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내물 麻立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내물 麻立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내물마립간 에서 넘어옴)

내물 麻立干
奈勿麻立干
경주 내물왕릉
慶州 내물王陵
第17代 新羅 麻立干
在位 356年 4月 ~ 402年 2月 (陰曆)
前任 흘해이사금 (訖解泥師今)
後任 실성마립간 (實聖麻立干)
父王 角干 김말구(金末仇)
이름
金내물(金奈勿), 나물(那勿), 나밀(那密)
身上情報
出生日 未詳
死亡日 402年 2月 (陰曆)
父親 角干 김말구(金末仇)
母親 휴례부인(休禮夫人)
配偶者 보반夫人(保反夫人)
陵墓 내물王陵

내물마립간 (奈勿麻立干, ? ~ 402年 陰曆 2月 , 在位: 356年 陰曆 4月 ~ 402年 陰曆 2月 ) 또는 奈勿尼師今 (奈勿泥師今)은 新羅 의 17代 賃金으로, 奈勿王 (奈勿王)이라고도 한다. 다른 이름은 나물 (那勿), 나밀 (那密)이다. 내물 尼斯今 在位 時 新羅는 活潑한 征服 活動으로 洛東江 東쪽의 辰韓 地域 大部分을 차지하는 等 支配勢力이 强化되어 中央集權國家로서의 面貌를 보이기 始作했다. [1] 昔氏 家門의 흘해 尼斯今에 이어 金氏인 내물 尼斯今이 登極함으로써 以後 金氏의 王位 繼承이 確立되었다. 이는 王權이 强化되고 安定되어 餘他 集團들에 對한 統制力이 强化되었음을 의미하였다.

生涯 [ 編輯 ]

내물 麻立干에 對한 記錄은 三國史記 , 三國遺事 에 있다.

出身 [ 編輯 ]

姓은 氏이다. 三國史記에 依하면, 構圖 葛文王 의 子孫으로, 아버지는 13代 미추 尼斯今 의 동생인 角干 김말구 (金末仇)요, 어머니는 휴례부인 金氏(休禮夫人 金氏)이다. 王后는 보반夫人이다. 三國遺事는 그가 構圖 葛文王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卽位 初期 [ 編輯 ]

356年, 全代 임금인 흘해 尼斯今 에 아들이 없어 미추 尼斯今의 사위인 내물이 임금이 되었다. 내물은 임금이 된 이듬해 寡婦, 孤兒 等을 矜恤하였으며, 그 다음해에는 始祖廟에 祭祀를 지냈다.

366年부터 백제와 同盟을 맺고, 禮物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373年에 백제의 독산성株價 投降해온 일로 近肖古王 의 抗議를 받기도 하였다.

381年에 高句麗 를 통해 前震 에 使臣을 보냈는데, 이 때의 일이 陳書 에 다음과 같이 記錄되다.

秦書曰: 「符堅 建元十八年(382), 新羅國王樓寒, 遣使衛頭, 獻美女. 國在百濟東, 其人多美髮, 髮長丈餘.」.

又曰: 「符堅時, 新羅國王樓寒, 遣使衛頭朝貢, 堅曰: 『鄕言, 海東之事, 與古不同, 何也.』, ?曰: 『亦猶中國時代變革, 名號改易.』」.

眞書에, "苻堅 건원18年(382年)에 新羅國王 淚痕樓寒이 위두衛頭를 보내 美女를 바쳤다. 新羅는 백제의 東쪽에 있으며, 美人이 많고 머리카락이 長欐(藥 3m)에 達한다."라고 써있다.

다시 이르기를, "覆肩衣 때에, 新羅國王 淚痕이 위두를 보내 朝貢하였다. 膚見은 "警이 말하는 解凍海東의 일이 예전같지 않음은, 어찌된 까닭인가" 묻자 "中國과 같이 時代가 變革하고, 이름을 바꾼 것입니다"라고 答하였다."라고 써있다.

? 太平御覽 781卷 사이部 2 洞이 新羅

高句麗의 南進 [ 編輯 ]

高句麗는 帶方郡 이 位置한 領域이 힘의 空白狀態에 놓이자 이 領域을 두고 百濟와 神經戰을 벌였으나, 백제에 依해 고국원왕 李 戰死하는 等 敗戰을 거듭하여 該當 地域의 主權을 넘겨주었다. 以後 高句麗는 內部를 안정시킨 뒤 다시금 백제를 向해 고삐를 돌렸다. 백제는 高句麗의 壓迫에 負擔을 느끼고 新羅, 왜, 伽倻와 同盟을 맺고자 하였으나 新羅는 洛東江 을 두고 伽倻와 競爭하고 있던 까닭에 同盟을 맺지 않고 오히려 백제의 독산성을 醉했다. 이런 까닭에 내물 麻立干은 高句麗를 依支하고자 하였고, 392年에는 失性 을 볼모로 보내기까지 하였다. [2]

廣開土大王 은 396年에 백제를 攻擊해 58個城을 取하고 百濟 아신왕 이 老客이 되어 朝貢하겠다며 降伏하자 물러갔다. 그러나 阿莘王은 新羅와 競爭關係였던 伽倻 를 부추기고, 伽倻와 倭로 하여금 新羅를 치게 하였다. [3] 잇단 天災地變과 의 侵略으로 國力이 消盡된 新羅는 남천 街에서 크게 敗하였다.이에 내물은 平壤에 進駐해 있던 廣開土大王 에게 使臣을 보내 스스로 老客 될 것을 請하였고, 이듬해인 400年에 廣開土大王은 5萬의 兵力으로 慶州에 있던 倭를 물리친 뒤 伽倻까지 征伐하였다. [2] [4]

結局 내물은 高句麗와 水平的 關係를 맺는데 失敗하였다. 高句麗는 新羅에 兵力을 駐屯시켰고, 내물은 直接 廣開土大王에게 가 直接 老客으로써의 禮를 표하였다. [2]

죽음 [ 編輯 ]

高句麗 德에 新羅는 오랜 宿敵인 伽倻를 敗退시키고 洛東江 河口에 이르는 地域을 손에 넣을 수 있었지만 한便으로는 한동안 高句麗의 屬國으로 轉落하였다. 내물 麻立干은 402年 5月에 死亡했다. 瞻星臺 西南쪽으로 그의 陵이 照映되었다. [5] 以後 401年에 高句麗에서 돌아온 볼모인 失性 이 그 뒤를 이어 임금이 되었다.

對外 關係 [ 編輯 ]

百濟 [ 編輯 ]

366年 陰曆 3月 百濟 가 使臣을 보내와 同盟을 맺었으며 [6] , 368年 봄에는 백제 近肖古王이 名馬 두 疋을 보내왔다. [7] 373年 백제의 독산성株價 3百 名의 住民과 함께 投降해오자, 내물 麻立干은 이들을 받아들여 津한 6部 에 나누어 살게 하였다. 이에 近肖古王 의 抗議가 있었으나 내물 麻立干은 그들을 돌려보내지 않았다. [8]

高句麗 [ 編輯 ]

392年 高句麗 가 使臣을 보내왔으며, 高句麗의 勢力이 强盛해져 내물 麻立干은 伊飡 對書誌의 아들 失性 을 高句麗에 볼모로 보냈다. [9] 399年 백제와 伽倻 그리고 왜의 聯合攻擊을 받은 내물 麻立干이 高句麗 광개토왕 에게 救援을 要請함으로써 광개토왕은 5萬 軍士를 보내 伽倻와 백제, 왜의 聯合軍을 물리치는데 成功했지만 結局 新羅 는 高句麗의 保護를 받는 處地에 놓이게 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高句麗의 軍隊 가 新羅 領土 안에 머물기도 하였다. 周邊國의 잇단 侵攻으로 精神的 衝擊을 받은 내물 麻立干이 몸져눕자 401年 高句麗는 볼모로 와있던 失性을 돌려보내 王位를 잇게 하였다. 新羅는 高句麗의 干涉을 받는 한便, 보다 앞선 高句麗의 文化와 高句麗를 통한 中國 북조 (北朝)의 文化를 導入하며 차차 發展을 하게 되었다. [10]

왜(倭) [ 編輯 ]

364年 陰曆 4月 가 크게 軍士를 일으켜 쳐들어오자, 吐含山 아래에 허수아비 數千 氣를 세워 新羅 軍士로 僞裝하고 들녘에 傭兵을 埋伏시켜놓았다. 吐含山에 新羅 軍士가 많은 것으로 믿은 倭軍은 곧바로 直進하여 들녘으로 向했으나 新羅 伏兵의 뜻하지 않은 攻擊을 받고 大敗하여 달아났다. [11] 393年 陰曆 5月 倭人이 다시 쳐들어와 金星 을 包圍하고 닷새가 되도록 包圍를 풀지 않았다. 軍士들은 麻立干에게 나가 싸우기를 請하였지만, 麻立干은 이를 許諾하지 않고 倭軍의 食糧이 떨어질 때까지 籠城하여, 마침내 倭軍이 退却하자 2百 騎兵으로 退路를 막고 步兵 1千을 내보내 挾攻함으로써 크게 勝利를 거두었다. [12]

前震(前秦) [ 編輯 ]

381年 , 위두(衛頭)를 中國의 (351年~394年)에 보내 土産物을 바쳤다. 眞意 皇帝 苻堅 (在位 357年~ 385年)李 묻기를 "해동의 事情을 말하매 言語가 예전과 다르니 어찌 된 일인가?" 하는데 위두가 答하기를 "이는 中國과 同一한 現象이라, 時代가 바뀌며 말과 이름이 變하니 오늘의 말이 어찌 옛과 같겠는가?" 하였다. [13]

家計 [ 編輯 ]

  • 할아버지 : 構圖 葛文王
  • 아버지 : 角干 김말구 (金末仇) 葛文王
  • 어머니 : 휴례부인 金氏(休禮夫人 金氏)
    • 王后 : 보반夫人 金氏(保反夫人 金氏)

家計도 [ 編輯 ]

構圖 葛文王
仇道 葛文王
미추 尼斯今
味鄒 泥師今
말구
末仇
휴례부인 金氏
休禮夫人 金氏
보반夫人 金氏
保反夫人 金氏
나물 麻立干
奈勿 麻立干
눌지 麻立干
訥祗 麻立干
復戶
卜好
미사흔
未斯欣

關聯 文化財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新羅의 建國과 發展〔槪說〕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 圖書出版 犯한. 2004. 4世紀 末葉인 17代 奈勿王(奈勿王) 때부터 支配勢力이 强化되어 古代 國家로서의 基礎가 잡히기 始作하였다.  
  2. 金賢淑 (2016年 11月 1日). 〈部體制 展開와 高句麗〉. 《新羅史大系》. 02 新羅의 建國과 成長. 慶尙北道靑.  
  3. “生存 위해 倭를 利用했던 伽倻 小國들” . 2024年 4月 17日에 確認함 .  
  4. 廣開土大王陵碑
  5. 김부식 (1145). 〈 本紀 卷3 내물 尼斯今 〉. 《 三國史記 》. 四十七年 春二月 王薨(47年 봄 2月에 王이 죽었다. )  
  6. 김부식 (1145). 〈 本紀 卷3 내물 尼斯今 〉. 《 三國史記 》. 十一年 春三月 百濟人來聘(11年 봄 3月에 百濟 人이 와서 豫防하였다. )  
  7. 김부식 (1145). 〈 本紀 卷3 내물 尼斯今 〉. 《 三國史記 》. 十三年 春 百濟遣使 進良馬二匹(13年 봄에 百濟 가 使臣을 보내 좋은 말 두 疋을 바쳤다. )  
  8. 김부식 (1145). 〈 本紀 卷3 내물 尼斯今 〉. 《 三國史記 》. 十八年 百濟禿山城主 率人三百來投 王納之 分居六部 百濟王移書曰 兩國和好 約爲兄弟 今大王納我逃民 甚乖和親之意 非所望於大王也 請還之 答曰 民者無常心 故思則來 ?則去 固其所也 大王不患民之不安 而責寡人 何其甚乎 百濟聞之 不復言 夏五月 京都雨魚(18年 百濟 독산성(禿山城) 城主가 300名을 이끌고 와서 降伏하였으므로 王이 그들을 받아들여 6部에 나누어 살게 하니, 百濟 왕이 글을 보내 말하였다. 두 나라가 和親을 맺어 兄弟가 되기를 約束했었는데, 只今 大王께서 우리의 逃亡한 百姓을 받아들이니 和親한 뜻에 크게 어긋납니다. 이는 大王이 바라는 바가 아닐 것입니다. 바라건대 그들을 돌려 보내십시오. [왕이] 對答하여 말하였다. 百姓은 일정한 마음이 없다. 그러므로 생각나면 오고 싫어지면 가버리는 것은 眞實로 그렇기 때문이다. 大王께서는 百姓이 便치 않음은 걱정하지 않고 도리어 過人을 나무라는 것이 어찌 이렇게 甚한가? 百濟 에서 그 말을 듣고 다시는 말하지 않았다. )  
  9. 김부식 (1145). 〈 本紀 卷3 내물 尼斯今 〉. 《 三國史記 》. 三十七年 春正月 高句麗遣使 王以高句麗?盛 送伊?大西知子實聖爲質(37年 봄 正月에 高句麗 에서 使臣을 보내왔다. 王은 高句麗 가 强盛하였으므로 伊飡 대서지(大西知)의 아들 失性 (實聖)을 보내 볼모로 삼았다. )  
  10. 〈[[:s: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韓國史/古代社會의 發展/三國의 成立과 發展/ 新羅 의 發展# 新羅 의 建國과 發展〔槪說〕|新羅의 建國과 發展〔槪說〕]]〉.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 圖書出版 犯한. 2004. 第2期 超人 奈勿王 때는 왜(倭)의 侵入을 자주 當하여 399年 ( 奈勿王 44年)에는 광개토왕 軍事 를 보내어 新羅 에 侵入한 倭軍 을 몰아내는 等 高句麗 의 保護를 많이 받았고 이 동안에 보다 앞선 高句麗 의 文化와 또한 高句麗 를 통하여 中國 북조 (北朝)의 文化를 導入하면서 次次 發展을 하게 되었다.  
  11. 김부식 (1145). 〈 本紀 卷3 내물 尼斯今 〉. 《 三國史記 》. 九年 夏四月 倭兵大至 王聞之 恐不可敵 造草偶人數千 衣衣持兵 列立吐含山下 伏勇士一千於斧峴東原 倭人恃衆直進 伏發擊其不意 倭人大敗走 追擊殺之幾盡 (9年 여름 4月에 왜의 軍士가 大擧 侵入했다는 소리를 듣고 王이 두려워 可히 맞서지 못하고, 풀로 허수아비 數千 個를 만들어 兵士처럼 옷을 입히고 吐含山 아래 줄을 세워놓는 同時에 傭兵 1千을 부현(斧峴)의 東쪽 들판에 숨겨놓았다. 吐含山에 新羅軍士가 많다고 믿은 倭人은 곧바로 들판으로 直進해 왔다. 숨어 있던 兵士들의 뜻하지 않은 攻擊을 받은 倭兵들은 大敗하여 逃走하였고 이들을 追擊하여 거의 모든 倭軍들을 죽였다.)  
  12. 김부식 (1145). 〈 本紀 卷3 내물 尼斯今 〉. 《 三國史記 》. 三十八年 夏五月 倭人來圍金城 五日不解 將士皆請出戰 王曰今賊棄舟深入 在於死地 鋒不可當 乃閉城門 賊無功而退 王先遣勇騎二百 遮其歸路 又遣步卒一千 追於獨山 夾擊大敗之 殺獲甚衆(38年 여름 5月에 倭人이 와서 金星(金城)을 에워싸고 5日 동안 풀지 않았다. 長壽와 兵士들이 모두 나가 싸우기를 請하였으나, 王이 '只今 敵들은 배를 버리고 [陸地] 깊숙이 들어와 사지(死地)에 있으니 그 칼날을 當할 수 없다'고 말하고 城門을 닫았다. 敵이 아무 成果 없이 물러가자 王이 勇猛한 騎兵 200名을 먼저 보내 돌아가는 길을 막고, 步兵 1千 名을 보내 독산(獨山)까지 追擊하여 兩쪽에서 攻擊하여 크게 쳐부수었는데, 죽이거나 사로잡은 사람이 매우 많았다.)  
  13. 김부식 (1145). 〈 本紀 卷3 내물 尼斯今 〉. 《 三國史記 》. 二十六年 ... 遣衛頭入?秦 貢方物 ?堅問衛頭曰 卿言海東之事與古不同 何耶 答曰 亦猶中國 時代變革名號改易 今焉得同(26年... 위두(衛頭)를 不氏의 陳(秦)나라에 보내 土産物을 바쳤다. 苻堅(?堅)李 위두에게 물었다. 警(卿)이 말하는 解凍(海東)의 일이 옛날과 같지 않으니 어찌된 것인가? [위두가] 對答하였다. 亦是 中國과 마찬가지로 時代가 變革되고 이름이 바뀌었으니, 只今 어찌 같을 수 있겠습니까?)  
前 代
흘해 尼斯今
第17代 新羅 國王
356年 ~ 402年
後 臺
失性 麻立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