禁衛營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禁衛營 朝鮮 後期 의 中央軍인 五軍營 의 하나로 朝鮮 國王 의 護衛와 漢城府 의 防禦를 擔當하였다. 1682年( 肅宗 ) 8年 五軍營 中 가장 늦게 設置되었고 1881年( 高宗 18年) 새로 設置된 壯禦營 으로 吸收 統合되었다가 1895年(高宗 32年) 軍制 變化에 따라 五軍營의 다른 軍營들과 함께 革罷되었다. [1]

背景 [ 編輯 ]

1682年( 肅宗 8年) 五軍營 가운데 가장 늦게 設置되었다. [1] 肅宗 當時 朝鮮의 中央軍 運營의 가장 큰 問題는 孝宗의 北伐論 以後 肥大해진 規模에 비해 財政이 턱 없이 모자라다는 點이었다. [2] 五軍營의 代表的 軍營인 訓鍊都監 은 長期的으로 服務하는 常備軍인 長番軍(長番軍)으로 運營되어 持續的인 給料 支給이 必要하였고 [3] 이를 爲해 三手米 等의 別途 財源을 調達하였으나 如前히 財政 壓迫이 컸다. 이에 따라 訓鍊都監을 다시 番을 돌아가며 勤務하는 番上群(番上軍)으로 運營하자는 論議가 있었으나 中央 常備軍의 維持 名分 亦是 컸기 때문에 結局 訓鍊都監의 人員 中 一部와 顯宗 時期 設置된 정초영 을 統合하여 番上군으로 運營하기로 한 것이 禁衛營이다. [4]

當時 領議政 김수항 이 論議를 始作하고 訓鍊大將을 겸하고 있던 兵曹判書 김석주 가 안을 마련한 軍制變通節目 (軍制變通節目)으로 訓鍊都監의 騎兵隊人 訓鍊別隊와 정초영의 軍士인 精抄軍을 合하여 近衛靈을 設置하였다. 이로서 많게는 7千餘 名이었던 訓鍊都監의 庭園은 5千 名으로 固定되었고, 禁衛營은 番을 서는 正軍(正軍) 14,098 名과 이들의 旅費 等을 充當하기 위한 보인 (保人) 78,000 名의 規模로 設立되었다. [5] 禁衛營 設立 主張에는 當時 老論 의 核心 人物이었던 金錫胄의 政治的 理由도 있었다. 訓鍊都監을 비롯한 中央 軍營은 모두 兵曹와 分離되어 議政府 의 三政丞 가운데 하나가 都提調를 맡는 國王 直轄君의 性格을 갖고 있었지만 西人의 分化로 老論과 少論 의 對立이 한창이었던 當時 金錫胄는 自身의 麾下人 兵曹가 管理하는 中央軍을 强力하게 主張하였다. [4]

禁衛營의 前身이라 할 수 있는 정초영이 兵曹에 所屬된 軍營이었다는 名分으로 새로 新設된 禁衛營은 兵曹 隸下 部隊로 設置되었다. 1754年( 英祖 30年) 따로 禁衛大將을 임명하여 兵曹와 分離된 獨立 中央 軍營이 되었다. [6]

役割 [ 編輯 ]

高宗代에 編纂된 《 六典條例 》(六典條例)에서 禁衛營의 役割은 都城과 宮城의 守備, 宮城의 파수, 都城과 宮城의 巡邏, 軍浦팔處(軍鋪八處)의 護衛, 宮城 周圍에 對한 斥候와 伏兵 等 主로 近衛隊의 役割과 함께 都城 周邊의 소나무 에 對한 不法 伐採를 監視하는 金松(禁松), 都城 內의 河川을 整備하는 濬川(濬川), 虎狼이와 같은 猛獸를 잡는 착號(捉虎) 等의 雜役度 하였다. [4] 五軍營 가운데 摠戎廳 守禦廳 은 各各 北漢山城 南漢山城 을 據點으로 하는 防禦軍이었고 [7] 訓鍊都監과 御營廳 및 禁衛營은 賃金 의 護衛를 함께 擔當하는 近衛隊의 役割도 遂行하여 따로 "三軍營"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8] 三軍營은 都城의 城郭과 門樓를 셋으로 나누어 지켰고 宮闕 亦是 各自 擔當하는 地域을 셋으로 나누었다. 禁衛營은 西大門인 敦義門 부터 南大門인 崇禮門 을 지나 濫訴文人 光熙門 까지를 맡았다. [4]

組織 [ 編輯 ]

兵力 [ 編輯 ]

朝鮮 後期 朝鮮軍 은 6歲 以上 60歲 以下의 男性에 對한 徵集을 통해 이루어진 精兵을 主軸으로 하였다. [9] 이들은 여덟 個로 나뉜 番이 번갈아 가며 召集되어 한 番 召集되면 2 個月을 勤務하는 8番 2삭上體(八番二朔相遞)로 運營되었다. [10] 이러한 兵士를 番上群(番上軍)이라 한다. [7] 이와 달리 給料를 받으며 長期間 服務하는 職業 軍人은 長番軍(長番軍)으로 불렀다. [3] 禁衛營은 訓鍊都監 等의 長番軍을 줄여 財政 壓迫을 避하는 것이 設置의 주된 目的 가운데 하나였으므로 全國에서 番을 서기 위해 上京하는 番上군들로 運營되었다.

禁衛營의 編制는 設置 初期 몇 次例의 變動 以後 1704年 軍制變通(軍制變通) 때 御營廳과 規模를 같이하여 1嶺, 5部, 25社, 125秒의 鄕軍 番床 宿衛體制로 整備되었다. [11] 朝鮮 時代 軍事 編制는 最上位 集團인 영(營) 밑으로 사(司) - 初(哨) - 基(旗) - 臺(隊) 荀의 隸下 單位가 있었고 대 밑으로는 吳(伍)가 編制되었다. [12] 各 編制 單位의 人員은 兵士 다섯 名이 1 오, 5 오가 1 對 巡으로 늘어나 初의 境遇 125名, 派銃이 管轄하는 社의 境遇 最大 編制는 625 名이 된다. 禁衛營은 5個의 部로 構成된 中央 軍營으로 125秒가 編制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에 屬한 精兵의 最大 編制 人員은 15,625 名이고, 이와 別途로 마병인 경기사(京騎士) 150 名, 主要 要衝地에 配置한 火砲部隊인 別破陣(別破陣) 160 名, 武器 等의 製造를 擔當한 工場牙兵(工匠牙兵) 50人, 宮闕과 都城의 門을 지키는 守門軍(守門軍) 12 名, 不法 伐採를 團束하는 禁松軍(禁松軍) 15 名, 軍兵의 訓鍊을 擔當하는 敎師 10 名, 軍需 物資를 運送하는 置重卜馬軍(輜重卜馬軍) 17 名, 將校들의 神부름을 받던 少年兵人 兒旗手(兒旗手) 48 名, 兵力 補充用 豫備軍인 待年軍(待年軍) 470 名, 軍役 代身 軍布를 納付하는 守鋪軍(守鋪軍)인 해西向記事(海西鄕騎士) 700 名, 各種 雜役에 動員된 標下軍(標下軍) 56 名 等이 더해져 [13] 大略 17,000 餘 名이 編制되어 있었다. [4]

125秒는 各各 25個 秒씩 나누어 5 秒씩 번상하여 한 番에 2個月을 勤務하였다. [13] 모든 草家 最大 編制라고 假定하면 常時 兵力은 625 名 假量이 된다.

編制 [ 編輯 ]

初期의 編制는 1嶺-5部-20社-105秒(哨)로 構成되었으나 1704年 軍制를 改革할 때 1嶺-5部-25社-125秒로 編制되어 規模가 增加하였다. 禁衛營의 官職 體系는 아래와 같다.

  • 情1品 都提調 (都提調) 1名 : 다른 官員이 兼職
  • 情2品 製造(提調) 1名 : 兵曹判書 가 兼職
  • 種2品 大將(大將) 1名 : 登壇 長身(將臣)
  • 種2品 中軍 (中軍) 1名 : 禁衛營 아장(亞將)
  • 情3品 別莊(別將) 1名
  • 情3品 千摠(千摠) 4名
  • 情3品 技師長(騎士將) 3名
  • 種4品 把摠 (把摠) 5名
  • 種3品 外方兼把摠(外方兼把摠) 12名
  • 種6品 從事官(從事官) 2名 : 文官 1名, 無關 1名
  • 種9品 哨官(哨官) 41名
  • 其他 軍官(軍官) 5名, 別武士(別武士) 30名, 記事(騎士) 150名, 別騎衛(別騎衛) 32名, 標下軍(標下軍) 1,177名, 別破陣(別破陣) 160名, 보군 (步軍) 等

廳舍 [ 編輯 ]

  • 本營(本營) : 禁衛營 廳舍는 現在 서울特別市 鍾路區 운니동 98番地에 있었다. 昌德宮 金虎門 밖에 있던 이 廳舍를 신영(新營)이라고도 불렀다. 362칸[間] 規模이며, 日帝强占期 때에 一種의 職業 訓鍊원이던 恩師授産場 (恩賜授産場), 舊皇室 아악否認 李王職雅樂部 (李王職雅樂部) 建物로 活用되었다.
  • 남영(南營) : 昌德宮 個陽文(開陽門) 隣近에 있었다. 12칸 規模.
  • 西營(西營) : 昌德宮 景秋門(景秋門) 西쪽 건너에 있었다. 11칸 半 規模.
  • 南別營 (南別營) : 南部 落選房(樂善坊) 묵동(墨洞)에 있었다. 139칸 規模.
  • 男唱 (南倉) : 南別營 南쪽에 있었다. 101칸 規模.
  • 下南倉(下南倉) : 南別營 北쪽에 있었다. 104칸 規模.
  • 火藥庫(火藥庫) : 男唱 西쪽 건너에 있었다. 17칸 規模.
  • 직방(直房) : 慶熙宮 隣近에 있었다. 8칸 規模.

各州 [ 編輯 ]

  1. 禁衛營 , 實錄위키
  2. 유현재, 〈 朝鮮後期 禁衛營의 財政運營과 그 性格 〉, 《歷史와 現實》, 2016年, 通卷 第102號, pp. 115-150 (36 pages)
  3. 訓鍊都監 , 韓國史年代記
  4. 禁衛營 , 韓國史年代記, 우리歷史넷
  5. 禁衛營 , 敎科書 用語解說, 우리歷史넷
  6. 禁衛營 , 디지털動作文化大展
  7. 五軍營 , 韓國史年代記
  8. 漢陽을 지켜라_삼군영 所屬 한 軍人 집안의 孤軍奮鬪機 , 서울歷史博物館
  9. 누가 老人인가 , 《韓國文化史》, 우리歷史넷
  10. 淨甁 , 實錄위키
  11. 禁衛營 , 韓國民族文化大百科社
  12. 軍制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禁衛營 , 韓國民族文化大百科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