 미쳤다. 當時 國王이었던 구스타브 3歲 는 스웨덴 議會의 同意 없이 武力攻擊을 할 수 있는 憲法的인 權限이 없었지만, 푸말라 事件 때문에 바로 第1次 러시아-스웨덴 戰爭 을 改悛할 수 있었다. [8]

프로이센-프랑스 戰爭 [ 編輯 ]

1870年 7月 13日, 오토 폰 비스마르크 빌헬름 1歲 國王이 비스마르크에게 프랑스 大使의 특정한 要求에 對한 內部電報였던 엠스 轉補 를 對外的으로 公開한다. 大衆에게 意圖的으로 公開한 電報에서는 비스마르크가 國王이 臺詞를 深刻한 程度로 無視했다는 듯이 들리게 編輯했는데, 이는 프랑스의 나폴레옹 3歲 皇帝를 속여 북독일 聯邦 에게 선전포고하게 誘導하여 南北獨逸 統一을 最終 目標로 삼기 위한 一種의 計略이었다. 엠스 轉補 事件 6日 後 나폴레옹 3歲가 선전포고했고, 6個月 後 북독일 聯邦이 勝利해 獨逸 帝國 을 宣布하며 獨逸의 統一 이 이뤄졌다.

中日戰爭 [ 編輯 ]

1931年 9月, 이타가키 세이시로 將軍과 其他 日本 帝國 陸軍 中下級 將校들이 도쿄의 政府 몰래 滿洲 鐵道의 一部 區間을 爆破하여 滿洲事變 의 口實을 만들었다. 爆發의 威力은 너무 弱해 鐵道 運營을 妨害할 程度가 되지 못했지만 日本 帝國은 류탸오후 事件 을 利用해 滿洲를 侵攻 하고 名目上의 獨立國인 滿洲國 을 내세워 滿洲를 占領했다. [9]

第2次 世界 大戰 [ 編輯 ]

글라이비츠 事件 [ 編輯 ]

1939年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글라이비츠 放送局 攻擊 事件 을 통해 마치 폴란드軍이 先制 攻擊했다는 듯이 證據를 造作하여 獨逸을 餐錢 輿論으로 기울게 만들고 폴란드 侵攻 을 正當化하기 위한 口實로 使用했다. 하이드리히의 命令을 받은 알프레트 나우요크스 는 僞裝術策 作戰의 核心 組織者로 活動했다. 이 作戰에서 나치 强制 收容所 의 犧牲者들을 獨逸軍 服裝으로 입힌 後 게슈타포 가 發布해 射殺하고서는 마치 폴란드 軍人이 쏜 銃에 獨逸軍이 맞아 死亡한 듯이 僞裝했다. 글라이비츠 事件은 힘러 作戰 의 其他 다른 僞裝術策 作戰과 함께 유럽에서 第2次 世界 大戰 을 일으키기 위한 戰爭 名分으로 使用했다. [10]

하지만 이 作戰에서 獨逸의 名分으로 國際 輿論을 說得시키는 데 失敗했고 폴란드의 同盟國인 英國과 프랑스 兩國 모두 獨逸이 폴란드를 侵攻한 지 이틀만에 獨逸에게 선전포고했다. [11]

겨울戰爭 [ 編輯 ]

1939年 11月 26日, 蘇聯軍 은 핀란드 國境 近處의 蘇聯 마을인 마이닐라를 砲擊 했다. 蘇聯은 이 砲擊을 핀란드가 일으켰다고 非難하고 이 事件을 핀란드 侵攻 의 口實로 使用하여 4日 後 핀란드 侵攻을 始作했다. [12] [13]

같이 보기 [ 編輯 ]

槪念 [ 編輯 ]

例示 [ 編輯 ]

各州 [ 編輯 ]

  1. O'Conner, Patricia; Kellerman, Stewart (2018年 5月 11日). “The True History of False Flags” . Grammarphobia.com . 2020年 6月 9日에 確認함 .  
  2. “How the term 'false flag' migrated to the right” . 《Columbia Journalism Review》 (英語) . 2021年 12月 23日에 確認함 .  
  3. “False flags: What are they and when have they been used?” . 《BBC News》 (英國 英語). 2022年 2月 18日 . 2022年 5月 20日에 確認함 .  
  4. Politakis, George P. (2018). 《Modern Aspects of the Laws of Naval Warfare and Maritime Neutrality》 . Taylor & Francis. 281?쪽. ISBN   978-1-136-88577-8 .  
  5. Faye Kert (2015年 9月 30日). 《Privateering: Patriots and Profits in the War of 1812》 . JHU Press. 62?쪽. ISBN   978-1-4214-1747-9 .  
  6. Donald R. Hickey; Connie D. Clark (2015年 10月 8日). 《The Routledge Handbook of the War of 1812》 . Routledge. 64?쪽. ISBN   978-1-317-70198-9 .  
  7. deHaven-Smith, Lance (2013). Conspiracy Theory in America .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 p. 225
  8. Mattila, Tapabi (1983). 《Meri maamme turvana: Suomen meripuolustuksen vaiheita Ruotsin vallan aikana》 (핀란드어). Jyvaskyla: Suomi Merella-saatio. 142쪽. ISBN   951-99487-0-8 .  
  9. Weland, James (1994). "Misguided Intelligence: Japanese Military Intelligence Officers in the Manchurian Incident, September 1931". Journal of Military History 58 (3): 445?460. doi:10.2307/2944134.
  10. Bradley Lightbody, The Second World War: Ambitions to Nemesis, Routledge, 2004, ISBN   0-415-22405-5 , Google Print, p.39
  11. Steven J. Zaloga, Poland 1939: The Birth of Blitzkrieg , Osprey Publishing, 2002, ISBN   1-84176-408-6 , p. 39
  12. Turtola, Martti (1999). 〈Kansainvalinen kehitys Euroopassa ja Suomessa 1930-luvulla〉. Leskinen, Jari; Juutilainen, Antti. 《Talvisodan pikkujattilainen》. 44?45쪽.  
  13. Murphy, David (2021). 《The Finnish-Soviet Winter War 1939-40 Stalin's Hollow Victory.》 . Johnny Shumate. London: Bloomsbury Publishing Plc. 9쪽. ISBN   978-1-4728-4394-4 . OCLC   12613647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