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아사쿠라 小테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아사쿠라 小테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아사쿠라 小테키 / 아사쿠라 노리카게
朝倉宗滴 / 朝倉?景
無事 情報
時代 센고쿠 時代
出生 分메이 9年( 1477年 )
死亡 덴分 24年 9月 8日 ( 1555年 9月 23日 )
改名 고타로(小太?)→노리카게→소테키
別名 다로社에몬노조(太?左衛門尉)
誡命 긴고(金吾), 쇼要素테키(照葉宗滴)
主君 아사쿠라 사다카게 다카카게 (10代 堂主)→ 要視카게
官位 쓰루가 郡誌(敦賀郡司)
氏族 아사쿠라氏 (朝倉氏)
父母 아버지: 아사쿠라 다카카게 (7代 堂主),
어머니:게이시쓰에이쇼다이시(桂室永昌大姉)
兄弟姊妹 아사쿠라 禹지카게 (氏景), 가게아키라 (景明), 마考試로(孫四?), 가게後嗣 (景?), 노리카게(이센무네카쓰(以千宗勝)), 도키카게 (時景), 가게노리 (景儀), 노리카게(소테키)
配偶者 情實: 아사쿠라 가게後遺 의 딸
子女 兩者 : 아사쿠라 가게토시

아사쿠라 小테키 / 아사쿠라 노리카게 ( 日本語 : 朝倉宗滴 / 朝倉?景 , 1477年 ~ 1555年 9月 23日 )는 센고쿠 時代 의 武裝이다. 에치젠 센고쿠 다이묘 아사쿠라 家門 의 一族으로, 아사쿠라 家門 堂主 아사쿠라 사다카게 (朝倉貞景)· 다카카게 (孝景, 10代 堂主 燒準 다카카게) [1] · 要視카게 (義景) 3臺를 補佐하는 重臣으로서, 各地에서 수많은 戰鬪를 勝利로 이끌며 武名을 떨친 名匠이다.

젊었을 때의 썼던 本名은 노리카게 이지만, 出家 後의 법명 小테키 가 훨씬 有名하여 아사쿠라 소테키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明記 쓰쿠모나스(九十九?茄子) [2] 를 所有하고 있던 것으로도 有名하다.

生涯 [ 編輯 ]

誕生 [ 編輯 ]

分메이 9年( 1477年 ), 아사쿠라 家門 第 7代 堂主 아사쿠라 다카카게 (朝倉孝景, 에이린 다카카게) [1] 의 8男으로 태어났다. 父親 다카카게의 假名인 고타로 (小太?)라고 불렸던 點, 아사쿠라 歷代 堂主가 받는 글字인 가게(景) 者가 이름에 들어간 點, 그리고 노리카게라는 이름 自體도 曾祖父 노리카게의 이름을 딴 것으로 祖父 이에카게 (家景)와 父親 다카카게度 모두 노리카게라는 이름을 쓴 적이 있는 것 等으로 미루어 볼 때, 소테키는 적남의 待遇를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父親 다카카게가 死亡한 分메이 13年( 1481年 )에 소테키는 네 살에 不過하여 家督을 잇는 것은 無理라고 判斷되어 兄 禹지카게 (氏景)가 家督을 잇게 되어, 堂主가 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소테키는 사다카게 時代부터 죽을 때까지 事實上의 堂主로서 아사쿠라 家門의 政務와 軍務를 執行하였다.

쓰루가 軍 長官 就任 [ 編輯 ]

分키 3年( 1503年 ), 쓰루가 姓 (敦賀城) 星州 아사쿠라 가게土曜 (朝倉景豊)의 母斑 때부터 소테키는 頭角을 나타내기 始作하였다. 소테키는 가게土曜의 女同生을 아내로 맞았기 때문에 當初에는 가게土曜 側에 加擔하도록 勸誘받았으나, 이를 拒絶하기 위하여 류코地(?興寺)로 出嫁하고, 가게土曜의 謀反을 堂主 아사쿠라 사다카게에게 密告하여 街케토요는 母斑의 罪名으로 自決을 命받았다. 이 공으로 소테키는 街네歌詞키 姓 (金ヶ崎城) 星州로서 쓰루가 郡誌(郡司, 軍 長官)에 就任하여, 以後 아사쿠라 家門의 軍舞를 擔當하게 되었다.

에이쇼 3年의 잇코 잇키 [ 編輯 ]

가가國 을 統治하고 있던 잇코슈 (假家 잇코 잇키 )는 勢力 擴大를 目標로 몇番에 걸쳐 에치젠에 侵攻을 敢行하였는데, 이것은 中央의 權力 鬪爭과도 깊은 關係가 있었다. 當時의 間레이 호소카와 마사모토 (細川政元)와 혼간지 는 友好 關係에 있어, 마사모토의 强力한 要請으로 혼간지는 半 호소카와 파인 아사쿠라 家門을 包含한 호쿠리쿠 의 여러 다이묘를 攻擊하게 된 것이다. 에이쇼 3年( 1506年 ) 3月, 가가의 잇코슈 日文인 魂센지 주지 렌고(蓮悟)가 나가오 家門 (長尾氏)·노토 하타케야마 家門 (?山氏) 打倒를 외치는 檄文을 돌리고 蜂起하여, 6月에 접어들자 그 騷亂의 불똥이 에치젠까지 튀게 되었다.

그리하여 같은해 7月, 가가·엣추·노토의 잇코슈 門徒가 에치젠에서 일어난 잇코 잇키에 加勢하기 위하여 에치젠으로의 侵攻을 開始하였다. 이에 對抗하기 위하여 소테키를 總大將으로 아사쿠라·잇코슈 以外의 門도 聯合軍이 出陣하여 잇코슈와 구즈류강 (九頭?川) 一帶에서 對峙하였다. 이것이 에이쇼 3年의 잇코 잇키( 구즈류가와 戰鬪 )이다. 이 때, 잇코슈 勢力은 30萬을 넘어섰다고 하며 [3] , 이에 맞서는 아사쿠라 軍은 1萬 1千餘名 程度였다고 한다. 구즈류강 流域 各地에서 몇番이나 激烈한 戰鬪가 벌어지는 가운데, 8月 6日의 나카노高 戰鬪(中ノ?の?い) 때 잇코슈 側의 軍勢가 完全히 무너지게 되어 結局 아사쿠라 軍이 勝利를 거두었다.

아사쿠라 家門의 繁榮 [ 編輯 ]

에이쇼 14年( 1517年 ), 무로마치 幕府 의 名으로 와카社 슈고 다케다 家門의 援軍으로서 와카社· 單孤 로 出陣하여, 와카社 슈고다이 의 叛亂을 鎭壓하였다.

다이에이 5年( 1525年 ), 미노 의 內亂에 介入한 北 오미 아자이 스케마사 (?井亮政)를 牽制하기 위해 남 오미의 롯카쿠 家門 과 協力하여 아자이 家門의 本據地 오다니 姓 (小谷城)으로 出陣하였다. 그러나 激烈하게 싸우지는 않고, 5個月에 걸쳐 오다니 姓 一角에 布陣한 狀態로 롯카쿠 家門과 아자이 家門의 調停役을 맡았다.

다이에이 7年( 1527年 )에는 오미로 도망쳐 온 쇼군 아시카가 요시하루 (足利義晴)와 間레이 호소카와 다카쿠니 (細川高?)의 要請을 받아들여 上洛 하여, 미요시 나가요시 와의 戰鬪에서 勝利를 거두었다. 그러나, 다음해 다이에이 8年( 1528年 )에 교토 에서 撤收하였기 때문에(다카쿠니와의 對立이 原因으로 여겨진다), 孤立된 다카쿠니는 流浪하는 處地가 되었다.

이러한 소테키의 活躍으로 아사쿠라 家門의 地位는 盤石 위에 오르게 되었고, 中央 政治에 對해서도 確固한 影響力을 가지게 되었다. 다이에이 7年에 소테키는 兩者 아사쿠라 가게토시 (朝倉景紀)에게 쓰루가 郡誌 職을 물려주었으나, 軍 副校 (軍奉行) 職은 繼續 맡으며 如前히 軍舞를 擔當하였다.

萬年 [ 編輯 ]

郊勞쿠 4年( 1531年 ), 가가의 內紛( 校로쿠의 錯亂 (享?の錯))을 틈타 노토 하타케야마 家門과 함께 가가로 出陣하였다. 데道理江 (데道理價와, 手取川)까지 進軍하였으나 途中에 同盟軍 노토 하타케야마 軍이 壞滅하였기 때문에 撤收하였다.

덴分 24年( 1555年 ), 에치高 우에스기 家門 (上杉氏)과 聯合하여 再次 가가로 出陣하였다. 이것이 소테키의 最後의 出陣이 된다. 順調로운 進軍이었으나 陣中에서 소테키가 病으로 쓰러져 歸還하여, 9月 8日 이치조다니 姓 (一?谷聖)에서 病死하였다. 享年 79歲. 法名은 겟코인逃奴 쇼要素테키 隊擧事(月光院殿照葉宗滴大居士)。

《아사쿠라 小테키 와키(朝倉宗滴話記)》 [ 編輯 ]

소테키가 말한 것을 소테키의 가신 하기와라 하치로禹에몬 무네토시(萩原八?右衛門尉宗俊)가 整理한 冊이라고 傳해진다. 書信 等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同時代 史料로서의 價値는 不明.

成立 時期 [ 編輯 ]

正確한 成立年은 알 수 없으나, 소테키가 事後에 整理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소테키가 死亡한 덴分 24年(1555年)에서 著者 하기와라 무네토시가 戰死한 겐키 元年( 1570年 ) 사이가 하고 推測되고 있다. 더욱이 第 47條의 사람을 다루는 데 있어 模範的인 다이묘를 이야기하는 部分에서, 羅列된 미요시 나가요시 나가오 가게토라 (後의 우에스기 겐新)의 官位·聲明 等에서, 에이로쿠 3年( 1560年 ) 또는 4年 ( 1561年 ) 程度에 成立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마가와 요시모토 의 이름도 列擧되고 있는 것에서, 요시모토의 評判을 떨어트린 오케下雌馬 戰鬪 이전인 에이로쿠 3年으로 限定할 수 있는 可能性도 있다. [4]

內容 [ 編輯 ]

全般的인 內容은 소테키가 말했다는 戰鬪 敎訓·家訓의 技術과, 소테키의 經歷을 敍述한 것이다. “武士는 개라는 소리를 듣든지, 짐승이라는 소리를 듣든지, 이기는 것이 重要하다.”무사는 個가 되든, 짐승이 되든, 이기는 것이 本領이다. [5] 라는 部分이 有名하다. 戰鬪는 簡潔하게 記述되어 있어, 몇年 몇月 몇일에 소테키가 말했다는 式의 記錄的인 要素는 存在하지 않는다. 雜談을 모아둔 印象을 주기는 하나, 完全히 別途의 主題를 散漫하게 羅列하고 있지는 않고 어느 程度 關聯된 弔問끼리 整理되어 있다.

各州 [ 編輯 ]

  1. 아사쿠라 家門의 第 7代 堂主 다카카게와 第 10代 堂主 다카카게는 이름이 같다. 曾祖父와 曾孫子 사이인 두 사람을 區分하기 위하여 法名을 넣어 電子를 에이린 다카카게(英林孝景), 後者를 燒準 다카카게(宗淳孝景)라고 부르는 境遇가 많다.
  2. 무로마치 幕府 第 3代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 가 悲壯하고 있었다는 有名한 茶器. 소테키가 入手하였을 때 500貫의 價値를 지니고 있었다고 하며, 後에 마쓰나가 히社히데 가 천 管을 支拂하고 손에 넣었다고 한다.
  3. 勿論 相當한 誇張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4. 《아사쿠라 氏의 家訓(朝倉氏の家訓)》, 후쿠이 현립 이치조다니 아사쿠라 씨 遺跡 資料館, 2008年.
  5. 「武者は犬ともいへ、畜生ともいへ、勝つことが本にて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