營養막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營養外胚葉 에서 넘어옴)

營養막
營養막과 속細胞덩이 로 이루어진 주머니倍
情報
날짜 6
發生機 救助 주머니倍
發達 以後 構造 胎盤
識別子
라틴語 trophoblastus; massa cellularis externa
英語 trophoblast; outer cell mass; trophectoderm
MeSH D014327
TE E6.0.1.1.2.0.2
FMA 83029

營養막 ( 英語 : trophoblast ), 營養母細胞 , 營養外胚葉 ( 英語 : trophectoderm ) 또는 바깥細胞덩이 ( 英語 : outer cell mass )는 哺乳類 주머니倍 의 바깥 層을 가리킨다. 受精卵 에서 처음으로 噴火 하여 나오는 細胞로 사람에서는 妊娠 第 1期, 修正 後 4日째에 생긴다. [1] 胚芽 에는 直接 寄與하지 않지만 胚芽 에 營養分을 供給하는 役割을 하며, 發生이 進行됨에 따라 胚芽 바깥 構造인 胎盤 의 一部로 發達한다. [2] [3] 最初의 噴火 以後 胚芽 細胞들은 營養막으로 分化할 수 없으므로, 銓衡性能 을 잃고 萬能 줄기細胞 가 되었다고 말한다.

救助 [ 編輯 ]

着想 時期의 營養막. 細胞營養膜과 融合營養幕의 두 層으로 分化하였다.

營養막은 增殖하여 안쪽과 바깥쪽의 두 層으로 分化한다.

사람의 境遇 이러한 分離는 受精 後 約 6日째에 일어난다.

한便 細胞營養幕의 一部는 中間營養막(intermediate trophoblast)으로 發達한다.

機能 [ 編輯 ]

營養막은 着想 및 胚芽와 母體 子宮 脫落膜 의 相互作用에서 核心的인 役割을 하는 특수한 細胞이다. [5] 營養막 細胞는 胎盤 을 이루는 重要 成分이다. 胎盤 絨毛의 가운데에는 中間葉 細胞, 그리고 胎兒 循環系 胎줄 로 直接 連結된 血管 이 있다. 이 心지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 바로 두 層의 營養막, 卽 細胞營養膜과 融合營養膜이다. 合胞體로 이루어진 融合營養막은 細胞營養幕보다 바깥에 位置하여 胎盤 表面을 덮고 있으며 [4] , 母體 血液과 直接 맞닿으면서 다음 母體와 胎兒 사이의 營養分·老廢物·機體 交換을 促進한다.

한便 絨毛 끝의 細胞營養막은 絨毛바깥營養막이라는 다른 種類의 營養막으로 分化할 수 있다. 絨毛바깥營養막은 太半에서 자라 나와서 子宮 脫落膜으로 浸透해 들어간다. 이 過程은 太半이 母體에 物理的으로 附着하도록 만드는 데에 重要하며, 또한 子宮의 血管 構造를 바꿈으로써 妊娠 동안 胎兒가 充分히 成長하도록 血液을 원활하게 供給하는 것을 돕는다. 一部 營養막 細胞는 甚至於 子宮 羅先動脈 內皮細胞 를 代替하기도 한다. 이로써 母體의 血管 收縮 과 無關하게 지름이 넓게 維持되는 通路가 만들어지므로, 胎兒에게 血液을 꾸준히 供給할 수 있으며 酸素 濃度 變動 때문에 太半이 損傷될 危險이 줄어든다. [6]

臨床的 意義 [ 編輯 ]

絨毛바깥營養막이 子宮 으로 浸透하는 것은 妊娠 에서 매우 重要한 段階이다. 營養막이 充分히 侵犯하지 못하면 前子癎症 으로 이어질 수 있다. 反面 營養막이 너무 깊게 浸透하면 癒着胎盤을 惹起할 수 있다.

妊娠營養幕病 銀 絨毛營養막 및 絨毛바깥營養막 細胞 때문에 發生하는 妊娠 關聯 疾患이다. [7]

絨毛癌種은 子宮에서 絨毛 細胞가 形成하는 惡性 腫瘍 이다. [7]

營養막줄기細胞(trophoblast stem cell, TSC)는 再生 能力이 있는 줄기細胞 로, 營養막 發達 初期에 생긴다는 點에서 胚芽줄기細胞 와 비슷하다. [8] 萬能줄기細胞이므로 胎盤 에서 모든 種類의 營養막 細胞로 分化할 수 있다. [8]

그림과 寫眞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Tang, Jiaqi; Liu, Bailin; Li, Na; Zhang, Mengshu; Li, Xiang; Gao, Qinqin; Zhou, Xiuwen; Sun, Miao; Xu, Zhice (2020). 〈Development of Renin-Angiotensin-Aldosterone and Nitric Oxide System in the Fetus and Neonate〉. 《Maternal-Fetal and Neonatal Endocrinology》. 643?662쪽. doi : 10.1016/b978-0-12-814823-5.00038-6 . ISBN   978-0-12-814823-5 .  
  2. Soares, Michael J.; Varberg, Kaela M. (2018). 〈Trophoblast〉. 《Encyclopedia of Reproduction》. 417?423쪽. doi : 10.1016/b978-0-12-801238-3.64664-0 . ISBN   978-0-12-815145-7 .  
  3. Baines, K.J.; Renaud, S.J. (2017). “Transcription Factors That Regulate Trophoblast Development and Function”. 《Progress in Molecular Biology and Translational Science》 145 : 39?88. doi : 10.1016/bs.pmbts.2016.12.003 . ISBN   978-0-12-809327-6 . PMID   28110754 .  
  4. “The trophoblast” . 2007年 12月 1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5. Imakawa, K.; Nakagawa, S. (2017). 〈The Phylogeny of Placental Evolution Through Dynamic Integrations of Retrotransposons〉. 《Molecular Biology of Placental Development and Disease》. Progress in Molecular Biology and Translational Science 145 . 89?109쪽. doi : 10.1016/bs.pmbts.2016.12.004 . ISBN   978-0-12-809327-6 . PMID   28110755 .  
  6. Lunghi, Laura; Ferretti, Maria E; Medici, Silvia; Biondi, Carla; Vesce, Fortunato (December 2007). “Control of human trophoblast function” . 《Reproductive Biology and Endocrinology》 5 (1): 6. doi : 10.1186/1477-7827-5-6 . PMC   1800852 . PMID   17288592 .  
  7. Ning, Fen; Hou, Houmei; Morse, Abraham N.; Lash, Gendie E. (2019年 4月 10日).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 . 《F1000Research》 8 : 428. doi : 10.12688/f1000research.14953.1 . PMC   6464061 . PMID   31001418 .  
  8. Latos, P.A.; Hemberger, M. (February 2014). “Review: The transcriptional and signalling networks of mouse trophoblast stem cells”. 《Placenta》 35 : S81?S85. doi : 10.1016/j.placenta.2013.10.013 . PMID   2422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