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 王 大祝日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온 누리의 賃金이신 우리 主 예수 그리스도王 大祝日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제임스 티소 의 그림 《 빌라도 앞에 선 그리스도 》(1894年) - 빌라도 가 “當身이 임금이오?” 하고 묻자, 예수 는 “내가 임금이라고 네가 말하고 있다.” 하고 對答하였다. [1]
公式이름 온 누리의 賃金이신 우리 主 예수 그리스도王 大祝日
場所 全 世界 基督敎 를 믿는 國家들
形態 미사
重要度 敎會曆 年中 時期 의 마지막 週日
날짜 年中 第33週日 또는 第34週日
( 11月 20日 ~ 11月 26日 사이의 週日 )
頻度 每年
關聯 待臨節 , 크리스마스

온 누리의 賃金이신 우리 主 예수 그리스도王 大祝日 ( 라틴語 : Sollemnitas Domini Nostri Iesu Christi Universorum Regis )은 1925年 로마 가톨릭교회 敎皇 비오 11歲 가 ‘ 그리스도 王 ’의 意味를 성대히 기리기 위해 制定한 基督敎 의 大祝日이다. 2017年까지는 그리스도王 大祝日 이라고 불렸다. 本來 10月의 마지막 週日에 記念하였으나, 1970年 前例改革에 따른 典禮曆 改正을 통해 西方 敎會曆 으로 年中 時期의 마지막 週日이며 典禮的으로 待臨 第1週日 直前 週日(年中 第33週日 또는 第34週日)로 옮겨졌다. 날짜는 11月 20日 ~ 11月 26日 사이의 週日 이다.

2018年 11月 25日 부터 天主敎 에서는 온 누리의 賃金이신 우리 主 예수 그리스도王 大祝日 이라고 부르며, 聖公會 에서는 年中 마지막 週日인 王이신 그리스도 週日 , 루터回 에서는 王이신 그리스도의 날 , 監理敎會 에서는 王國週日 로 지킨다.

起源과 歷史 [ 編輯 ]

1925年 敎皇 비오 11歲 는 當時 世界에서 날로 擴散되어가는 極端的 民族主義 와 世俗主義에 對抗하는 한便 [2] 難關에 빠진 로마 問題 의 早速한 解決을 祈願하기 위한 措置로 敎皇 回勅 첫째의 것 》(Quas Primas)을 통해 온 世上의 王인 예수 그리스도 의 榮光을 성대히 기리는 祝日을 制定하였다. 그는 祝日의 名稱을 우리 主 예수 그리스도 王 (D. N. Jesu Christi Regis)으로 명명하고, 11月 1日 모든 成人 大祝日 前 駐日이자 10月의 마지막 週日에 記念하라고 指示하였다. [3] 그 理由는 11月은 慰靈聖月이기 때문에 煉獄 敎會를 包含한 天上 敎會를 記念하는 달이므로, 그리스도가 王으로서 地上 敎會를 다스린 마지막 달이 10月이었기 때문에, 10月의 마지막 週日로 定해 記念하도록 한 것이다. 1960年 敎皇 요한 23歲 는 記念 날짜는 그대로 두되, 祝日 等級을 改編하여 1等級 祝日로 分類하였다.

1969年 敎皇 바오로 6歲 는 典禮曆과 祝日表에 關한 一般 指針을 다룬 自意敎書 파스카 神秘 》(Mysterii Paschalis)를 내면서 온 世上의 우리 主 예수 그리스도 王 (Domini Nostri Iesu Christi universorum Regis)으로 새로 명명하였다. 그는 또한 記念 날짜를 典禮曆으로 年中 時期의 마지막 週日이자 待臨 第1週日 前 週日로 옮겨 記念하게 하였다. 그 理由는 그리스도는 天上 敎會와 地上 敎會의 區分 없이 모두를 다스리는 王이며, 敎會 典禮曆으로 새해가 始作되는 待臨 第1週日이 되기 前 駐日( 11月 20日 ~ 11月 26日 사이의 週日)에 모든 것을 整理한다는 意味로 한 것이다. [4] 더불어 그는 祝日 中 最高 等級인 大祝日로 指定하였다. [5]

韓國 가톨릭교회는 特別히 1985年부터 해마다 年中 時期의 마지막 週間을 聖書 週間 으로 定하여, 信者들이 日常生活 中에 聖經 을 더욱 가까이하며 자주 읽고 默想하기를 勸奬하고 있다. 前例 色相은 黃金色 또는 하얀色으로서, 祭儀 等의 前例服 等도 여기에 맞춘 色相으로 着用한다.

各州 [ 編輯 ]

  1. 요한 18,33~37 參照.
  2. Churchyear.net , a Catholic blog
  3. Encyclical Quas Primas , 28
  4.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p. 63
  5. motu proprio Mysterii Paschal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