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姓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濟州 三姓穴
(濟州 三姓穴)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私的
種目 私的 第134號
( 1964年 6月 10日 指定)
面積 33,833m 2
時代 未詳
所有 고·양·부 三聖祠財團
住所 濟州特別自治道 濟州市 삼성로 22 (이도일桐)
連結 三姓穴 公式 사이트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三姓穴

三姓穴 (三姓穴)은 濟州市 濟州 칼 호텔 濟州島民俗自然史博物館 사이의 松林 가운데에 位置한 3個의 구멍이다. 1964年 6月 10日 史跡 第134號로 指定되었다. '某興穴'이라고도 한다. 耽羅國 個國의 傳說이 있는 有名한 곳이다. 太古 時代에 양을나 (良乙那)· 고을나 (高乙那)· 부을나 (夫乙那)의 3신이 이 세 웅덩이에서 태어나 獅子(使者)가 데려온 3處女를 配匹로 맞아 살면서 耽羅國을 세워 濟州島의 改造가 되었다 한다. 現在도 3웅덩이의 痕跡이 남아 있으며 祠堂(祠堂)·碑石이 있다. 1526年 濟州牧師 이수동 李 孃·高·不氏의 後孫들에게 血祭를 지내게 하면서 치제가 始作되었다. 1698年 삼을나墓를, 1827年 典祀廳 을, 1849年 崇報當 을 세웠다.

高麗史 [ 編輯 ]

高麗史 고기(高麗史 古記)에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耽羅는 南海 가운데 있다. 처음에는 사람이 없었는데 三神人이 땅에서 솟아나니 그들은 바로 을라 三兄弟이었으니 화살을 쏘아 떨어지는 곳을 都邑으로 定하기로 하고, 맏이를 양을나 , 버금을 고을나 , 셋째를 부을나 라 하였다. 세사람은 거친 들판을 돌아 다니며 사냥하여 가죽옷을 입고 고기를 먹으며 살았다. 하루는 붉은 진흙으로 봉한 나무 箱子가 東쪽 바닷가로 떠내려 온 것을 發見하고 나가서 열어 보니 그 안에 또 石函(石函)이 있고 붉은 띠에 紫朱빛 옷을 입은 獅子(使者)가 한 사람 따라와 있었다. 石函을 여니 푸른 옷을 입은 處女 3名과 망아지, 송아지와 五穀 씨앗 等 여러가지가 있었다. 이에 獅子가 말하기를 "나는 일본국 使臣입니다. 우리 王이 이 세 王女를 낳고 이르되 西海 한가운데 있는 山에 信者(神子) 3名이 降生(降生)하여 將次 나라를 세우려는데 配匹이 없다하시고 이에 神(臣)에게 命하여 歲 王女를 모시게 하였습니다. 마땅히 配匹로 삼아 大業(大業)을 이룩하시옵소서"하고 忽然히 구름을 타고 떠나가 버렸다. 3名은 나이 次例로 나누어 配匹을 삼고 샘물이 달며 땅이 기름진 곳에 나아가서 활을 쏘아 터를 定하니 양을나가 사는 곳을 第一도(第一徒), 고을나가 사는 곳을 제이도(第二徒), 부을나가 사는 곳을 第三道(第三徒)라 하고 비로소 五穀을 播種하고 또한 망아지와 송아지를 기르니 날로 富裕하고 繁榮하였다.

東國通鑑 [ 編輯 ]

東國通鑑(東國通鑑)은 成宗15年(1484) 刊行되어 長曰良(章曰量)이라 하고 長爲良說(長位兩舌)李 굳어졌으며, 以後에도 살펴보면 孝宗4年(1654)에 李元鎭(이원진)牧使(牧師)도 三姓穴條(三姓穴兆)에 良高夫(量古阜)라고 썼고 肅宗29年(1703)에 李衡祥(이형상)牧使(牧師) 亦是 三姓祠 上樑門(三聖祠 上樑文)에 良高夫(量古阜)로 썼다. 이때 祠宇(祠宇)를 完成하고 三神人(三神人)의 位牌(位牌) 順位를 定함에 있어서 三星新人 降生(三姓神人 降生)의 私的文獻과 國事를 널리 上告(詳考)韓 끝에 양을나(良乙那)를 第1位에 모시고 고을나(高乙那)를 第2位에, 부을나(夫乙那)를 第3位로 決定한 後 祭文(祭文)을 지어 位牌(位牌)를 모시고 祭祀를 올리었다.

王朝實錄 [ 編輯 ]

王朝實錄(王朝實錄 42~P.163)에 依하면 英祖5年(1771)에 高漢俊(고한준)等이 主上(主賞)께 奏請(奏請)하는 上疏文에도 良高夫(量古阜)로 썼다. 또한 李丙燾(李丙燾)著의 韓國史(韓國史)에도 良高夫(量古阜)요, 金泰能(김태능)著의 濟州島史論攷(濟州島司논고)에도 良高夫(量古阜)라 했으며 國史大事典(國師大辭典)?韓國事大事前 等에도 良高夫(量古阜)라고 記錄하였으며, 玄容駿(현용준)著 「濟州島神記(濟州島신기)」에도 良高夫(量古阜)라 收錄이 되어 있다.

"濟州목(濟州牧)" 本註(本州)는 全羅道의 南쪽 바다 가운데 있다. 그 株(州)의 고기(古記)에 이르기를,“태초(太初)에는 사람과 物件이 없었는데, 新鮮[神人] 세 사람이 땅으로부터 솟아나왔다. 只今도 珠算(主山) 北쪽 기슭에 ‘모興(毛興)’이라 하는 구멍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그곳이다. 맏을 ‘양을나(良乙那)’, 둘째를 ‘고을나(高乙那)’ 세째를 ‘부을나(夫乙那)’라고 하였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위키미디어 公用에 三姓穴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