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安息 (佛敎)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安息 (佛敎)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安息界 에서 넘어옴)

安息 (眼識, 산스크리트語 : cak?ur-vijn?na 着手르 비즈냐-나 , 팔리어 : cakkhu-vinn??a 짝쿠 윈냐-나 ) 또는 눈의 알음알이 는 視覺的 知覺 또는 認識을 뜻한다. 卽, 事物의 視覺的 側面 (색경) 卽 色깔 (顯色)과 模樣 (形色)에 對한 앎(알음), 要별, 分別, 또는 知識을 말한다. [1] [2]

다음의 分類 또는 體系에 屬한다.

  • 安息   · 移植   · 鼻息   · 舌識   · 新式 5式 (五識) 또는 前5式 (前五識) 中 하나이다. 卽, 感覺的 認識 또는 感覺的 마음에 屬한다. 또는 物質的 마음의 한 側面이다.
  • 安息   · 移植   · 鼻息   · 舌識   · 新式   · 意識 6式 (六識) 中 하나이다. 卽, 마음 에 屬한다. 또는 마음의 한 側面이다.
  • 安處 (眼處)  · 異處  · 鄙處  · 설處  · 신처  · 疑處(意處)  · 色處  · 性妻  · 향처  · 미처  · 觸處  · 法處의 12處 中 安處에 該當한다. 嚴密히 말하면, 安處에 屬한다 卽 安處의 一部이다.
  • 眼界  · 二界  · 비계  · 設計  · 新溪  · 醫界  · 色界  · 成鷄  · 香界  · 迷界  · 觸界  · 法階  · 安息界 (眼識界)  · 移植系  · 鼻息界  · 舌識界  · 新式界  · 意識界의 18係 中 安息系에 該當한다. 卽, 安息系와 同義語이다.

12處 의 法體系에 따르면, 安處를 이루는 것이 眼根(눈)과 安息(눈의 앎)이다. 卽, 12妻의 法體系의 觀點에서는 眼筋과 安息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아주 密接한 關係에 있다. 그런데 18界의 法體系에 따르면, 眼根은 眼界에 該當하고 安息은 安息系에 該當하여 서로 別個이다. 卽, 眼根과 安息은 떼려야 뗄 수 없는 關係가 아니라 서로 別個의 法(存在 · 現象)이다. 佛敎에 따르면, 18係 의 法體系는 둔근者에게 가르친 細細한 가르침이고 12妻의 가르침은 이미 18界의 가르침을 잘 알고 있는 이에 對한 가르침이다. 따라서, 正確한 解釋은 18係에 依한다. 卽, 眼界(눈)와 色界(視覺的 對象)와 安息界(視覺的 앎, 視覺的 認識)는 別個로서, 嚴密한 表現으로, '眼筋(눈)과 色(색경)을 連하여 安息이 생겨난다'고 表現하며, 이것은 다시 '別個의 存在(法)인 眼根(눈)과 別個의 存在인 視覺的 對象을 條件으로 하여 別個의 存在인 安息(눈의 앎, 눈의 알음알이)李 생겨난다'는 뜻이다. 달리 말해, 안근이 安息을 가지고 있어서 眼筋에 依해 安息이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또한 色驚異 安息을 가지고 있어서 색경에 依해 安息이 생겨나는 것도 아니다. 또한 眼筋(눈)과 安息(視覺的 앎 또는 보는 能力)을 가지고 있는 別途의 가 있어서 安息이 생겨나는 것도 아니다. 다만, 恒常 嚴密한 表現을 使用하는 것이 便利하지 않기 때문에, 世上의 一般的인 通用 表現으로 '眼筋에 依해 安息이 생겨난다' 또는 '색경에 依해 安息이 생겨난다' 또는 '나의 安息이 생겨난다' 또는 '내가 본다'라는 表現을 許容할 뿐이다.

經論別 說明 [ 編輯 ]

阿毘達磨品類族론 [ 編輯 ]

部派佛敎 설일체유부 의 논서 《 阿毘達磨品類族론 》 第3卷에서는 安息에 對해 다음과 같이 定義하고 있다.

眼識云何。謂眼及色?緣生眼識。如是眼?增上。色?所緣。於眼所識色。諸已正當了別。是名眼識。

安息(眼識)이란 무엇인가? 眼根(눈)과 색경(色깔  · 模樣)을 軟하여 생겨나는 '視覺的 認識'[眼識, 眼根의 認識, 눈의 앎, 눈의 알음알이]을 말한다. 이와 같이 안근이 소의[增上, 發動根據]가 되고 色驚異 소연(所緣, 認識對象)李 되어 眼筋에 依해 알게 되는 바인, 색경에 對한 모든 過去의 앎(요별)  · 現在의 앎  · 未來의 앎을 統稱하여 安息이라 이름한다.

보는 能力에 對한 異見 [ 編輯 ]

眼根(눈)과 安息(視覺的 앎)과 색경(視覺的 앎의 對象)이 서로 別個의 (存在  · 現象)이라는 것에 對해서는 佛敎의 第 剖破가 意見이 一致한다. 하지만, '보는 能力[見]'李 이 셋 中 어디에 屬해 있는가에 對해서는 意見이 갈린다. [2] 勿論, 색경에 屬하지 않는다는 것은 自明한 일이므로 색경에 屬한다고 主張하는 이는 없다. 보는 能力에 對한 異見이란 近(認識道具)과 式(認識 그 自體) 中 무엇을 더 主體라고 할 수 있는가에 對해서 意見이 갈린다는 것을 뜻한다. 나아가, 斤이 더 主體라면 그릇된 認識 卽 非理作의 顚倒 (顚倒)를 克服하는 遂行에 있어서 몸(勤, 物質的인 것, 身體)에 變形을 일으키는 것에 무게를 두어 修行을 해야 할 것이고 食餌 더 主體라면 遂行에 있어서 마음(精神的인 것, 멘탈)에 變形을 일으키는 것에 무게를 두어 修行을 해야 할 것이라는 것을 뜻한다.

설일체유부 에서는 보는 能力이 眼筋에 있다는 '안근이 본다[眼根見]'는 근견설 (根見說)을 正統설로 본다.

大衆部 法具 (法救) 等의 논사는 보는 能力이 安息에 있다는 '安息이 본다[眼識見]'는 識見설 (識見說)을 正統설로 본다.

有識유가행派 에서는 보는 能力이 眼根과 安息의 和合에 있다는 '眼根과 安息의 和合이 본다[根識和合見]'는 和合犬설 (和合見說)을 正統설로 본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眼識(安息)" , 耘虛. 《佛敎事前》:
    眼識(安息)
    【汎】 cak?ur-vijn?na 5式의 하나. 模樣ㆍ빛깔 等을 分別하고 아는 作用. 時刻(視覺).
  2. "眼識"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事前) 3板:
    眼識
    梵語 cak?ur-vijn?na,巴利語 cakkhu-vinn??a。?以眼根?所依,了別色境之識,隨根而立名。五識之一,六識之一,十八界之一。眼根雖有二處,眼識則唯一。大毘婆沙論之正義,以眼根能見色,而立「眼根見」之說;法救主張眼識能見色,而立「眼識見」之說;唯識家則立「根識和合見」之說。其中,有部宗之本義,世稱眼見家;對此,大?部法救等論師則稱?識見家。唯識家以萬法?唯識所變現,眼識與色之相分相合,?生分別,故其識顯現似色之識。〔大毘婆沙論卷十三、卷七十一、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二、成唯識二十論述記卷上〕(參閱「眼根」5988)p5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