慶州 月城

慶州 月城
(慶州 月城)
(Wolseong Palace Site, Gyeongju)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私的
月城 위에 올라 찍은 寫眞
種目 私的 第16號
( 1963年 1月 21日 指定)
面積 300,299.2m 2
時代 新羅
位置
경주 월성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경주 월성
慶州 月城
慶州 月城(大韓民國)
住所 慶尙北道 慶州市 仁旺洞 387-1番地
座標 北緯 35° 49′ 51″ 東京 129° 13′ 34″  /  北緯 35.83083° 東京 129.22611°  / 35.83083; 129.22611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慶州 月城 (慶州 月城, 英語 : Wolseong Palace Site, Gyeongju )은 慶尙北道 慶州市 仁旺洞 에 있는 新羅時代 宮闕 이 있었던 곳의 地形이 初生달 처럼 생겼다하여 신월성 또는 半月城 이라 불렀으며, 當代에는 賃金 이 사는 性이라는 意味의 재성 在城 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朝鮮時代 부터 半月城이라고 불려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1] 2017年부터 發掘調査中이며, 發掘結果 101年( 婆娑王 22年)에 建立되었다는 旣存 記錄과 달리 4世紀 中葉부터 쌓기 始作해 5世紀 初에 이르러 完工된 것으로 確認되었다. 1963年 1月 21日 大韓民國의 史跡 第16號로 指定되었다.

歷史 [ 編輯 ]

初赫居世二十一年, 築宮城, 號金城. 婆娑王二十二年, 於金城東南築城, 號月城, 或號在城, 周一千二十三步, 新月城北有滿月城, 周一千八百三十八步. 又新月城東有明活城, 周一千九百六步. 又新月城南有南山城, 周二千八百四步. 始祖已來處金城, 至後世多處兩月城.

처음 赫居世 21年(紀元前 39年)에 宮城을 쌓아 이름을 金星(金城)이라 하였다. 婆娑王 22年(101年)에 金星 東南쪽에 城을 쌓아 月城(月城) 或은 재성(在城)이라고 불렀는데, 둘레가 1千 23譜였다. 신월성(新月城) 北쪽에 滿月性(滿月城)이 있는데 둘레가 1千 8百 38譜였다. 또 신월성 東쪽에 명활성 이 있는데 둘레가 1千 9百 6譜였다. 또 신월성 南쪽에 남산성 이 있는데 둘레가 2千 8百 4譜였다. 時調 以來로 金星에 居處하다가, 後世에 이르러서는 두 月城에 많이 거쳐하였다.

? 三國史記 》 卷34 잡지3 지리1 [2]

三國史記에서는 101年( 波斯 尼斯今 22年)에 粤省을 쌓았다고 傳하나, 2021年의 發掘調査 結果 文獻 記錄과 約 250年 差異 나는 4世紀 中葉부터 쌓기 始作해 5世紀 初에 이르러 完工된 것으로 確認되었다. [3]

金星과 月城 [ 編輯 ]

粤省이 어느 特定 時點부터 滅亡에 이를 때까지 오래도록 新羅의 王宮으로 기능하여 온 것은 分明하다. 하지만 언제부터 粤省이 王宮으로 자리한 것인지는 뚜렷하지가 않다. 詐欺 地理誌에 依하면 新羅의 宮城이 크게 金星에서 粤省으로 變化하였는데, 金星 金城 의 實體가 어떠한 것이었는가에 對해선 아직 論議의 領域이다. [4] [5] :45

新羅에서 처음 王宮으로 기능한 것은 金星이었음이 분명하다. 《 三國史記 》 〈新羅本紀〉에 依하면 金星은 始祖 紀元前 37年( 赫居世 居西干 21年)에 旺盛 京城 을 처음 築造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6] 바로 얼마 뒤인 紀元前 32年에는 京城(錦城)의 內部에다가 따로 宮室을 照映했다고 한다. [7] 이 두 記錄을 합쳐서 理解하면 金星이라 불린 王城의 內部에 따로 王宮이 두어진 事實이 確認된다. [8]

以後 金星 關聯 記錄은 5世紀 後半에 이르기까지 斷片的 形態로나마 二十餘次例에 걸쳐서 줄곧 나타나거니와 그럴 때마다 旺盛과 함께 이따금씩 王宮의 意味로 混用되고 있다. 하지만 實際로 金星은 旺盛이지, 王宮은 아니었다는 것이 學界의 衆論이다. 6世紀 以後 新羅가 滅亡하는 10世紀까지 金星이란 用語는 繼續해서 使用되었지만, 이때는 新羅의 王卿(首都) 自體를 가리키지 위함이지 王宮의 意味로는 使用되지 않은 것은 그런 實相과 脈絡을 같이한다. 이와 같은 側面에서 6世紀 以前의 錦城도 亦是 王城을 指稱함이 本質이었다. [9] 이때의 錦城은 元來 徐羅伐 , 社로 等 新羅의 固有語에 基盤한 漢文 表記로 推定된다. [8] [10]

粤省과 關聯해서는 다음과 같은 記錄이 처음으로 登場한다.

二十二年 春二月 築城名月城 秋七月 王移居月城

22年 봄 2月, 城을 쌓고 月城이라 이름했다. 가을 7月에 王이 月城에 옮겨가 살았다.

? 三國史記 》 〈新羅本紀〉 波斯 尼斯今

卽 《三國史記》에 依하면 101年(波斯 尼斯今 22年)에 城을 쌓고 金星에서 이곳으로 都城을 옮겼다는 것이다. 위의 記事를 앞서 言及한 事實과 아울러서 살피면 王宮이 좁은 意味의 ‘錦城’으로부터 粤省으로 옮겨진 셈이 된다. 卽 이때부터 粤省이 本格的으로 王宮으로 기능하기 始作한 것이었다. 以後 月城 關聯 記錄이 이따금씩 보이지만 이들은 모두 王宮(宮)이었을 뿐, 旺盛(城)의 意味로서 使用된 事例가 全혀 없다는 것이 特徵이다. 月城이란 用語는 金星과는 다르게 始終一貫 王宮으로서만 使用된 것이었다. 以後 粤省과 함께 金星이 記錄上 繼續 나타나더라도 兩者 사이에는 아무런 矛盾性을 보이지 않는 것도 이러한 脈絡에서 理解된다. 粤省은 鷄林 鷄林 과 마찬가지로 ‘닭’을 訓借 表記한 데서 由來한 名稱으로 여겨진다. [11]

以上과 같이 旺盛인 金星 內의 王宮은 어느 時點부터 粤省으로 옮겨졌음을 確認할 수 있다. 다만, 新羅本紀 初期記錄의 朞年을 額面 그대로 받아들을 수 없는 實情을 勘案하면 따로 粤省이 王宮으로 기능한 時點을 특정하기란 힘든 노릇이다. 따라서 이에 對해 여러 學者가 서로 다른 主張을 벌여오고 있다. [12] 이에 對해 주보돈 敎授는 國家의 發展 段階와 古塚의 形成時期를 考慮했을 때 古塚이 照映되기 始作한 4世紀 무렵에 粤省이 王宮으로 기능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8] 以外에 김낙중, 여호규, 김병곤 等은 5世紀 무렵부터 粤省이 王宮으로 기능했을 것이라 본다. [13] [14] 特히 김병곤은 내물 麻立干 부터 소지 麻立干 10年까지 段階的으로 金星에서 粤省으로 王이 移轉했다고 보았다. [5] :102-132

記錄에 따르면 月城의 主人公은 여러 次例 바뀌었다. 맨 처음에는 界 사람인 호공 이 所有하였다가 얼마 뒤에는 바깥으로부터 慶州盆地로 進入한 昔脫解 의 占有가 되었다. 特異하게도 外部 世界로부터 社로 地域으로 進入한 새 移住民이 交代로 粤省을 掌握하였다는 것은 서로 占據하기 위해 다툴 만한 對象地로써 이곳이 갖는 重要性을 示唆해주는 證據로 採擇된다. 그 뒤 朴氏人 波斯 尼斯今이 粤省을 築成한 事實은 곧 霸權 掌握과 함께 昔氏 族團으로부터 넘겨받았음을 뜻하는 것으로도 여겨진다. 마침내 政治的 主導者로 새롭게 浮上한 金氏 麻立干이 新羅王朝의 建設에 成功하자 그 表象으로서 自身들의 元來 居所 代身 粤省을 王宮으로 삼게 된 것이라고 주보돈 敎授는 主張한다. 結果的으로 粤省은 사로국 및 新羅의 霸權을 掌握한 者의 몫이 되었다. [8]

문무왕 때에는 東宮과 月池 · 瞻星臺 一帶가 編入되어 性의 規模가 擴張되었다. [8]

形態 [ 編輯 ]

誠意 動·西·北쪽은 흙과 돌로 쌓았으며, 南쪽은 絶壁인 自然地形을 그대로 利用하였다. 東, 서, 北쪽 城壁 밑으로는 물이 흐르도록 人工的으로 마련한 防禦施設인 垓子가 있었으며, [1] 東쪽으로는 慶州 東宮과 月池로 통했던 문터가 남아있다. 城 안에 많은 建物터가 남아있으며, 1741年에 月城 西쪽에서 이곳으로 옮겨온 石氷庫 가 있다. 樓閣, 官廳, 王宮과 같은 여러 建物들이 있었다. [1]

擴張된 月城, 卽 新羅 宮闕의 領域에 對해서는 박방龍, [15] 이상준, [16] 양정석 [17] 세 學者의 硏究가 注目된다. 이들은 新羅 王宮의 東側과 南側 境界에 對해서는 意見의 一致를 보이고 있으나 西側과 北側 境界에 對해서는 微妙한 差異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北側 境界를 正確히 確認할 만한 發掘調査가 이루어지지 않은 點에 起因한다. 垓子 役割이 防禦에서 通路 周邊의 造景으로 變化하고, 垓子 周邊의 建物地 中에서는 王宮과 關聯된 官廳이나 祭祀儀式을 行하던 것으로 推定되는 建物址가 確認되는 點 等에서 新羅 王宮은 時間이 지남에 따라 擴張된 것으로 여겨진다. [18] [19] :38

區分 東側 警戒 西側 警戒 南側 警戒 北側 警戒
박방龍 (1996) 慶州博物館 敷地 內의 南北方向의 道路遺構와 黃龍四肢 西便 南北方 香의 道路유구를 이은 線 月淨橋 南北軸을 基準으로 한 南北 方向 延長線 남천(文川) 東便 警戒-日正敎의 東西軸을 기 準으로 東西方向 延長線 東宮과 月池 북便을 基準으로 東西 方向의 延長線
이상준 (1997) 28號, 29號, 30號墳의 墓域 東端을 基準으로 南北方向 延長線 瞻星臺와 27號墳 사이 空間을 池 나 東宮과 月池 北便까지
양정석 (2014) 西便警戒-添星로 東便警戒-선덕 女高 南端을 基準으로 東西方向 연 장선

建築物 [ 編輯 ]

現在는 1741年에 세워진 石氷庫 外에는 남아있지 않다. 아래의 建築物은 모두 記錄에 登場하는 것이다.

殿閣 [ 編輯 ]

  • 組原電(朝元殿): 왕이 政務를 보거나 儀禮를 進行한 場所. 停戰(正殿)으로 推定되기도 한다. 651年( 진덕여왕 5年)에 新年 祝賀의 例를 가진 곳이었으며, 그外에도 806年( 애장왕 7年) 等에 日本의 使臣을 맞이한 場所이다. 災難이 닥쳤을때 이를 물리치는 意識이 열리기도 했다. [20] [21]
  • 숭례戰(崇禮殿): 宴會와 使臣 接見等에 使用한 場所이다. 807年( 애장왕 8年)에 音樂을 鑑賞하고, 814年( 헌덕왕 6年)에 잔치 記錄이 登場한다. [20]
  • 내黃氈(內黃殿): 日本의 萬波息笛 要求를 拒絶한 뒤 保管한 場所이다.
  • 강무전(講武殿): 677年( 문무왕 17年)에 王이 강무전 南門에서 활쏘기 를 觀覽하였다.
  • 平議殿(平議殿): 811年(헌덕왕 3年)에 처음으로 王이 平議殿에 나가 政事를 돌보았다.
  • 서란戰(瑞蘭殿): 王妃가 居住하던 殿閣으로 推定된다.

樓閣 [ 編輯 ]

  • 고루(鼓樓): 655年( 태종무열왕 2年)에 세워 북을 달아두었다.
  • 忘恩루(望恩樓): 794年( 원성왕 10年)에 세웠다.
  • 鳴鶴루(鳴鶴樓)
  • 월상루(月上樓)

기타 [ 編輯 ]

  • 內戰(內殿): 香을 피우며 道를 닦던 分數勝(焚修僧)이 있었다.
  • 物藏庫(物藏庫): 521年( 諂해 尼斯今 5年)에 글씨를 잘쓰고 計算을 잘하는 이에게 事務를 맡겼다.
  • 천존고(天尊庫): 萬波息笛을 保管하던 곳이다.

調査 [ 編輯 ]

日帝强占期 [ 編輯 ]

最初의 考古學的 調査는 1902年에 日本 政府의 命令을 받은 세키노 다다시 에 依해 始作되었다. 當時 그는 月城의 位置와 形態를 確認하는 等 實態를 把握하는 데에 重點을 두었고, 城壁의 形態와 規模, 城內 地盤의 높이가 바깥 쪽보다 높다는 點 그리고 石氷庫 의 形態와 非文 等을 敍述했다. 또한 흙으로 쌓은 城壁 위에 낮은 담牆人 餘張 女墻 을 築造했을 것이며, 內部에 王宮, 附屬 官衙가 있었고, 四面에 城門을 設置하였을 것이라 推測했다. [22] :100 이 때의 調査는 1909年에 完了되었다. [23] [24] [25]

1914年 도리이 留鳥 硏究팀이 撮影한 慶州 月城 城壁 아래의 교동 조개 무덤을 調査하는 寫眞.

粤省은 이어서 1914年 4月 도리이 留鳥 에 依해 다시 調査되었다. [26] 이 調査는 月城에 對한 最初의 考古學的 發掘調査로 認識된다. 그런데 이 調査의 目的은 月城의 實體 確認보다 先史 時代 遺跡의 存在 與否를 밝히는데 있었다. 따라서 月城 自體의 調査는 月淨橋 附近의 男性癖을 잘라 先史時代의 痕跡을 찾은 程度로 마감되었다. [22] :100 이 때 城壁 下部 5個 層位가 確認되었으며, 骨鏃, 骨針, 炭化穀物, 土器篇 等이 出土되었다. [22] :28 以後 1917年에 約 한 달間 進行했던 發掘調査 亦是 粤省이 築造되기 以前인 先史時代에 焦點을 맞추어 進行한 것으로 여겨진다. [22] :100 [27]

한便 1922年에는 후지타 료사쿠 藤田亮策 , 우메하라 스에지 梅原末治 , 고이즈미 아키오 小泉顯夫 가 다시 한 番 粤省을 調査했다. [28] [29] 이들은 新羅의 代表 遺跡을 調査하면서 도리이 留鳥가 發掘 調査한 地點을 中心으로 城壁 아래 遺跡을 調査했다. 以後 후지시마 가이지로 는 1929年에 도쿄帝國大學 의 命令에 依해서 約 2週 동안 慶州 一帶를 調査했다. [30] 建築史跡으로 接近한 調査이기는 하지만, 이 調査에서 처음으로 粤省을 歷史的인 遺跡으로 認識하는데 成功했다. 《 三國遺事 》와 《 三國史記 》에 登場하는 月城 關聯 記事를 檢討하여 그 沿革과 建物의 이름에 對해서 考察하였고, 그것을 單行本인 《朝鮮建築사론 朝鮮建築史論 》과 學術誌인 〈建築雜誌 建築雜誌 〉 에 揭載했다. [22] :100

또한 아리미쓰 驕易치 有光敎一 朝鮮總督府博物館 에 所屬되어 勤務하면서, 도리이 留鳥와 우메하라 스에지의 資料를 閱覽하는 한便 道理이 留鳥와 함께 月城 調査를 했었던 사와 준이치 澤俊一 의 說明을 들으며 月城의 情報를 蒐集했다. [31] 月城의 情報를 涉獵하는 過程에서 그는 토기의 變遷에 對해 注目했는데, 月城 出土 土器를 도리이 留鳥가 區分한 城壁의 上層과 下層, 그리고 最下層이라는 세 集團으로 區分하는데 同意하며, 各各의 層位에서 出土된 토기의 變化를 整理했다. 하지만 도리이 留鳥의 韓半島 土器 自體 發達설에는 異見을 보이며, 金屬기와 함께 大陸에서 傳來된 療法에 依한 것으로 主張하기도 하였다. [22] :100

解放 以後 [ 編輯 ]

解放 以後 粤省과 그 周邊 遺跡에 對한 發掘은 慶州觀光開發事業의 一環으로 月城에 對한 學術資料 確保 및 遺跡 整備의 基礎 資料를 構築하기 위한 目的에서 實施되었다. 發掘調査는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의 前身인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傘下의 國立文化財硏究所 慶州古跡發掘調査段에서 遂行하였다. 調査期間은 1979年 10月부터 이듬해인 1980年 5月까지 約 8個月이다. [19] :22 [22] :100 1979~1980年 동문지 發掘調査 過程에서 粤省 東쪽 城壁에 對한 調査를 進行하여 自然石이 誠意 體性部 體城部 를 따라 놓여있거나 無秩序하게 散在된 狀態로 確認되었다. [22] :30 또한 正面 1칸 側面 2칸의 동문지 遺構가 確認되었고, 城壁 土層과 石築垓子 도 發見되었다. [22] :28

2018年까지의 月城 周邊 遺跡 調査를 위한 區劃 指定 狀況.

以後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에 依해 1984年부터 月城 垓子에 對한 硏究가 進行되었다. 1984年부터 1985年까지는 試掘調査를 통해 15具의 人骨과, 木簡, 土器, 旗와 等을 出土하였다. 以後 1985年부터 1989年까지 5年間에 걸쳐 月城 外郭의 桐-北-西便 一帶를 對象으로 調査하였는데, 便宜上 東쪽에서 西쪽으로 ‘가’, ‘나’, ‘다’, ‘라’, ‘桂林北便地球’로 區分하였고 그 中 ‘나’, ‘다’, ‘라’區域에서 石築垓子가 調査되었다. ‘나’區域에서는 石築이 設置된 가장자리와 內部의 一部만을 第吐하는 水準에서 調査가 實施되었다. ‘다’區域에는 1·2號 楷字와 外側에 主軸이 楷字와 같은 方向인 건물址 數 棟이 確認되었다. ‘라’區域은 月城 西쪽으로서 이곳에서도 石築垓子가 部分的으로 確認되었고, 石築垓子 1·2號 垓子의 뻘層 아래 바닥에서 確認된 자갈 섞인 靑灰色의 모래層이 確認되었는데 뻘層이 形成된 것으로 把握되었다. 이렇게 鷄林 男便에서부터 調査된 垓子를 1號 해자라 명명하고 粤省 東쪽으로 調査가 進行되면서 確認된 垓子를 各各 2號, 3號, 4號, 5號 해자라 부르게 되었다. [19] :41 以後 2014年까지 ‘다’區域 1~5號 垓子를 發掘調査하고, 鷄林 北便, 瞻星臺 男便, 月城 北西便 建物地를 確認하는 成果를 거두었다. [22] :28

月城 內部에 對한 調査는 亦是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의 主導下에 2003年부터 本格的으로 이루어졌다. 2004年까지 月城 周邊 地表調査를 통해 粤省 및 周邊의 現況 把握했는데, 70餘基의 礎石과 우물地, '재성 在城 '이라고 적힌 旗와 等을 出土했다. 2007年에는 地下레이더探査 (GPR)를 통해 全體 樣相을 確認했는데 地下에 수많은 建物址들이 存在함이 드러났다. 2013年에는 發掘調査 妥當性 檢討, 發掘調査 計劃, 遺跡整備現況 硏究 等을 整理한 《慶州 月城 保存整備政策硏究 綜合報告書》를 發刊하였다. 그리고 2014年 12月부터 月城 內部에 A에서 D까지 4個 地區를 設定하고, 月城 內部 中央地球에 該當하는 C地區에 對한 試掘調査를 2015年 3月까지 進行하였다. [22] :28 以後 城壁과 門址로 推定되는 A地球와 粤省을 防禦하기 위해서 照映된 垓子地區에 對한 發掘調査를 進行하고 있다. [22] :100

以後 2015年부터 月城 鉏城壁에 對한 精密 發掘 調査를 着手하여 城壁 造成過程과 變化樣相을 把握하기 위한 硏究가 進行되고 있다. [22]

遺跡 [ 編輯 ]

城郭 [ 編輯 ]

月城 城壁은 흙으로 만든 土城인데, 一定 間隔으로 나무 말木을 박은 指定(地釘)公法과 木材, 식물류를 層層이 깐 浮葉(敷葉)公法 等 基礎部 工事를 통해 月城 地形의 軟弱한 地盤을 補强하였다. 以後, 本格的으로 城壁 몸體를 만드는 體性部 工事에서는 볏짚·粘土 덩어리·建物 壁體 等을 다양한 城壁 材料로 使用하여 높고 巨大하게 만드는 土木 技術이 確認되었다. 너비 約 40m, 높이 10m 以上으로 推定하며, [3] 城壁 최上部에는 사람 머리 크기 만한 돌이 4~5單價輛 無秩序하게 깔려 있었다. 이는 흙이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한 機能으로 보이며, 月城의 特徵 中 하나이다. [32]

同性壁 [ 編輯 ]

門址 東쪽에서 10m 떨어진 곳을 調査한 結果 築石面에서 45cm 아래에 築城 時 補强을 위해 쌓은 것으로 推定되는 自然石이 誠意 體性部를 따라 놓여있거나 無秩序하게 散在된 狀態로 確認되었다. 石築 아래 外郭쪽으로 넓적한 自然石을 몇 段씩 켜로 쌓아 體性部를 따라 整列한 石段이 確認되었고, 이곳에서 10m 外郭 地點에 마주보는 石築이 같은 方式으로 쌓여있었다고 한다. 城壁 아래의 바깥쪽에는 城壁 方向을 따라 自然石을 利用하여 쌓은 石築垓子가 設置되었음이 確認되었다. [19] :40 [33]

동문지 [ 編輯 ]

동문지는 1979年부터 1980年까지 約 8個月間의 發掘을 통해 確認하였다. 門은 城 위 높은 곳에 位置하고 東쪽으로 기울어진 北向으로 되어 正面 1칸, 側面 2칸의 構造였음이 確認되었다. 남아있는 礎石으로 볼 때, 規模는 駐칸은 正面 4.7m, 側面 4.7m를 2칸(8隻×2)으로 나눈 形態이다. 基壇은 全面 길이 6.7m, 側面 길이 6.7m 人 正方形의 平面 形態였다. 礎石은 1面이 70cm되는 各석 윗面에 原形 主座를 治石하였는데, 各 귀기둥 礎石에는 鼓膜이 [註解 1] 가 東西邊을 따라 內向하고 있으며, 童便의 中央 礎石은 四角形 主座 柱座 [註解 2] 에 고막이가 놓일 자리를 판 痕跡이 門 쪽으로 나있다.

男性癖 [ 編輯 ]

男性癖의 一部가 1914年에 도리이 留鳥 의 發掘團에 依해 調査되었다. [19] :40

鉏城壁 [ 編輯 ]

鉏城壁은 A地區 發掘과 함께 이루어졌다. 築造年代는 5世紀 前後로 判斷되며, 國內에서 最初로 城壁을 쌓는 過程에서 사람을 祭物로 使用한 提議의 痕跡이 確認되었다. 人骨은 城壁을 本格的으로 쌓기 直前인 基礎層에서 두 區가 出土되었다. 한 구는 正面으로 똑바로 누워 있고, 다른 한 구는 反對便 人骨을 바라보게끔 얼굴과 한쪽 팔이 若干 돌려져 있다. 두 區 모두 얼굴 周邊에 나무껍질이 部分的으로 確認되었다. [32] 서문지의 存在도 確認되었다.

鉏城壁의 築造 年代를 加速質量分析器 로 分析한 結果 文獻 記錄과 約 250年 差異 나는 4世紀 中葉부터 쌓기 始作해 5世紀 初에 이르러 完工된 것으로 確認되었다. [3]

垓子 [ 編輯 ]

2014年에 設定한 月城 調査 區域이다. 各 垓子의 位置가 보인다.

垓子의 境遇 2015年 12月부터 2021年까지 內部 精密補完調査가 進行되어왔는데, 調査 結果 垓子가 約 500年 동안 輸血垓子에서 石築垓子로의 變化를 거치며 持續해서 使用되었다는 事實이 確認되었다. 輸血해자는 月城 城壁을 둘러싼 最初의 垓子로서, 城壁 北쪽에 바닥層을 U字 模樣으로 파서 만들었으며, 垓子 가장자리가 遺失되거나 異物質을 막기 爲한 板子壁을 세웠다. 이 때 板子壁은 約 1.5m間隔 나무기둥을 박고 두께 約 5cm의 板子를 세우는 方式으로 造成하였다. [32]

石築垓子는 輸血垓子 上層에 石材를 쌓아올려 造成하였으며, 獨立된 各各의 垓子는 입?출수구로 連結되어 있다. 垓子는 時間이 가면서 다시 쌓거나 補强하면서 幅이 좁아졌으며, 內部 土層別 出土 遺物을 分類해본 結果 輸血해자는 5~7世紀, 石築垓子는 8世紀 以後 使用된 것으로 判斷된다. [32]

月城 城壁과 垓子의 造成 順序를 確認한 結果, 城壁을 먼저 쌓고 以後 最初의 輸血垓子를 팠던 것이 確認되었다. 以後 城壁과 垓子를 다시 쌓거나 補修하는 過程을 거치면서 城壁 傾斜面에 垓子의 石築護岸을 쌓는 等, 有機的으로 築造했던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32]

여기서 다양한 土偶와 木簡 等이 出土되었다. 또한 動物뼈, 植物有體, 木製遺物 等 다양한 資料들이 垓子에서 出土되었다. 동물뼈는 돼지, 소, 말, 개가 가장 많이 出土되었다. 特異한 것은 곰의 뼈가 出土된 것이다. 곰은 新羅 時代 遺跡에서 最初로 確認된 動物流體로서, 流入過程과 使用禮에 對해서는 앞으로 더 硏究가 必要하다. 또한, 멧돼지나 개의 머리뼈를 切斷?打擊韓 痕跡, 작은 칼과 같은 道具로 다듬은 痕跡에서 屠殺과 解體 作業을 엿볼 수 있었다. 소의 어깨뼈에 새긴 동그란 痕跡을 통해 뼈 自體를 使用하고자 했던 것을 確認할 수 있다. [32]

植物有體는 植物의 줄기와 잎, 열매, 씨앗 等으로 分類된다. 씨앗類가 가장 많이 出土되었으며, 그中에서도 特히, 가시蓮꽃 씨앗이 가장 많았다. 가시蓮꽃은 環境에 敏感하게 反應하는 植物로, 當時 垓子 내 물의 흐름, 깊이, 水質 等을 推定할 수 있는 資料가 된다. 또한, 穀類, 菜蔬類, 果實類의 씨앗이 良好한 保存 狀態로 確認되고 있어 當時 食生活을 復元하는데 使用될 수 있다. [32]

木製遺物은 빗, 국자, 木製그릇, 漆器 等의 生活道具, 나무와 나무를 잇는 建築材料 等 多樣하다. 얼레빗 은 손칼 刀子 , 작은 톱 等으로 精巧하게 製作한 痕跡을 찾을 수 있어 製作 技法 뿐 아니라 製作道具를 推定할 수 있는 重要한 資料다. 또한, 검은 色과 붉은 色으로 彩色하고 손잡이를 나무못으로 附着한 木製品과 붉은 色으로 彩色된 木製品 等도 出土되었다. [32]

土宇 [ 編輯 ]

垓子에서 흙으로 形象을 빚은 土偶 土偶 들이 여럿 出土됐는데, 模樣은 사람과 動物, 말 탄 사람 等 多樣하다. 特히 그中에 소그드人 으로 推定되는 土偶가 出土되었다. 이 터번 土偶는 눈이 깊고, 끝자락이 오른쪽 팔뚝까지 내려오는 터번을 머리에 두르고 있다. 팔 部分이 소매가 좁은 카프탄 [註解 3] 입고 있으며 허리가 꼭 맞아 身體 輪廓線이 드러나고 무릎을 살짝 덮은 模樣인데, 唐나라 時代에 胡服 胡服 이라고 불리던 소그드人 옷과 模樣이 類似하여 페르시아 服飾의 影響을 받은 소그드人으로 推定해 볼 수 있는 根據가 된다. 6世紀 土偶로써 推定되기 때문에 現在까지 出土된 소그드人 推定 土偶 中 가장 이른 時期로 判斷된다. [32]

木簡 [ 編輯 ]

2015年부터의 垓子 精密補完調査過程에서 總 7點의 木簡 이 나왔다. 이들 목간을 통해 木簡 製作 年代와 垓子를 使用한 時期, 新羅 中央政府가 地方 有力者를 통해 勞動力을 動員?監督했던 事實, 가장 이른 時期의 吏讀 使用이 確認되었다. [32]

‘丙午年(丙午年)’이라고 적힌 목간은 粤省垓子 出土 木簡 中 正確한 年代가 最初로 確認된 것으로, 丙午年은 60年 만에 한 番씩 돌아오기 때문에 법흥왕 13年(526年)이나 진평왕 8年(586年)으로 推定한다. 이는 月城의 使用 時期를 確定할 수 있을 뿐 아니라, 6世紀 新羅의 活潑한 文字活動도 證明해주는 證據物로 採擇된다. [32]

地方民에게 주어지던 官職을 의미하는 ‘일벌 一伐 ’, ‘干支 干支 ’라고 적힌 목간은 勞動을 의미하는 ‘공 ’과 함께 連結되어 王卿 整備 事業에 地方民이 動員되었고 그들을 地方 有力者가 監督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는 6世紀 동안 이루어진 진흥왕 12年(551年)의 明活山城 祝聖, 眞平王 13年(591年)의 南山山城 築成 等의 큰 工事에 新羅 中央政府가 地方에 行使한 統制力을 가늠해볼 수 있는 根據로 여겨진다. 또 다른 木簡에 적힌 글字인 ‘白犬 白遣 ’은 吏讀의 ‘ㅅㆍㄼ高’, 卽 ‘사뢰고(아뢰고)’라는 意味이며, 新羅 王卿 內에서는 가장 이른 時期의 吏讀로 判斷된다. [32]

이 外에도 《三國史記》에서 確認되지 않은 새로운 官職名인 ‘전중대等 典中大等 ’, 儒敎 가 퍼져 中國 周나라 住公을 模倣하여 이름을 지은 것으로 보이는 ‘住公地 周公智 ’, [註解 4] 當時의 動物과 食生活을 推定할 수 있는 ‘닭 ’과 ‘꿩 ’ 그리고 ‘案頭 安豆 [註解 5] 等의 글字가 적힌 木簡도 確認되었다. [32]

人骨 [ 編輯 ]

2017年에 鉏城壁 發掘 過程에서 人骨 2區가 確認되었다. 城壁을 쌓는 過程에서 人骨이 確認된 國內 事例는 粤省이 最初이다. 住居地 或은 城壁의 建築過程에서 사람을 祭物로 使用한 習俗은 古代 中國의 商나라 에서 盛行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只今까지 堤防이나 建物의 築造와 關聯된 인주(人柱) 舌禍로만 [註解 6] 傳해져 오다가 이番에 그와 같은 事實이 考古學的으로 確認된 셈이다. [32]

現在는 發掘된 이들 人骨을 對象으로 自然科學的 硏究를 하고 있는데, 例를 들어 人骨의 性別?年齡 等을 確認하기 위한 體質人類學的 分析과 DNA 分析, 콜라겐 分析을 통한 食生活 復元, 寄生蟲 有無 確認을 위한 骨盤 周邊 土壤 分析 等을 하고 있다. 參考로, 뼈는 當時 사람들의 體質的 特性이나 人口 構造, 疾病 및 健康 狀態, 食生活, 遺傳的 特性 等을 밝혀낼 수 있는 重要한 資料다. [32]

2021年의 調査 結果로 月城 基礎部 工事를 끝내고 城壁을 巨大하게 쌓아 올리기 前, 城壁과 門地가 堅固하게 築造되길 바라는 人身供犧가 擧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番 調査에서는 2017年에 報告된 50代 男女 人骨에 더해 成人 女性 人骨과 動物뼈 等을 追加로 確認했다. 이番에 確認된 女性 人骨은 以前과 달리 曲玉 模樣의 琉璃구슬을 엮은 목걸이, 팔찌를 着用하였고, 키가 約 135cm 前後로 體格이 矮小했던 것으로 推定된다. 動物뼈는 말, 소 等 大型 哺乳類로 推定되며, 肋骨 部位 爲主로 選別하여 祭物로 바쳐졌다. [3]

人신공희 支店에서 北西쪽 方向으로 約 10m 程度 떨어진 곳에는 1985年과 1990年 試掘·發掘調査에서 出處 不明의 人骨 20具 以上이 一括的으로 確認된 바 있는데, 이番에 밝혀진 月城의 築城 作業과 比較한 結果, 이들 人骨 또한 城壁 築造 過程과 關聯하여 묻힌 것으로 밝혀졌다. [3]

復元 [ 編輯 ]

2025年까지 復元을 위해 國費 1千890億원, 地方費 810億원 等 2千700億원을 投入한다. 于先 2017年까지 140億원을 投入해 月城 發掘 調査 및 基礎 學術 硏究를 進行하고 宮闕 核心의 復元에 着手한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發掘 調査 成果를 土臺로 復元 可能한 遺構(옛 物件) 等의 復元을 推進할 豫定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註解 [ 編輯 ]

  1. 운두 雲頭 위에 기둥이 앉을 자리를 높여주는 받침을 말한다.
  2. 下放 下防 이 기둥 밑 線에 設置될 때, 下方을 받치는 別途의 받침席을 말한다.
  3. 카프탄은 터키 , 아라비아 이슬람 文化圈에서 폭넓게 着用되는 셔츠樣式의 긴 衣裳이다.
  4. 住公 은 中國 周나라 武王 의 동생의 이름으로, 지는 이름 뒤에 붙는 語尾이다.
  5. 안두는 綠豆 豌豆 로 推定된다.
  6. 인주 說話란, 사람을 기둥으로 세우거나 주춧돌 아래에 묻으면 堤防이나 建物이 무너지지 않는다는 內容의 說話를 말한다. 《 高麗史 충혜왕 4年(1343年)에 傳하기를 ‘왕이 民家의 어린아이를 잡아다가 새로 짓는 宮闕의 주춧돌 아래에 묻는다’라는 流言蜚語가 돌았다고 한다.

各州 [ 編輯 ]

  1. 現地 案內文
  2. “三國史記 卷第三十四 雜志 第三” .  
  3. “新羅 왕성, 月城의 築造 年代와 人신공희 事例 追加 確認” . 文化財廳. 2021年 9月 7日 . 2021年 9月 7日에 確認함 .  
  4. 박방龍 (2013). 《新羅都城》 初版. 서울市. ISBN   978-89-5508-310-1 .  
  5.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16年 8月 24日). 《文獻으로 보는 新羅의 王卿과 月城》 .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6. 『三國史記』 1 新羅本紀 始祖赫居世 21年條, ‘築京城 號曰金城’
  7. 『三國史記』 1 新羅本紀 始祖赫居世 26年條 ‘春正月 營宮室於金城’
  8. 주보돈 等 (2017年 10月 19日). 《東아시아 古代 都城의 築造儀禮와 粤省垓子 木簡》.  
  9. 朴方龍, 2013, 『新羅 都城』, 學緣文化史, p.184
  10. 文暻鉉, 1970, 「新羅 國號의 硏究」, 『大丘史學』 2; 2009, 『增補 新羅史硏究』, 圖書出版 ?, pp.8~10에서는 徐羅伐를 그렇게 表記 한 것으로 理解하였다
  11. 文暻鉉, 위의 論文, pp.11~12
  12. 金洛中, 1998, 「新羅 月城의 性格과 變遷」, 『韓國上古史學報』 27, pp.189~190
  13. 金落中 (1998). “新羅 月城의 性格과 變遷”. 《韓國上古史學報》 (韓國上古史學會) 27 .  
  14. 여호규 (2014). “6~8世紀 新羅 王宮의 構造와 政務·儀禮 空間의 分化”. 《歷史와現實》 (한국역사연구회) 94 .  
  15. 박방龍, 1996, 「新羅 都 城의 宮闕配置와 古道」, 『考古 歷史學志』 第11·12 合輯, 東 亞大學校博物館
  16. 이상준, 1997, 「慶州 月 城의 變遷過程에 對한 小考」, 『嶺南考古學報』 21, 嶺南考古 學會.
  17. 양정석, 2014, 「新羅 月 城과 王宮 復元 試論」, 성림門 火災硏究院 新羅文化特講.
  18.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15, 『慶州 月城 發掘調査 마스터 플랜 樹立 報告書』.
  19.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17年 10月 30日). 《慶州 月城 동문지·同性壁 時·發掘調査 報告書》 .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0. 전덕재 (2009). 《新羅 王卿의 歷史》 . 새文士. ISBN   978-89-7411-241-7 .  
  21. Hokyu, Yeo (2014). “Internal structure of the Shilla Royal Palace, and the arrangement of spaces for State Affairs and Rituals, in the 6th∼8th centuries” . 《Y?KSA WA HY?NSIL》 (카누리어) (94): 33?74. ISSN   1225-6919 .  
  22. 李宗勳 外 (2018年 1月 22日). 《新羅 王宮 月城》 .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23. 關野貞, 1904, 「都城」, 『韓國建築調査報告』 東京帝國 大學工科大學學術報告 第6冊.
  24. 關野貞, 1909, 「慶州に於ける新羅時代の遺迹」, 『東洋 協會調査部學術報告』 第1冊, 東京 : 東洋協會.
  25. 關野貞他, 1910, 『朝鮮藝術之硏究』, 統監府度支部建 築所, 京城.
  26. 鳥居龍藏, 1914, 「鳥居龍藏氏よりの通信 第5信(4月25 日,浦項發)」, 『人類學雜誌』 第29券 5號, 東京人類學會.
  27. 鳥居龍藏, 1917, 「平安南道黃海道古蹟調査報告書」, 『大正5年度古蹟調査報告』, 朝鮮總督府.
  28. 藤田亮策·梅原末治·小泉顯夫, 1924, 「慶州發見の 石器と古墳出土の異形陶質器四五」
  29. 『大正11年度古蹟調査報告』 第1冊 慶尙南北道忠淸南 道古蹟調査報告, 朝鮮總督府.
  30. 藤島亥治郞, 1930, 「朝鮮建築史論·其二」, 『建築雜誌』 44-531, 日本建築學會.
  31. 有光敎一, 1959, 「慶州月城·大邱達城の城壁下の遺 跡について」, 『朝鮮學報』 14, 朝鮮學會.
  32. 文化財廳 (2017年 5月 16日). “慶州 月城 城壁서 人骨 2具 發掘 … 人身(人身) 提議 推定 國內 첫 事例” .  
  33. 장경호, 1996, 『韓國 의 傳統建築』, 문예출판사, pp. 123~124.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