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固有판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固有판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固有판
結合組織 의 얇은 層인 固有版은 粘膜 의 一部로, 그림은 의 粘膜이다.
情報
上位 構造 粘膜
識別子
라틴語 lamina propria mucosæ
英語 lamina propria
FMA 62517

固有판 (Lamina propria, 固有板)은 結合組織 으로 이루어진 얇은 層으로, 身體의 다양한 部位를 둘러싸고 있는 粘膜 의 一部이다. 粘膜은 呼吸系 , 僞裝關係 , 泌尿生殖界 等에 存在한다.

固有版은 上皮 아래에 位置한 性긴結合組織 의 얇은 層이다. 上皮, 基底膜 , 高유판이 粘膜을 構成한다. 라틴語 이름(lamina propria mucosæ)에서 알 수 있듯 固有版은 粘膜의 特徵的인 構成 要素이다. [1]

固有版의 結合組織은 성기며 細胞가 많다. 이 細胞들은 種類가 다양하여 纖維芽細胞 , 림프球 , 形質細胞 , 大食細胞 , 好酸球 , 肥滿細胞 等이 固有판을 이루고 있다. [2] 固有版은 上皮를 支持하며 營養을 供給하고, 基底의 組織과 上皮를 結合시키는 役割을 한다. 乳頭 와 같이 不規則하게 配列된 結合組織 表面은 固有版과 上皮 間의 接觸 面積을 크게 한다. [3]

救助 [ 編輯 ]

固有版은 性긴結合組織 으로, 粘膜밑層 基底의 結合組織처럼 纖維性은 아니다. [4] 固有版의 結合組織과 救助는 壓縮이 잘 되고 彈性이 있는데, 이 때문에 膀胱 같이 늘어날 必要가 있는 機關들에서 發見될 수 있다. [5] 固有版의 콜라겐 이 이 機能에 重要한 役割을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假令 膀胱의 固有판에 있는 콜라겐은 複雜한 나선 構造로 인해 膀胱의 構造 維持, 引張力, 歎聲 等의 形成에 寄與한다. [6] 또한 近纖維芽細胞 가 여러 機關의 固有판에 存在한다는 主張이 있다. 筋纖維芽細胞는 平滑筋 細胞와 纖維芽細胞의 特徵을 모두 가진다. [7]

血管 , 림프관 , 彈性纖維, 粘膜筋 에서 온 平滑筋 다발 等이 固有판에 豐富하게 分布한다. 또한 들神經纖維 날神經纖維 末端이 發見될 수도 있다. [6] 림프節 이나 림프毛細管 을 包含한 림프組織, 免疫界 의 細胞도 包含되어 있을 수 있다. 絨털 等의 固有版에는 平滑筋 纖維가 存在하는 境遇도 있다. 脂肪細胞는 存在하지 않는다. [4] 림프관은 粘膜을 貫通하여 上皮의 基底膜 아래에 놓이며, 이곳에서 固有版의 림프를 輩出한다. [8] 相避는 細胞가 죽고 再生되는 速度가 빨라 많은 細胞自滅小體가 남게 된다. 남은 細胞自滅小體는 固有版으로 들어가며 그中 大多數는 固有版의 大食細胞 안에 存在한다. [9]

機能 [ 編輯 ]

免疫界에서의 役割 [ 編輯 ]

相避는 外部에서 오는 刺戟에 露出되며 損傷되기도 쉽기 때문에 固有版은 여러 免疫 細胞를 가지고 있다. [4] 창자에서는 창자의 正常細菌總 에 對해 免疫界가 寬容 을 가지면서도 病原菌한테는 反應해야 한다. 이런 均衡이 깨지면 炎症性 腸疾患 과 같은 炎症 疾患이 發生한다. [10] 大食細胞와 림프球가 많은 固有版은 免疫 反應 이 일어나는 主된 場所 役割을 한다. 固有版은 (特히 胃腸關係) 外部의 病原性 微生物들로부터 內部의 組織을 保護하는 防壁을 形成하는 데에 寄與한다. [11]

臨床的 重要性 [ 編輯 ]

上皮 의 進行은 種種 림프節 轉移에 依存한다. [12] 固有版은 店幕밑層을 保護하는 防壁 中 하나이다. (特히 胃癌 에서) 림프관으로의 浸透는 림프節 轉移 의 獨立的인 豫測者이기 때문에, 固有版은 上皮癌이 侵犯이 重要한 部位이다. [13] 腫瘍이 基底膜을 뚫고 固有판에 다다르면 림프관에 露出되게 되므로 轉移와 癌의 進行 速度가 빨라질 수 있다. 店幕밑層까지 더 깊이 腫瘍이 侵犯하게 되면 림프관으로의 露出은 더욱 增加한다. [8]

長期間의 炎症 은 癌 發生의 危險 因子이다. 固有版의 大食細胞가 높은 水準의 스트레스를 받으면 癌 發生의 可能性을 높일 수 있는 前炎症性 信號를 放出한다. 이런 狀況의 例示로는 大腸炎 關聯 癌과 連結되어 있는 IL-6 / STAT3 經路의 過活性化가 있다. [14]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Burkitt, H. George; Young, Barbara; Heath, John W., 編輯. (1993).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3板. ISBN   978-0-443-04691-9 .  
  2. Slomianka, Lutz (2009). “Blue Histology-Gastrointestinal Tract” .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2020年 3月 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2年 8月 1日에 確認함 .  
  3. Mescher, Anthony (2009). 《Junqueira's Basic Histology: Text & Atlas》 12板. ISBN   978-0-07-171475-4 .  
  4. King, David (2009). “Study Guide: Histology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  
  5. Chang, S. L.; Chung, J. S.; Yeung, M. K.; Howard, P. S.; MacArak, E. J. (1999). “Roles of the Lamina Propria and the Detrusor in Tension Transfer during Bladder Filling”. 《Scandinavian Journal of Urology and Nephrology》 33 (201): 38?45. doi : 10.1080/003655999750042132 . PMID   10573775 .  
  6. Andersson, Karl-Erik; McCloskey, Karen D. (2014). “Lamina propria: The functional center of the bladder?”.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33 (1): 9?16. doi : 10.1002/nau.22465 . PMID   23847015 .  
  7. Wiseman, O.J.; Fowler, C.J.; Landon, D.N. (2003). “The role of the human bladder lamina propria myofibroblast”. 《BJU International》 91 (1): 89?93. doi : 10.1046/j.1464-410X.2003.03802.x . PMID   12614258 . S2CID   7628206 .  
  8. Rice, Thomas W; Zuccaro, Gregory; Adelstein, David J; Rybicki, Lisa A; Blackstone, Eugene H; Goldblum, John R (1998). “Esophageal Carcinoma: Depth of Tumor Invasion is Predictive of Regional Lymph Node Status”. 《The Annals of Thoracic Surgery》 65 (3): 787?92. doi : 10.1016/S0003-4975(97)01387-8 . PMID   9527214 .  
  9. Hall, Peter A.; Coates, Philip J.; Ansari, Bijan; Hopwood, David (1994). “Regulation of cell number in the mammalian gastrointestinal tract: The importance of apoptosis” . 《Journal of Cell Science》 107 (12): 3569?77. doi : 10.1242/jcs.107.12.3569 . PMID   7706406 .  
  10. Varol, Chen; Vallon-Eberhard, Alexandra; Elinav, Eran ; Aychek, Tegest; Shapira, Yami; Luche, Herve; Fehling, Hans Jorg; Hardt, Wolf-Dietrich; Shakhar, Guy; Jung, Steffen (2009). “Intestinal Lamina Propria Dendritic Cell Subsets Have Different Origin and Functions”. 《Immunity》 31 (3): 502?12. doi : 10.1016/j.immuni.2009.06.025 . PMID   19733097 .  
  11. Bischoff, Stephan C; Barbara, Giovanni; Buurman, Wim; Ockhuizen, Theo; Schulzke, Jorg-Dieter; Serino, Matteo; Tilg, Herbert; Watson, Alastair; Wells, Jerry M (2014年 11月 18日). “Intestinal permeability ? a new target for disease prevention and therapy” . 《BMC Gastroenterology》 14 : 189. doi : 10.1186/s12876-014-0189-7 . ISSN   1471-230X . PMC   4253991 . PMID   25407511 .  
  12. Lee, Ji Yong; Joo, Hee Jae; Cho, Dae Sung; Kim, Sun Il; Ahn, Hyun Soo; Kim, Se Joong (2012). “Prognostic Significance of Substaging according to the Depth of Lamina Propria Invasion in Primary T1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Bladder” . 《Korean Journal of Urology》 53 (5): 317?23. doi : 10.4111/kju.2012.53.5.317 . PMC   3364470 . PMID   22670190 .  
  13. Yonemura, Yutaka; Endou, Yoshio; Tabachi, Kayoko; Kawamura, Taiichi; Yun, Hyo-Yung; Kameya, Toru; Hayashi, Isamu; Bandou, Etsurou; Sasaki, Takuma; Miura, Masahiro (2006). “Evaluation of lymphatic invasion in primary gastric cancer by a new monoclonal antibody, D2-40”. 《Human Pathology》 37 (9): 1193?9. doi : 10.1016/j.humpath.2006.04.014 . PMID   16938525 .  
  14. Matsumoto, Satoshi; Hara, Taeko; Mitsuyama, Keiichi; Yamamoto, Mayuko; Tsuruta, Osamu; Sata, Michio; Scheller, Jurgen; Rose-John, Stefan; Kado, Sho-ichi; Takada, Toshihiko (2009). “Essential Roles of IL-6 Trans-Signaling in Colonic Epithelial Cells, Induced by the IL-6/Soluble-IL-6 Receptor Derived from Lamina Propria Macrophages, on the Development of Colitis-Associated Premalignant Cancer in a Murine Model”. 《The Journal of Immunology》 184 (3): 1543?51. doi : 10.4049/jimmunol.0801217 . PMID   20042582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