木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木造
穆祖
朝鮮의 推尊 國王
在位 ? ~ 1274年
前任 先凋枯 (先祖考)
後任 翼祖 (翼祖)
父王 先凋枯
文身 (文臣)
이름
이안사(李安社)
異稱 未詳
廟號 木造(穆祖) 木王(穆王)
시호 人문성목大王(仁文聖穆大王)
身上情報
出生日 生年 未詳 (生年 未詳)
出生地 未詳
死亡日 1274年
死亡地 未詳
王朝 朝鮮 (朝鮮)
家門 全州 (開城)
父親 先凋枯
母親 三陟 李氏 上將軍 이강제(李康濟)의 딸
配偶者 효공왕후 李氏 (孝恭王后 李氏)
子女 안천대군 (安川大君)
안원대군 (安原大君)
안풍대군 (安?大君)
翼祖 (翼祖)안창대군(安昌大君)
안흥대군 (安興大君)
宗敎 未詳
墓所 德陵 (德陵)
이안사가 살았던 자만동 一帶에 對한 出入 禁止를 알리는 表示昔

木造 (穆祖, ? ~ 1274年 )는 高麗 文身 으로, 朝鮮時代 追尊王 利子 翼祖 아버지 이며, 朝鮮 追尊王 賭租 의 祖父, 朝鮮 追尊王 桓祖 曾祖父이고, 太祖 李成桂 의 高祖父이다. 휘(諱)는 안사 (安社).

生涯 [ 編輯 ]

全羅道 全州 에서 大將軍을 지낸 이양무 와 上將軍 이강제의 딸 三陟 李氏와의 사이에 아들로 태어났다. 一說에는 그가 이양무 의 長男이라 하고, 다른 說에 따르면 高麗末 主婦同情(主簿同正)을 지낸 이영습이 그의 兄이라고도 한다.

처음에 全州 에 살았는데, 妓生 問題로 山城別監(山城別監)과 葛藤을 빚고 三陟 으로 移住하였다. 이안사는 이 地域의 한 妓生을 좋아했는데 하루는 그 고을 別監과 妓生問題로 다투었다. 그래서 火가 난 이안사는 別監에게 따졌고 싸움까지 일어났는데 問題는 이 別監이 고을 縣監까지 알고 지내는 사이였다. 縣監은 이 問題를 道知事級이었던 按廉使에게 알리는 바람에 이안사는 投獄될 危機에 處했다. 當時는 蒙古와의 戰亂期라 豪族들은 스스로 집안과 財産, 人命을 지키기 爲해 家兵을 거느리고 있는 境遇가 많았는데 按廉使는 家兵으로 이안사를 칠려고 하였지만 이를 알게 된 이안사는 안림社에서 미적거리는 사이에 집을 整理하고 家率과 財産을 가지고 江原道 三陟으로 떠났다. 그곳에서 倭寇 의 侵略을 막아냈다. 山城別監이 按察使 로 任命되어 오자 다시 義州(宜州, 元山 )로 移住하였다.

朝廷에서 그를 義州 兵馬使 로 삼아 원의 侵略을 막게 했는데, 1254年 몽골의 産地價 이안사를 攻擊하고 懷柔하자 降伏하였다. 當時 몽골軍이 撤軍할 때 降伏한 高麗人들을 지린省으로 끌고 갔는데 이안사는 開元路(開元路) 南京 (南京)萬戶府의 梧桐(斡東, 알동 [1] )으로 데려갔고, 1255年 에 이안사는 오동천呼訴의 우두머리 오동천號(千戶) 兼 다루가치 (達魯花赤)로 任命되었다.

1274年 世上을 떠나 아들 履行里 가 官職을 이어받았다. 1392年 7月 28日 太祖 李成桂 에 依해 木王(穆王)에 追封되었다가 1411年 4月 22日 太宗 에 依해 木造 (穆祖) 人문성목大王 (仁文聖穆大王)에 再追封되었다.

家族 關係 [ 編輯 ]

  • 祖父 : 이린 (李璘) - 朝鮮 太祖 의 6代祖
  • 조某
    • 部 : 이양무 (李陽茂, ? ~ 1231年 ), 大將軍
    • 某 : 三陟李氏 上將軍 이강제(李康濟)의 딸
      • 第 : 이영필(李英弼)
      • 第 : 이寧謐(李英謐)
      • 第 : 이영습(李英襲) - 主婦公派
  • 木造大王

移住: 全州 三陟 →義州(宜州, 元山 )→ 元나라 梧桐(斡東, 알동 [1] )

各州 [ 編輯 ]

  1. 라선시 豆滿江 맞은 篇, 한·中· 接境인 러시아 沿海州(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 하산스키群 하산 中國 지린省 훈춘시 更新眞(敬信鎭) 房千村(防川村) 一帶
第1代 元나라 의 千戶
後任
履行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