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身分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身分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身分制度 에서 넘어옴)

身分 制度 (身分制度)는 出身 에 따라 階層 을 나누는 制度이다. 人類 의 文化에서 身分 制度를 維持한 歷史的 時期가 存在한다.

槪要 [ 編輯 ]

어떤 個人이 社會에서 處한 狀況에 따라 나뉘는 階級 과 달리 身分은 태어날 때 이미 定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身分의 가장 큰 特徵은 血緣的 關係에 依해 世襲되는 것을 原則으로 한다는 點이다. 身分 制度가 剛하게 維持되는 社會에서도 境遇에 따라 한 個人이 身分 上昇을 하거나 沒落하는 境遇가 있어 왔으나 社會 全體의 支配 秩序라는 側面에서 보면 이러한 것은 極히 例外的인 境遇이다.

歷史 [ 編輯 ]

奴隸 , 平民 , 貴族 , 王族 과 같은 身分은 西洋의 境遇 古代 그리스 以前부터 東洋의 境遇 수메르 古代 이집트 를 비롯한 아시아 全域의 古代 文明에서 이미 發見된다. 이 中에는 印度의 카스트 制度 와 같이 現代에 이르러서도 身分 制度가 强한 影響을 維持하고 있는 境遇도 있다.

韓國 [ 編輯 ]

韓國史 에서 身分의 區分은 이미 古朝鮮 時期부터 言及된다. 只今까지 傳하는 古朝鮮의 8條法 中 도둑질한 者는 종으로 삼는다는 句節이 그것이다. 三國 時代 에는 이르러 王族과 貴族 및 平民과 賤民의 區分이 있었으며 高句麗와 같은 夫餘系 나라의 境遇 下戶라고 하여 平民과 賤民을 잘 區分하지 않았다. 그들은 거의 비슷하게 權利를 彈壓받았다. 新羅의 境遇 身分을 다시 聖骨, 眞骨과 여러 段階의 頭品으로 細分化하였고 權利도 細分化하였으나 末期에 가서는 身分秩序가 紊亂해져서 平民과 賤民이 區分이 意味가 없게 되었다. 朝鮮 時代에 이르러 法에 明文化된 身分은 良民과 賤民 으로 單純化되었으나 實際 朝鮮 社會에서는 兩班 , 中인 , 平民, 賤民의 區分이 있었다. 朝鮮은 甲午更張 으로 인하여 身分制를 廢止하였으나 衡平社 運動이 1935年 까지 持續된 것처럼 社會的 不平等이 쉽게 사라지지는 않았다. [1] 그러나 韓國戰爭 以後 兩班出身, 賤民出身 與否를 따지는 것과 같은 身分制의 殘滓는 거의 完璧히 사라졌다.

  • 奴婢와 賤民: 朝鮮 時代에 奴婢는 모두 賤民이었으나 賤民 모두가 奴婢는 아니었다. 奴婢는 官家에 屬하거나 兩班家에 딸린 종의 身分이었으나 賤民은 보다 넓은 階級을 아우르는 말이다. 白丁 이나 妓生 , 광대 等이 모두 賤民으로 불렸으나, 實際로 法律, 곧 《經國大典》을 비롯한 法典에 明文化된 賤民은 아니었다.

中世 유럽 [ 編輯 ]

中世 유럽은 聖職者 , 貴族, 平民으로 이루어진 三部會 로 象徵되는 舊體制를 維持하였으나 實際 身分 制度는 크게 보아 貴族과 平民으로 區分할 수 있다. 貴族에는 榮州 , 記事 와 같은 支配 階級이 있었으며 平民은 主로 農奴 丈人 等이 있었다. 以後 부르주아지 로 불리는 富裕한 平民이 登場하면서 中世 유럽의 身分 制度는 흔들리게 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衡平社의 發足을 알리는 주지, 慶南日報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