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北周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北周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557年 ~ 581年
하늘색이 북주
하늘色이 北周
수도 長安
政治
政治體制 君主制
皇帝 우문각 (557)
우문육 (559 ~ 560)
禹문옹 (560 ~ 578)
愚問尹 (578 ~ 579)
우문천 (579 ~ 581)
歷史
 ? 成立
?滅亡
557年
581年
人文
公用語 中國語
위진 南北朝 王朝들의 系統도

北周 (北周, 557年 ~ 581年 )는 中國 南北朝 時代 때 선비足 우문氏가 建國한 國家이다. 國號는 주지만 古代의 周나라 와 區別하기 위해서 北周라고 부른다.

歷史 [ 編輯 ]

實質的인 創始者 선비족(鮮卑族) 宇文泰 (宇文泰)는 北緯 (北魏)의 6陣의 亂 에 參加한 뒤 하발악에게 歸順하여 頭角을 나타내고, 하발악이 죽자 그가 가지고 있던 基盤을 繼承한 뒤 觀衆 地方에서 勢力을 誇示했다. 이에 효무제 (孝武帝)가 북위의 宰相 睾丸 (高歡)으로부터 도망쳐 그에게로 왔다. 그 後 睾丸이 同位 (東魏)를 建國하자 宇文泰도 사이가 나빠진 효무제를 毒殺하고 問題를 擁立하니 이것이 西魏 (西魏)가 되었다. 그 後, 宇文泰는 西魏의 丞相으로까지 昇進했다.

宇文泰 事後 丞相을 물려받은 우문각 (宇文覺)은 557年 에 西魏의 皇帝로부터 煽揚을 받아 帝位에 올라 北周(北周)를 建國했으나, 實權은 宇文泰의 조카였던 우문호 (宇文護)가 쥐고 있었다. 우문호는 北齊와 競爭하며 突厥에 軍事的 도움을 받으려고 했는데 突厥의 타발可汗에 依해 北齊는 이미 突厥에 服屬되어 있었다. 우문각은 突厥의 타발可汗에게 中國의 支配者란 뜻으로 "天王(天王)" 이라는 尊名을 올린다. 우문호는 招待 효민第 (孝閔帝)부터 3代 無題 (武帝)까지 세우며 대단한 權勢를 누렸다. 우문호의 專橫에 不滿을 품고 있던 無題 가 우문호를 誅殺하고, 577年 에 高氏가 세운 北齊 (北齊)를 멸망시켜 華北을 統一 했다. 또한 武帝는 폐불 을 斷行하였는데 이것을 第2次 三武一宗의 폐불 이라고 부른다. 또한 突厥 (突厥)의 持續的인 侵入을 받아 北周는 突厥에 무릎을 꿇었고 屬國으로서 朝貢을 바치게 된다. 北周는 한족이 세운 南朝 (陳)나라를 攻擊하여 한족들이 代身 突厥에 朝貢하게 한다.

第4代 皇帝인 先制 (宣帝)는 南朝 秦나라를 領土 全體를 攻擊하였고 秦나라는 北周에 降伏하여 屬領이 되었고 선비족들이 秦나라를 運營하게 되어 事實上 秦나라는 滅亡하게 되었다. 하지만 先制는 暴惡無道한 짓을 恣行했기 때문에, 크게 人望을 잃었다. 先制의 親戚인 수國共(隋國公) 楊堅 (楊堅)은 先制가 죽자 良犬은 先制의 親戚이라는 名目으로 攝政하였기 때문에 皇帝의 實權이 사라지게 되었다. 581年 에 第5代 皇帝인 精製 (靜帝)는 良犬에게 北周를 선양하니 良犬은 宣揚받은 北周의 國名을 (隋)로 고쳤다. 以後 事實上 滅亡하여 작은 領土만을 가지고 있던 南朝 秦나라를 完全히 멸망시켰다.

政治 體系 [ 編輯 ]

北周는 主禮 에 기초해서 官制와 府兵制를 만들었다. 그리하여 大冢宰, 大司徒, 大宗伯, 大司馬, 大司寇, 大司空의 6貫의 管制는 3星 6部라고 이름이 바뀌게 되었다. 儒敎 經典에 있는 周禮에 기초한 管制를 使用하고, 옛 周나라의 國號를 使用하기도 했다.

軍事 體系 [ 編輯 ]

北周는 軍의 要職으로 8주국 - 12大將軍을 配置했는데, 이들 20名은 宇文泰 의 出身地인 무천진(現在의 內몽골에 存在한 북위의 선비족 軍事基地) 선비족 出身者들로 構成되었다. 이들 밑에 24個部를 設置해, 이들 24軍團이 府兵制 群團을 構成하고 있었다. 이 軍事 制度는 元來 姓氏가 '步六餘(普六茹)'이며 선비족이던 隋나라 양氏(楊氏)가 12大將軍이었고 唐나라 李氏(李氏)가 선비족 관롱(關?)集團 8주국(八柱國)의 家門이었던 理由도 있어서, 선비족 支配 階層이 支配하고 한족이 被支配 階層인 國家 體制는 數(隋)?黨(唐)까지 이어가게 되었다.

歷代 皇帝 [ 編輯 ]

北周 皇帝와 年號
臺數 廟號 시호 聲明 年號 在位期間 陵號
- - 德皇帝
(德皇帝)
(週 命題 追崇)
우문굉 (宇文肱) - - -
- 週 太祖
(周太祖)
(週 命題 追崇)
門皇帝
(文皇帝)
宇文泰 (宇文泰) - - 성릉(成陵)
第1代 - 효민皇帝
(孝閔皇帝)
우문각 (宇文覺) - 557年 정릉(靜陵)
第2代 週 世宗
(周世宗)
明皇帝
(明皇帝)
우문육 (宇文毓) 茂盛 (武成) 559年 ~ 560年 557年 ~ 560年 少陵(昭陵)
第3代 週 高調
(周高祖)
무皇帝
(武皇帝)
禹문옹 (宇文邕) 補正 (保定) 561年 ~ 565年
天火 (天和) 566年 ~ 572年
建德 (建德) 572年 ~ 577年
選定 (宣政) 578年
560年 ~ 578年 孝陵(孝陵)
第4代 - 先皇帝
(宣皇帝)
愚問尹 (宇文贇) 大聲 (大成) 579年 578年 ~ 579年 정릉(定陵)
第5代 - 正皇帝
(靜皇帝)
우문천 (宇文闡) 對象 (大象) 579年 ~ 580年
대정 (大定) 581年
579年 ~ 581年 孔陵(恭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