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대한화사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대한화사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대한화사전 》(大漢和辭典 日本語 : だいかんわじてん )은 日本 다이슈칸쇼텐 에서 發行하고 있는 漢字-日本語 辭典으로, 日本의 漢學者인 모로下視 데쓰지 ( 日本語 : 諸橋轍次 )와 다이슈칸 書店 社長인 스즈키 잇페이( 日本語 : 鈴木一平 )가 中心이 되어 數十 年의 歲月을 거쳐 만들어낸 漢字 辭典이다. [1]

編纂 歷史 [ 編輯 ]

漢學者 였던 모로下視는 中國語 를 工夫하기 위해 1917年 中國 에 건너 갔을 때, 글字와 뜻풀이, 用例 및 出戰을 모두 알 수 있는 辭典이 없는 것에 注目했다. 《 康熙字典 》은 글字와 뜻풀이가 실려 있었지만 出處가 標示되어 있지 않았고, 《 佩文韻府 》(佩文韻府, 中國의 韻書 )에는 用例는 있었으나, 뜻풀이가 없었다. 1919年 모로下視는 約 20卷의 硏究노트를 가지고 日本 으로 돌아왔다. 그 後 다이슈칸의 社長인 스즈키 잇페이가 超大型 漢字 辭典을 編纂할 構想을 가지고 그 適任者로 모로下視를 찾아갔다. 너무나 厖大한 作業規模에 모로下視는 처음에 拒絶했으나, 約 1年 3個月에 걸친 交涉과 說得끝에 事前 編纂 프로젝트를 受諾한다. 모로下視의 豫備調査結果 編纂 作業은 豫想보다 훨씬 厖大한 規模임이 밝혀져 躊躇하기도 했으나, 두 사람의 協議에 따라 다이슈칸 書店內에 專用 組版所가 마련되었다.

1943年 第1卷이 刊行되었으나, 聯合軍의 爆擊으로 다이슈칸 書店 本社및 印刷所 및 著作이 모두 破壞되었다. 前後 남겨진 校正版을 中心으로 作業이 再開되지만, 活字 關係의 人力 不足으로 從來의 方式으로는 作業 進行이 어렵다고 判斷, 寫眞 植字機 硏究所에 寫眞 植字 原子의 作成을 要請하여, 끈질긴 說得 끝에 協助를 얻는다. 同時에 스즈키 社長은 아들들을 다니고 있던 大學에서 中退시켜, 編纂·印刷·經營을 傳授하는 等 온 家族 單位로 事前 作業에 沒頭하였다.

1957年 에 스즈키는 기쿠치 간 賞 을 受賞하고, 1960年 에 前 13卷이 完成되어 作業이 一段落된다. 1965年 모로下視는 文化勳章을 受賞하였고 1982年 에 死亡했다. 2000年 에 補充판을 包含 前 15卷이 完成되어 모로下視가 最初로 構想했던 모든 作業이 完了되었다. [1]

特徵 [ 編輯 ]

前 13卷, 補充 1卷, 語彙 索引 1卷의 15卷으로 構成되어 있다. 約 5萬이 넘는 漢字와 53萬에 達하는 熟語를 그 出戰인 中國의 古典(《 市警 》, 《 論語 》, 《 孟子 》, 《 長子 》 等)과 함께 收錄했으며, 約 1萬이 넘는 篆書體度 收錄되어 있다. 漢字 의 本고장인 中國 政府로부터도 圖書館 備置用으로 注文을 받았다고 하며, 韓國 大學校 , 圖書館 등에도 備置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版本이 크고 價格이 高價이므로, 個人이 所藏하기는 쉽지 않다. 情報化 時代를 맞아 디지털化의 要請이 끊이지 않으나, 컴퓨터에서 處理可能한 漢字 外의 漢字가 많은 點과 厖大한 作業量 때문에 아직 實現되지 않고 있다.

事前 編纂을 專擔한 다이슈칸 書店은 編纂 過程에서 深刻한 財政難에 시달렸다고 한다. 國家 規模의 大規模 事前 編纂 作業을 個人의 意志로 實現해낸 事例로서 그 價値를 인정받고 있다. [1]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冊 世上을 經營하다」, 모로下視 데쓰지 이야기, 심상훈 저, 평단문화사(2009年, 295~306p)

參考 資料 [ 編輯 ]

  • 「詩名多識」, 生物百科事典을 만나다(대한화사전, 大漢和辭典), 정학유 저, 허경진 驛, 한길사(2007年, 20~2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