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재긍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이재긍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完營群 에서 넘어옴)

完營群 이재긍 (完永君 李載兢, 1857年 3月 12日 - 1881年 1月 23日 )은 朝鮮 後期의 王族으로 莊祖 의 서2남 은신군 (恩信君)의 曾孫이며, 흥인군 이최응 (興寅君 李最應)의 아들이다. 本貫은 全州(全州)이고 字는 순경(舜卿)이다. 生前에는 文身 身分이었으나, 事後 高祖父 莊祖 가 王으로 推尊되면서 1899年 4大勝襲과 王族의 例로서 完營軍에 追贈되었다. 諡號는 헌間(獻簡).

1871年(高宗 8) 王族들에게만 實施하는 璿派儒生展示(璿派儒生殿試)에 合格하여 承旨, 副提學, 吏曹參議, 奎章閣直提學, 弘文館副提學, 都承旨 等을 歷任하고 禮曹判書에 이르렀다.

生涯 [ 編輯 ]

朝鮮後期의 王族으로 本貫은 全州, 휘는 再肯(載兢)이다. 莊祖 의 서2남 은신군 (恩信君)의 曾孫이며, 남연군 이구(南延君 李球)의 孫子이다. 아버지는 흥인군 이최응 (興寅君 李最應)이다.

흥인군의 아들로 1857年 誕生하였다. 世子侍講院說書(世子侍講院說書)를 거쳐 1871年 (高宗 8) 特別히 王族 子弟들에게만 對象으로 한 璿派儒生展示(璿派儒生殿試)에서 合格하여 漁家의 護衛를 맡고, 바로 軍官으로 直赴(直赴)되어 宮闕의 別入直(別入直)을 서게 되었다. 1873年(高宗 10)에 病患이 들자 高宗이 特別히 보낸 藥材를 下賜받았다.

1873年 式年 文科 에 丙科로 及第, 高宗 의 4寸이자 最側近으로 1874年 大院君 失脚 後 명성황후 에 依해 拔擢되어 1874年 (高宗 11) 奎章閣 大橋 (奎章閣待敎), 1875年 11月 問禮官(問禮官), 1876年 (高宗 13) 世子侍講院 普德(輔德), 그해 2月 11日 承政院承旨(承政院承旨), 成均館 大司成 弘文館 副提學 , 1877年 (高宗 14) 李朝 參議 , 1878年 (高宗 15) 奎章閣 直提學 , 弘文館 副提學 等을 歷任하였다.

1879年 奎章閣 直提學 , 그해 2月 承政院都承旨(承政院都承旨), 1880年 (高宗 17) 2月 好調參判(戶曹參判), 同志 競演 社(同知經筵事), 吏曹參判과 禮曹參判, 同志돈녕부社, 統理機務衙門 堂上, 禮曹 判書 를 지내고, 1881年 (高宗 18) 統理機務衙門 先語學堂上(統理機務衙門選語學堂上)을 거쳐 다시 禮曹 板書 가 되었다.

事後 [ 編輯 ]

1881年 享年 25歲의 젊은 나이로 夭折하였다. 事後 바로 헌間(獻簡)의 諡號가 追敍되고 이희하(李熙夏)의 아들 用具(龍駒)를 養子로 入養하였다. 1899年 (光武 2) 9月 王族의 例로서 完營群(完永君)에 爵位가 追贈되었다. 1904年 (光武 7) 5月 24日 議政府 參政 弘文館 대학사 奎章閣 學士에 追贈 되었다.

墓所는 忠淸南道 禮山郡 예산읍 향천리 香泉寺 뒷山 計座(癸坐)에 安葬되었고, 墓碑文은 윤용구 가 짓고, 홍정후 가 썼다.

家族 關係 [ 編輯 ]

기타 [ 編輯 ]

이재긍은 1877年 妓生 出身 詩人 강담운(姜澹雲)의 詩集을 刊行해주었다. 妓女 出身인 강담운은 文身 配電(1843 ~ 1899)의 妾이 되었다. 妾인 강담운의 재주를 아깝게 여긴 配電은 漢城府 에 있으면서 이재긍에게 강담운의 詩集을 보여주며 詩集 刊行을 도움을 要請했고, 이재긍은 欣快히 受諾하여 1877年 강담운의 詩集을 英人, 刊行하도록 도와주었다.

完營群 이재긍을 다룬 作品 [ 編輯 ]

TV 드라마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