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ㄺ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리을기역)은 한글 낱자의 을 겹쳐 놓은 것이다. 첫소리로는 쓰이지 않고 끝소리로만 쓰인다.

語末이나 닿소리 앞에서는 ㄱ으로 소리난다. 하지만 다음 音節이 홀소리로 始作하면 ㄹ 다음 音節 첫소리에 ㄱ 소리가 난다. 또 다음 音節 첫소리가 ㄱ日 때는 ㄹ 다음 音節 첫소리가 이 되고, 일 때는 ㄱ이 ㅎ과 합쳐져 소리가 난다. 現代 젊은 話者들의 境遇 英語 의 影響으로 인해 설측 捲舌 接近音 이 包含된 發音으로 잘못 發音하는 境遇가 적지 않다.

  • 흙 → [흑]
  • 흙이 → [흘期]
  • 흙만 → [黑만] → [興만]
  • 읽기 → [日끼]
  • 읽히다 → [일키다]

코드 값 [ 編輯 ]

種類 글字 유니코드 HTML
한글 互換 字母 U+3135 ㄵ
한글 字母
領域
첫소리 (없음)
끝소리 ᅟᅠㄺ U+11B0 ᆰ
漢陽 使用者
定義 領域
첫소리 ? U+F799 
끝소리 ? U+F88C 
半角 U+FFAA ᆰ

情報 [ 編輯 ]

자명 리을기역 (南)
리을기윽 (北)
發音 於中 : [ ?g ] , 語末 : [ k?? ] , 於中 口蓋音化  : [ ?c ] (南)
於中 : [ lg ] , 語末 : [ k?? ] , 於中 口蓋音化  : [ lc ] (北)
이음 後行 子音이 平音 일 境遇 平音이 硬音 으로 된다.
後行 子音이 ㅎ日 境遇 [ ?.k? ] , 같은 條件에서 口蓋音化 時 [ ?.c? ]으로 소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