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滿堂 (佛敎)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滿堂 (佛敎)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滿堂 (卍黨)은 日帝强占期 동안 組織되었던 佛敎 系列의 祕密 組織이다. 抗日 性向의 團體로 評價된다. [1]

結成과 活動 [ 編輯 ]

3·1 運動 以後 1920年代 에 活潑히 展開되었던 靑年 僧侶들의 움직임이 여러 가지 限界로 인해 어려움에 부딪히면서, 祕密結社 組織인 滿堂이 胎動되었다. 1924年 以後 자주 交流하던 이용조 , 兆學諭 , 김상호 , 김법린 이 뜻을 모아 1930年 5月에 1次 結社가 組織되었다. 以後 2次 結社, 3次 結社로 晩唐에 共感하는 僧侶들이 次例로 合流하였다.

滿堂의 黨首로는 한용운 이 推戴되었다. 그러나 晩唐에서의 韓龍雲의 役割에 對해서는 相反되는 證言이 있다. 이용조는 韓龍雲을 黨首로 推戴했을 뿐 韓龍雲에게는 이 事實을 알려주지 않았다고 證言했으며, 박영희 는 韓龍雲의 直接 指示로 滿堂이 組織되었다는 證言을 남겼다.

祕密結社인 晩唐의 組織이나 活動에 對해서는 仔細한 內容이 알려지지 않았다. 최범술 은 回顧錄에서 自身이 住持로 있던 다솔사 에 黨員들이 모여들어 一種의 集合處 役割을 했다고 主張했으며, 韓龍雲은 精神的 支柱 役割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綱領에 따르면 活動 目標는 佛敎의 大衆化와 敎團 革新에 力點을 두었다.

沈滯와 解體 [ 編輯 ]

晩唐은 朝鮮佛敎靑年總同盟 이라는 團體를 組織하여 公開 活動으로 轉換하였다. 滿堂 黨員들이 朝鮮佛敎靑年總同盟에서 核心的인 役割을 맡았다.

1932年 朝鮮佛敎中央敎務員 增資 問題로 內紛이 發生하면서 沈滯되기 始作했다. 黨員 김상호는 晩唐 組織의 反對에도 中央敎務院 幹部 자리에 올랐다. 一部 黨員들을 除去하자는 强勁論과 이를 反對하는 穩健論이 맞서면서 1933年 에 解體되었다.

中日 戰爭 勃發 後인 1938年 무렵부터 晩唐 黨員들이 續續 逮捕되는 일이 發生했다는 證言이 여럿 있으나, 審問調書나 裁判 記錄은 傳하지 않는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

各州 [ 編輯 ]

  1. 박희승 (1999年 12月 1日). 《이제 僧侶의 入城을 虛함이 어떨는지요》. 서울: 들녘. 273쪽쪽. ISBN   89752714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