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손준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손준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름 손준(孫峻)
時代 三國 時代
生沒 建安 24年( 219年 ) ~ 太平 元年( 256年 )
自願(子遠)
本館 · 出身 洋酒 五軍 부춘縣
官職 武威徒尉(武衛都尉)〔孫權〕
→ 市中(侍中)〔孫權〕
→ 市中(侍中)
· 영(領) 武威將軍(武威將軍) · 宿衛(宿衛)〔孫權〕
→ 丞相(丞相) · 大將軍(大將軍)
· 毒重外製軍事(督中外諸軍事) · 佳節(加節)〔손량〕
作爲 度向後(都鄕侯)〔孫權〕
→ 不春煦(富春侯)〔손량〕
所屬 孫權 손량

손준 (孫峻, 219年 ~ 256年 )은 中國 三國時代 의 官僚이며 皇族이다. 者는 自願 (子遠). 丞相을 歷任하고 부춘後(富春侯)에 封해졌었다. 손정 의 曾孫이며, 吳의 第2代 皇帝 廢帝 손량 의 攝政이다.

生涯 [ 編輯 ]

諸葛角 政權의 一角이 되어 [ 編輯 ]

어려서 弓馬에 뛰어났고, 銳利하고 勇敢하며 果斷性이 있었다. 孫權 末年에 武威徒尉로 옮겼고, 侍中이 되었다. 大帝 卷 은 죽을 때, 諸葛角 을 太子太傅·大將軍에 임명하여 어린 廢帝·嗅官後 量 (大帝가 죽을 때 나이가 10歲)을 補佐하게 했다. 또 中書令 손홍(孫弘)李 太子少傅를 兼任하고, 會計태수 等尹 은 태床이 되었다. 大帝는 이 사람들과 將軍 여거, 그리고 市中 손준을 불러 뒷일을 付託했다. 손준은 政治를 補佐하라는 大帝의 遺詔를 받아 武威將軍을 兼任하고 宿衛가 되었고, 度向後에 封해졌다. 《三國志》에 主席으로 引用된 《五署》에 따르면, 손준이 票를 올려 諸葛角 이 큰 일을 맡을 수 있다고 했으며, 大帝는 諸葛角 이 獨斷的인 것을 꺼렸으나 諸葛角 만한 사람이 없었으므로 結局은 諸葛角 에게 大任을 맡겼다고 한다. 大帝가 죽은 後, 太子少傅 손홍이 諸葛角 과 和合하지 못했으므로 皇帝의 죽음을 숨기고 諸葛角 을 除去하려 했는데, 손준은 이 일을 諸葛角 에게 알려 諸葛角 의 목숨을 救했다.

執權 [ 編輯 ]

諸葛角 銀 위 征伐에 失敗하고, 돌아와서는 管理를 많이 바꾸고 사람들을 꾸짖었으며, 宿衛를 바꾸어 自身과 가까운 사람을 任用하였다. 또 淸州와 序奏로 向하려 했다. 이로써 諸葛角 은 民心을 잃고 怨望을 샀다. 손준은 이를 틈타 政變을 꾀해, 廢帝 量과 相議하여 酒宴을 열고 諸葛角 을 불러들여, 不吉한 豫感을 느끼고 여러 次例 疑心하는 諸葛角 을 안심시켜, 內戰으로 들어오자 칼로 찔러 죽였다. 또 諸葛角 의 둘째 아들 諸葛송(諸葛?)과 셋째 아들 諸葛巾(諸葛建)李 逃亡하자, 基督 儒僧(劉承)을 派遣하여 諸葛송을 斬首하고 諸葛角 의 三族을 滅했다. 建興 2年( 253年 ) 10月의 일이었다.

諸葛角 을 除去한 손준은 丞相·大將軍으로 昇進하였으며, 中央과 外方의 모든 軍士를 監督하고, 佳節을 받았다. 이로써 손준은 吳의 執權者가 되었다. 執權한 後 손준은 등尹과 속으로는 맞지 않았으나, 겉으로는 서로 包容했다. 日前에 손준이 諸葛角 을 誅殺하려고 廢帝 孃과 함께 酒宴을 열어 招待했을 때, 등尹은 宮闕에 들어가려다가 나오는 諸葛角 을 만나 손준의 陰謀는 까맣게 모르고 다만 禮法에 따라 皇帝를 뵙도록 勸誘하여, 結果的으로 손준의 쿠데타가 成功하는 데 寄與했다.

治世 [ 編輯 ]

第1次 손준 주살 計劃 [ 編輯 ]

諸葛角 은 自身의 姻戚인 肺太子 禍 를 各別히 여겼으므로, 民間에서는 諸葛角 손화 를 迎接하려 한다는 말이 있었다. 손준은 諸葛角 을 誅殺한 後 肺太子 和議 引受를 빼앗고 結局 죽였다. 사람들은 나라를 들 程度로 슬퍼했다. 손준은 重厚한 名聲이 없었고, 교만하고 陰險하며, 刑罰로 죽인 者가 많았으므로 百姓들의 怨望을 받았다. 또 宮中의 사람들과 姦淫하여, 公州 路盤(大帝의 딸로 朱脣, 電鐘 의 否認)과 私通하기까지 했다.

오봉 元年( 254年 ) 여름에 洪水가 發生했다. 가을에는 午後 손영 (大帝의 孫子며 太子 等의 獅子)李 손준을 誅殺하려 하였으나, 일이 發覺되어 손영 은 自殺했다. 다만, 三國志 註釋에 보면, 오력에서는 이 일을 달리 敍述하고 있으니, 손준이 손화 를 무고히 죽여 사람들이 激忿하고 歎息하였는데, 戰士마 환려 가 이를 利用하여 長壽와 管理를 모으고 함께 손준을 죽이고 손영 을 세우려 했는데, 손영 은 이를 알지도 못했다고 한다. 어찌되었든 손준은 첫 危機는 넘겨내었다.

毌丘儉·門欠의 난 [ 編輯 ]

오봉 2年( 255年 ) 봄 正月, 에서 私馬氏 政權에 對抗하여 毌丘儉 (?丘儉)과 門欠 (文欽)李 擧兵하여 위의 中央軍과 樂歌에서 싸웠다. 손준은 이 騷亂을 듣고, 閏달 正月 9日 表記將軍 여거 , 左將軍 유찬 과 함께 壽春을 치고자 軍士를 일으켰다. 19日, 吳君이 託孤에 이르렀을 때, 이미 陳 門欠 과 그 盞當 數萬 名은 손준에게 投降했다. 손준은 餘勢를 몰아 壽春城을 攻擊하려 했으나, 이미 위의 振動大將軍 第褐炭 이 壽春城에 들어갔다는 말을 듣고 軍士를 물렸다. 그러나 第褐炭 銀 將帥 長班 으로 하여금 吳君을 追擊하게 했고, 2月, 吳君은 고파에서 長班 에게 敗北하여 유찬 , 손陵 , 長水 等의 將帥를 잃었다. 3月, 손준은 주이 로 하여금 安風을 치게 했으나, 이기지 못했다. 結局 손준은 毌丘儉 의 亂을 틈탄 北伐에서 敗北하고 말았으며, 다만 門欠 과 그 殘黨을 얻었다.

第2次 손준 주살 計劃 [ 編輯 ]

이 해 가을 7月, 蜀漢 에서 使者를 보냈다. 손준의 堂叔이며 손校 (孫皎)의 아들로, 將軍·侯爵·無難毒인 손의(孫儀)가, 腸이(張怡), 임순(林恂)-或 孫昭(孫邵), 임순(?恂)-과 共謀하여, 死者와 會見하는 틈을 타 손준을 죽이려 했다. 그러나 일이 綻露나 손의 等은 自殺했고, 數十 名이 죽었다. 전공주( 손路盤 )이 아우 州公主(努肉)李 손義와 公募한다고 상주했으므로, 손준은 努肉마저 陋名을 씌워 죽였다.

광릉 築城 [ 編輯 ]

손준은 光陵에 城을 쌓고자 하여, 위위 風潮 (馮朝)로 하여금 城을 쌓게 하고, 將軍 오양 (吳穰)을 광릉太守로, 有略 (留略)을 東海太守로 임명했다. 調整 臣僚들은 그 곳에 城을 쌓는 것이 不可한 것을 알았지만, 손준을 두려워하여 아무도 말하지 못했고, 오직 등윤만이 諫하여 그치게 하려 했지만, 손준은 듣지 않았다. 이 해 큰 가뭄이 들었으며, 結局 築城은 失敗로 돌아갔다.

2次 北伐 計劃, 死亡 [ 編輯 ]

이듬해, 곧 太平 元年( 256年 ), 손준은 前에 위에서 投降해 온 正北大將軍 門欠 의 計策을 받아들여 慰勞 出征하기로 했다. 8月, 먼저 門欠 , 여거 , 거기將軍 유찬 (劉纂), 振男將軍 주이 (朱異), 前將軍 當者 (唐咨)의 軍事로 强度에서 回收·射手로 들어가 淸酒와 序奏를 取할 計劃을 세우게 했다. 等尹과 함께 石頭에서 軍士를 餞別한 後, 種子 1百을 거느리고 여거 의 軍營에 들어갔다. 여거 가 軍士를 整頓하였고, 손준은 이를 싫어하여 가슴이 아프다 稱頉하고 떠났다. 마침내, 諸葛角 에게 攻擊받는 꿈을 꾸고 두려워하다 病이 나 죽었다. 이때 38歲였다. 遺言으로 後事는 從弟 손鍼 (孫?)에게 맡겼다.

손鍼 經濟 에게 주살당한 後, 經濟는 손준의 棺을 꺼내 引受를 빼앗고, 손준과 손鍼 의 이름을 宗室에서 削除하고, 고준(故峻), 고침(故?)이라 불렀다.

人物評 [ 編輯 ]

진수 (陳壽)는 제葛藤이손복量田 末尾에서, “손준, 손鍼 은 凶惡한 行實이 가득하여 本來 論할 價値도 없는 者”라고 評했다.

親族 關係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

  • 진수,《三國志》權48 五署 3 三四主戰
  • 진수,《三國志》權50 五署 5 妃嬪展
  • 진수,《三國志》權59 五署 14 誤주오自轉
  • 진수,《三國志》權64 五署 19 제葛藤이손복量田
前任
住居 (代理)
第5代 동오 의 丞相
253年 ~ 256年
後任
손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