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努肉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努肉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努肉 (盧毓, 183年 ? ~ 257年 )은 中國 三國 時代 (魏)의 政治家로, 者는 自家 (子家)이며 幼主 (幽州) 濁軍(?郡) 涿縣(?縣) [1] 사람이다. 後漢 末의 政治家 노식 (盧植)의 4남이다.

私的 [ 編輯 ]

열 살에 父親이 죽었고, 當時에는 後漢 末期의 混亂期였는데, 두 兄이 죽었고 元素 (袁紹)와 공손찬 (公孫瓚)이 서로 싸우며 幼主와 寄主 (冀州)에는 凶年이 들었다. 努肉은 이런 어려운 狀況 속에서도 兄들이 남긴 食口들을 길러, 學問과 行實로 名聲을 얻었다. 조비 (曹丕)가 五官中郞將(五官中郞將)이 되면서 五官中郞將 所屬의 門下赤潮(門下賊曹)가 되어 처음으로 出仕했고, 최염 (崔琰)李 寄主主婦(冀州注簿)로 薦擧했다. [2]

當時 戰亂 中에 새로운 秩序를 세워가고 있는 中에, 逃亡치는 兵士를 다스리는 法令이 嚴해 妻子도 連坐 했다. 이때 도망친 兵士의 아내 백(白) 等이 사로잡혔다. 비록 이들은 婚姻한 지 얼마 안 되어 男便을 보지도 못했지만, 代理는 기시 (棄市)에 處할 것을 主張했다. 努肉은 《 市警 》(詩經)과 《 禮記 》(禮記)를 引用하여 婚姻해도 男便을 못 본 女子는 아직 夫人이 아니라고 하여, 이러한 連坐는 不當하다고 主張했다. 그 論辯과 學識에 丞相 (丞相) 曹操 (曹操)가 感歎했다. 그래서 努肉은 丞相法曹宜寧社가 되었다가, 서조宜寧社로 轉任했다. [2]

潮位가 後漢의 諸侯國으로 세워지면서 二部랑으로 昇進했고, 祖妣가 稱帝建元(危 問題)하면서 皇門侍郞이 되었다가 外職人 第音相(濟陰相), 양군태수, 超郡太守(楚郡太守)를 歷任했다. 問題는 自己 本鄕인 초군에 사람들을 移駐시켜 忠實히 하려고 했으나, 努肉은 超軍이 荒廢하여 이주된 百姓들이 困苦하므로 票를 올려 이 둔민들을 隣近의 兩國으로 옮기도록 請했다. 問題는 이를 許諾하고, 努肉이 自己 뜻을 거슬렀으므로 修養全農敎委로 左遷시켰다. 努肉은 百姓들의 利益을 도왔고 百姓들도 努肉에게 依支했다. 나중에 안평태수(安平太守) · 광평태수(廣平太守)를 지내며 百姓들에게 恩惠를 주고 敎化에 힘썼다. [2]

靑龍 (靑龍) 2年( 234年 ), 內職人 市中(侍中)으로 前任했다. 柳韶 의 定率 未盡 問題를 두고, 法 解釋의 模糊함을 憂慮하는 上疏를 했다. 3年 在職하면서 法律 改正 問題를 놓고 자주 論辯을 펼쳤고, 命題의 稱讚을 받아 吏部尙書 (吏部尙書)로 昇進했다. [2]

命題가 努肉에게 人材 任用을 諮問한 事例가 몇 있는데, 市中이 空席이 된 이때가 첫째 機會로, 이때 努肉에게 後任 시중을 薦擧하게 했다. 努肉은 怔忡 (鄭沖)을 薦擧했으나, 命題가 받아들이지 않자 완무와 孫翁을 薦擧했고 孫翁이 任用되었다. [2] 當時 第褐炭 (諸葛誕) · 하후현 (夏侯玄) · 騰揚 (鄧?) 等 孵化한 무리가 서로 “絲葱八達”이라 하며 名聲을 드날렸다. [3] [4] 命題는 이런 風潮를 싫어했다. 마침 中書랑 問題가 생기자, 命題는 詔勅을 내려 “適任인지 아닌지 알아낼 사람은 老生(努肉) 뿐이다.”라고 해 努肉에 對한 信任을 드러냈고, 또 “名聲은 그린 떡 같아, 먹을 수 없다.”고 하여 孵化한 무리들이 쌓는 虛名에 對한 憎惡를 드러냈다. 努肉은 名聲은 平凡한 선비를 모으는 데는 有用하며, 이들의 德도 있으므로 아주 無視해서는 안 된다고 答했다. 命題는 이를 받아들여 考課法을 지었다. 慶源 (景元) 元年( 237年 ), 사도 진교 (陳矯)가 죽고 한동안 使徒職이 비어 있었다. [5] 命題는 努肉에게 薦擧를 맡겼다. 努肉은 옛날 광평태수 時節 處事 관녕 (管寧)을 待遇함이 지나치다고 批判한 적이 있었으나, [6] 관녕을 薦擧했다. 관녕이 出仕를 拒否하자, 寒氣 (韓?)와 최림 (崔林)과 上林 (常林)을 薦擧했고, 命題는 寒氣를 擇했다. 努肉은 薦擧할 적에 그 사람의 才能과 言辭보다 性品과 行實을 優先視했다. 그 意圖를 異風 (李豊)李 묻자 才能은 善을 行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럴 수 없다면 才能이 있어도 任用할 수 없다고 答했다. [2]

助幇 (曹芳)李 卽位하면서 管內後가 되었다. 祖上 (曹爽)李 執權하면서 自己 黨인 市中 河岸 (何晏)으로 努肉을 代身하고, 努肉은 上書僕射로 삼았다. 얼마 못 가 定位(廷尉)로 내몰렸고, 또 다른 祖上의 心腹 事例敎委 筆櫃 (畢軌)와 사이가 틀어져 免職됐다. 그러나 世間의 批判에 直面해, 努肉은 다시 登用되어 光祿勳으로 任命됐다. 四魔의 (司馬懿)가 政變을 일으키고 祖上을 失脚시키자, 努肉을 事例敎委로 任命하고 祖上 一黨의 治罪를 맡겼다( 考評陵의 便 ). 吏部尙書로 復職하고, 鳳擧度位를 또 받았으며 高惡政後에 封해졌다. 上書僕射로 昇進하고 管理 先發을 맡았으며 光祿大夫가 더해졌다. 庭園 元年( 254年 ), 조某 (曹?)가 卽位하면서 封爵이 올라 大量向後가 되었다. 이듬해 毌丘儉 (?丘儉) · 門欠 (文欽)의 亂을 私馬社 (司馬師)가 鎭壓하러 가면서 努肉을 남겨 後方의 일을 맡기고 시중을 더했다. 甘露 元年( 256年 ), 沙工이 되었다. 왕창 , 王冠 , 왕상 에게 辭讓했으나 거절당했고, 封爵이 또 올라 龍聖候가 되었다. 甘露 2年( 257年 )에 죽었으며, 諡號를 聖候라 했다. [2]

著述 [ 編輯 ]

家計 [ 編輯 ]

關聯 人物 [ 編輯 ]

노식

各州 [ 編輯 ]

  1. 現在의 허베이省 줘저우 市 .
  2. 진수 : 《 三國志 》 卷22 位庶弟22 환이鎭西衛盧前
  3. 위의 冊, 卷9 第하후弔電
  4. 위의 冊, 卷28 王冠救濟葛藤終戰
  5. 위와 같음, 卷3 命題機
  6. 위와 같음, 卷9 院長양국병王冠戰
  7. 歐陽脩, 송기 等: 《新唐書》 卷59 支堤49 例文3
前任
怔忡
曺偉 의 沙工
256年 10月 ~ 257年 3月
後任
왕창 (潮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