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劍의 兄弟騎士團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劍의 兄弟騎士團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리보니아 騎士團 에서 넘어옴)

騎士團의 揮帳

劍의 兄弟騎士團 ( 獨逸語 : Schwertbruderorden 슈베르투브뤼데로르덴 [ * ] , 라트비아語 : Zobenbr??u ordenis 兆벤브랄루 오르데니스 , 에스토니아語 : Moogavendade ordu 머價벤다데 오르두 )은 1202年 리보니아 (現在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의 一部 地域)의 第3代 主敎 알브레히트 폰 북스回프덴 이 創設한 騎士修道會 이며, 1204年 敎皇 인노첸시오 3歲 로부터 正式 認可와 築城 을 받았다. 正式 名稱은 리보니아의 그리스도 騎士修道會 ( 라틴語 : Fratres militiæ Christi Livoniae )이다. 構成員은 獨逸 出身의 全社的인 搜査 들이며 1236年 사울레 戰鬪에서 完敗當한 後 이듬해 튜턴 騎士團 에 吸收되었다.

歷史 [ 編輯 ]

左側: 튜턴記事團員/右側: 劍의 兄弟記事團員

12世紀 中盤, 리보니아 에서는 뤼베크 브레멘 에서 獨逸人 商人들과 같이 온 獨逸人 宣敎師들과 現地의 異敎徒 原住民들 間의 軋轢이 나날이 高調되어 小規模 戰鬪가 頻發하고 있었다. 이러한 渦中에 1199年에 리보니아 主敎區의 主敎로 發令받은 試土 修道會 出身의 알베르트는 이 地域 敎會를 지키고 異敎를 信奉하는 原住民들에 對한 宣敎活動을 위해 1200年 3月 東方 十字軍이라는 旗幟를 내걸었다. 그는 이때 모인 兵士들을 自身의 家神으로 삼아 훈련시킨 後, 리가 로 移動하여 그곳 地域 住民들을 攻擊하여 服屬시켰다. 또한 1201年에는 自身의 主敎座를 리가로 移轉시켰다. 이를 위한 事前準備로서 알베르트는 1202年에 리보니아 劍의 兄弟 騎士團이라는 이름의 常設 軍事機構를 設立하였다. 이러한 騎士團의 活動 德分에 리보니아는 大部分 征服되었으며 에스토니아度 1218年 騎士團이 北쪽을 공략하면서 占領되었다.

그러나 정복당한 異敎徒들에 對한 苛酷한 搾取와 戰鬪 時 지나치다 싶을 程度로 敵들을 殘忍하게 殺戮하면서 騎士團의 惡名은 멀리 로마에까지 알려지게 된다. 結局 騎士團을 진정시켜 活動을 制約하려고 온 敎皇 特使에게까지 無禮한 行動을 일삼았다. 惡名으로 因해 孤立이 深化되어가던 騎士團은 이윽고 1236年 리투아니아軍에 慘敗를 當하였다. 다음해 1237年 튜튼 騎士團에 吸收 合倂되면서 같이 行動을 하기 始作하였다.이후 튜튼 騎士團이 폴란드-리투아니아 와의 戰爭 後에 沒落하고 領地가 프로이센 으로 世俗化하자 다시 獨立하여 獨自的인 勢力으로 남아 隣近의 領主들과 리보니아 聯盟 을 構成하였다. 그러나 1560年 모스크바 大公國의 侵入을 받고 大敗해 完全히 解體되었다. 以後 마지막 騎士團長人 고트할트 케틀러는 1561年까지 職位를 維持하다가 루터교로 改宗해 世俗化하고 쿨란드 大公이 되었으나 모스크바 大公國 의 壓迫에 對處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에게 新種하고 勢力圈으로 編入 되었다.


騎士團의 文章

歷代 騎士團長 [ 編輯 ]

  • Vinno von Rohrbach (非盧 폰 露語바흐) 1202-1209 Herrenmeister Schwertbruderorden
  • Volquin Schenk von Winterstein (볼퀸 셴크 폰 빈테르슈타인) 1209 - 1236 Herrenmeister Schwertbruderorden
  • Hermann Balk (헤르만 발크) 1237?1238 Landmeister Deutscher Orden fff.
  • Dietrich von Gruningen (디트리히 폰 그뤼닝겐) 1238?1242 und 1244?1246
  • Andreas von Stierland (안드레아즈 폰 슈티어란트) 1248?1253
  • Anno von Sangerhausen (雁奴 폰 腸게르하우젠) 1253?1256
  • Burchard von Hornhausen (不르하르트 폰 호른하우젠) 1256?1260
  • Werner von Breithausen (베르네르 폰 브라이트하우젠) 1261?1263
  • Konrad von Mandern (콘라트 폰 만데른) 1263?1266
  • Otto von Lutterberg (오토 폰 壘테르베르크) 1266?1270
  • Walther von Nortecken (발터 폰 노르테켄) 1270?1273
  • Ernst von Rassburg (에른스트 폰 라스부르크) 1273?1279
  • Konrad von Feuchtwangen (콘라트 폰 포이히트反겐) 1279?1281
  • Wilken von Endorp (빌켄 폰 엔도르프) 1281?1287
  • Konrad von Herzogenstein (콘라트 폰 헤르超겐슈타인) 1288?1290
  • Halt von Hohembach (할트 폰 好헴바흐) ?1293
  • Heinrich von Dinkelaghe (하인리히 폰 딘켈라게) 1295?1296
  • Bruno (브루노) 1296?1298
  • Gottfried von Rogga (고트프리트 폰 로가) 1298?1307
  • Conrad von Jocke (콘라트 폰 요케) 1309?1322
  • Johannes Ungenade (요한네스 융게나트) 1322?1324
  • Reimar Hane (라이마르 하네) 1324?1328
  • Everhard von Monheim (에벤르하르트 폰 몬하임) 1328?1340
  • Burchard von Dreileben (不르하르트 폰 드라日레벤) 1340?1345
  • Goswin von Hercke (고슈빈 폰 헤르케) 1345?1359
  • Arnold von Vietinghof (아르놀트 폰 非틴크호프) 1359?1364
  • Wilhelm von Vrymersheim (빌헬름 폰 프리머自任) 1364?1385
  • R. von Eltz (R. 폰 엘츠) 1385?1389
  • Wennemar Hasenkamp von Bruggeneye (베네마르 하젠캄프 폰 브뤼게네예) 1389?1401
  • Konrad von Vietinghof (콘라트 폰 非틴크호프) 1401?1413
  • Diderick Tork (디데리크 토르크) 1413?1415
  • Siegfried Lander von Spanheim (지크프리트 란터 폰 슈판하임) 1415?1424
  • Zisse von Rutenberg (治世 폰 루텐베르크) 1424?1433
  • Franco Kerskorff (프랑코 케르즈코르프) 1433?1435
  • Heinrich von Bockenvorde (하인리히 폰 步켄보르트) 1435?1437
  • H. Vinke von Overbergen (H. 빈케 폰 오베르베르겐) 1438?1450
  • Johann Osthoff von Mengede (요한 오스트호프 폰 멘게트) 1450?1469
  • Johann Wolthuss von Herse (요한 볼투스 폰 헤르第) 1470?1471
  • Bernd von der Borch (베르른트 폰 데어 보르흐) 1471?1483
  • Johann Fridach von Loringhofe (요한 프리다히 폰 로린크호페) 1483?1494
  • Wolter von Plettenberg (本테르 폰 플레텐베르크) 1494?1535
  • Hermann Hasenkamp von Bruggeneye (헤르만 하젠캄프 폰 브뤼게네예) 1535?1549
  • Johann von der Recke (요한 폰 데어 레케) 1549?1551
  • Heinrich von Galen (하인리히 폰 갈렌) 1551?1557
  • Johann Wilhelm von Furstenberg (요한 빌헬름 폰 퓌르슈텐베르크) 1557?1559
  • Godert (Gotthard) Kettler (高데르트 (고트하르트) 케틀러) 1559?1561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