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남평 文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남평 文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남평 文氏
南平文氏
남평 文氏의 종문
나라 韓國
貫鄕 全羅南道 羅州市 남평읍
時調 문다성(文多省)
中始祖 文益 (文翼)
集姓村 全羅南道 羅州市 · 和順郡 · 長興郡 · 靈巖郡 · 寶城郡 · 潭陽郡
全羅北道 南原市 · 任實郡 · 淳昌郡 · 茂朱郡 · 鎭安郡 · 長水郡
咸鏡南道 함흥시
大邱廣域市 達城郡
主要 人物 문공인 , 문공유 , 문극겸 , 문유필 , 문달한, 문익점 , 門加虐 , 문명기 , 문창범 , 문윤국 , 문일평 , 문창모 , 문익환 , 문태준 , 문정식 , 問病하 , 文喜相 , 문용린 , 문국현 , 문정인 , 문규영 , 文在寅 , 문성근 , 문학진 , 문성혁 , 문재도 , 문병호 , 문무일 , 문형배 , 文勝煜 , 문선명 , 문장규
人口(2015年) 445,946名
備考 남평 文氏 大宗會

남평 文氏 (南平文氏)는 全羅南道 羅州市 남평읍 을 本館으로 하는 韓國의 姓氏 이다.

歷史 [ 編輯 ]

남평 文氏의 始祖 문다성 (文多省)은 高麗 三重大匡壁上功臣(三重大匡壁上功臣) 남平百(南平伯)에 봉해지고 茂盛(武成)의 諡號를 받았다고 한다.

문다성은 갓난아기 때 百濟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의 長子못이라는 蓮못가의 높은 바위 위에서 發見되었다는 傳說이 있으며, 全羅南道 羅州市 남평읍 의 長子못가에 문암(文巖)이라는 傳說 속의 바위가 남아 있다. [1]

傳說에 따르면 472年 ( 百濟 개로왕 18年)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 東쪽에 長子못이라는 큰 못이 있었고 그 못가에 千길 높이의 바위가 솟아 있었다. 하루는 君主(首領)가 그 바위 아래서 놀고 있었는데 갑자기 바위에 五色구름이 감돌면서 갓난아이의 울음소리가 殷殷하게 들려왔다. 神奇하게 여긴 君主가 사다리를 가져오게 하여 바위 위에 올라가 보니 石函이 놓여 있었고, 그 속에는 皮膚가 玉屑같이 맑고 容貌가 아름다운 갓난아이가 들어 있어 奇異하게 생각하며 君主가 거두어 길렀다. 나이 5歲에 文士에 스스로 通達하고 武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총명하여 事物의 理致를 스스로 깨닫는지라 性을 門으로 하고 이름을 多聲이라 稱했다고 한다. 그 後 三重大匡壁上功臣(三重大匡壁上功臣)으로 남平百(南平伯)에 봉해지고 98歲까지 살았다고 하여 後孫들이 남평을 本館으로 하게 되었다.

大宗會에서는 472年 ( 百濟 개로왕 18年) 誕生은 高麗 開國功臣이라는 族譜 記錄과 맞지 않아 後三國時代 로 訂正하였다.

문다성의 아들 문탁(文倬) 以後의 世界(世系)가 不分明하여 1731年 長興 월천書院에서 發刊한 남평 文氏 最初의 族譜인 辛亥洑에서 文益 (文翼)을 氣勢兆로 하였고 以後 最初의 合意된 大同譜에서도 中始祖인 文益을 1歲로 하여 世界를 整理하였으며 最新의 帶同報道 이를 따르고 있다.

中始祖 文益 (文翼)은 1098年(肅宗 3) 左贊善大夫·給事中으로 任命되었고, 1102年 서북면兵馬使(西北面兵馬使)를 歷任하였으며, 散騎常侍(散騎常侍)에 이르렀다. 시호(諡號)는 경절(敬節)이다.

文益 의 아들인 문공인 (文公仁)과 문공유 (文公裕)가 文科에 及第하여 判尙書兵部事(判尙書兵部事)와 兵部尙書(兵部尙書)에 이르렀고, [2] 孫子 문극겸 (文克謙)은 卷判尙書吏部事(權判尙書吏部事)에 이르렀다. [3]

남평 文氏는 朝鮮時代 文科 及第者 38名을 輩出하였다.

本館 [ 編輯 ]

남평(南平)은 全羅南道 羅州市 (羅州市) 남평읍 一帶의 地名이다. 百濟 의 무진群(武珍郡)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이었는데, 百濟 滅亡 뒤에는 唐나라 熊津都督府 의 대방주(帶方州)에 屬했다가 南北國 時代 때 武珍州(武珍州)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이 되어 地方 軍事 組織인 10梃 中 하나인 未多夫里停(未多夫里停)을 두었다. 757年(新羅 景德王 16年) 茂朱(武州) 현웅縣(玄雄縣)으로 고쳤다. 940年(高麗 太祖 23年) 羅州(羅州) 남평현(南平縣)李 되었다. 983年(高麗 成宗 2年) 十二牧(十二牧)李 設置될 때 나注目(羅州牧) 남평현(南平縣)李 되었다. 1390年(高麗 恭讓王 2年) 州縣에서 格下되어 和順縣에 屬縣으로 編入되었다. 1394年(朝鮮 太祖 3年) 다시 州縣으로 昇格시켜 監務를 두었고, 1413年(朝鮮 太宗 13年) 監務가 縣監(縣監)으로 바뀌었다. 1895年(朝鮮 高宗 32年) 나主婦 남평군으로 昇格되었다. 1896年 全羅南道 남평군이 되었다. 1914年 羅州郡에 倂合되어 남평면이 되었다가 1995年 3月 羅州市 남평읍 으로 昇格되었다.

1993年 誕降地人 全羅南道 羅州市 남평면 풍림리의 門바위 옆에 설단하고 每年 3月 20日 段制를 모시며 長淵書院에 配享하여 9月 中丁日에 儒林에서 祭享을 올리고 있다.

分派 [ 編輯 ]

1世 文益 (文翼), 2歲 문공유 (文公裕), 3歲 문극겸 (文克謙)으로 이어오다가 4世孫부터 갈라져 11世孫까지 10派로 나뉜다.

  • 4歲 문후식(文侯軾)
    • 5歲 문정(文挺) [4]
      • 6歲 문득준
        • 7歲 門隙檢(文克儉)
          • 8歲 문윤角(文允恪)
            • 9歲 문숙선(文叔宣)
              • 10歲 文益兼(文益謙) → 衝惠空派(忠惠公派)
              • 10歲 문익점 (文益漸) → 單性 文氏 (丹城文氏)
                • 11歲 문중용(文中庸) → 獻納公派(獻納公派)
                • 11歲 門中性(文中誠) → 淳質公派(純質公派)
                • 11歲 門中실(文中實) → 議案公派(毅安公派)
                • 11歲 문중진(文中晉) → 시중공派(侍中公派)
                • 11歲 문중계(文中啓) → 成熟公派(成淑公派)
      • 6歲 문득걸
        • 7歲 문원길(文原吉)
          • 8歲 문재도(文載道)
    • 5歲 門착 → 南齊公派(南濟公派)
  • 4歲 문유필 (文惟弼) → 順平府院君派
    • 5歲 문정(文?) [4]
      • 6歲 門윤실(文允實)
        • 7歲 文句(文球)
          • 8歲 聞慶(文璟)
            • 9歲 문달한 (文達漢) → 衝匿空派(忠翊公派)
      • 6歲 문인위 (文仁渭)
        • 7歲 門綠天(文祿千)
          • 8歲 文瑾(文瑾) → 判圖判書公派

行列 [ 編輯 ]

  • 帶同行列
32歲 33歲 34歲 35歲 36歲 37歲 38歲 39歲 40歲 41歲 42歲 43歲 44歲 45歲
口號(鎬)
口縣(鉉)
口흠(欽)
第(濟)
勝(承)
洪(鴻)
口式(植)
口某(模)
口上(相)
喜(熙)
兄(炯)
病(炳)
口註(周)
口기(基)
口菌(均)
種(鍾)
龍(鎔)
桐(?)
口英(泳)
口修(洙)
口흡(洽)
桐(東)
學(學)
圜(桓)
口노(魯)
口섭(燮)
口勳(勳)
再(在)
時(時)
규(圭)
口선(銑)
口일(鎰)
口碩(錫)
擇(澤)
태(泰)
해(海)
이(以)
口票(杓)
口斤(根)
口목(穆)
席(錫)
선(銑)
時(諡)

人物 [ 編輯 ]

朝鮮 王室과의 姻戚關係 [ 編輯 ]

文化財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