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코퍼러티즘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코퍼러티즘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協同組合主義 에서 넘어옴)

코퍼러티즘적 行態는 고중세부터 存在했다. 中世 都市의 手工業者들은 各自 職能에 따라 길드 로 組織되었다. 한 都市의 職能別 길드들이 모여 그들 全體의 利益을 위해 서로의 立場을 調律해 談合한다면 그것이 코퍼러티즘이다.

코퍼러티즘 (Corporatism)이란, 코퍼레이션(師團) 들이 모여서 對立하지 않고 相互間에 協助하여 共通의 利害關係를 導出하여 政策을 決定하는 政治體制다. [1] [2] [3]

現代 英語 表現으로 大企業의 사호에 “코퍼레이션”이라는 말이 많이 使用되긴 하지만, 코퍼러티즘은 大企業의 企業獨裁 같은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런 것은 코퍼레이토크라시 라고 한다. 또한 政治 腐敗나 利益團體의 壓力行使로 政府가 企業의 便을 들게 되는 것도 코퍼러티즘이 아니다.

코퍼러티즘은 1850年代에 古典 自由主義 마르크스주의 의 胎動과 때를 같이하여 나타났다. 마르크스주의가 階級鬪爭 을 强調한 데 反하여, 코퍼러티즘은 共同體 構成員 全體의 利益으로 收斂되는 階級協調 를 主張했다. 파시즘 에서 特히 코퍼러티즘을 强調하였으나, [4] 코퍼러티즘이 파시즘의 專有物인 것은 아니다. 自由主義, 社會主義, 共産主義, 權威主義, 파시즘 等 理念을 莫論하고 많은 指導者들이 코퍼러티즘의 階級協調 方法論을 採擇했다. [1] [5] [6] 사민主義 福祉社會의 三者注意 亦是 코퍼러티즘적 行態에 該當한다. [7] [8]

코퍼러티즘의 歷史 [ 編輯 ]

前近代 共同體注意 코퍼러티즘 [ 編輯 ]

코퍼러티즘적 槪念은 古典 그리스 에서부터 發見된다. 플라톤 은 徹底한 階級構造로 作動하는 全體主義 社會를 유토피아로 그렸는데, 플라톤의 유토피아의 社會 構成員들은 各自의 職分에 맡는 技能을 遂行하며 個人의 利害關係보다 共同體 全體의 利害關係를 追求하여 社會的 調和를 이룰 것이라고 했다. [9] 아리스토텔레스 는 『 政治學 』에서 人間 社會는 宗敎人, 政治人, 軍人, 奴隸 이렇게 네 가지 自然스러운 階級으로 나뉘고 各 階級마다 주어진 機能的 役割이 있다고 했다. [10] 古代 로마 는 그리스의 코퍼러티즘적 觀念을 受容하져 自己들 나름의 코퍼러티즘 體制를 세웠다. 로마인들은 軍事集團, 職能集團, 宗敎集團에 따라 市民 代表者들을 나누고, 各 集團에 콜레기움 이라는 一種의 社團法人을 세워 各 集團 構成員들을 組織化하고 政治的으로 代辯되게 하였다. [10]

5世紀에 서로마 帝國이 網 하고 中世 初期 가 始作되자 有럼의 코퍼러티즘적 實踐은 萎縮되었고, 基督敎 修道會 의 生産活動을 통해 命脈을 이어나갔다. 그러다 中世 性器 부터 旣存의 修道會 뿐 아니라 定住修道院, 托鉢修道會, 騎士修道會 等이 생겨났으며, 大學과 學會, 都市가 생겨났다. 이런 團體들은 모두 코퍼러티즘적 性格을 갖고 있었으며, 그 中에서도 特히 都市의 길드 들이 그러했다. [11] 이러한 中世 코퍼러티즘은 中世 身分制 와 共生하였으며, 3代 身分(聖職者, 貴族, 平民)의 構成員들은 各自 身分의 社團法人에 屬해 코퍼러티즘을 實踐하였다. [11] 身分制와 共生한 中世 코퍼러티즘의 重要한 特徵은 權力의 分散이었다. 無數히 많은 事端들 사이에 權力이 分店되어 求心點이 存在하지 않았다. 그러나 16世紀 以後 絶對王政 이 登場하면서, 中世에 느슨하게 共生해온 社團法人들은 서로 競爭하고 合倂되는 過程을 거치게 되었다. [11] 結局 啓蒙時代 쯤 되면 絶對君主, 卽 國家 가 社會의 모든 權力을 掌握하는 國家主義 中央集權 이 達成되게 되면서, 割據하던 中世的 社團法人들은 王權에 對한 어떠한 牽制도 하지 못하게 되었다. [12]

프랑스 革命 以後, 前近代 코퍼라티즘은 絶對王政에 寄生해온 舊態의 制度로 看做되었고, 中世的 特權들이 剝奪되면서 消滅되었다. 革命政府는 코퍼러티즘적 生活은 個人의 權利 擁護라는 理念과 一致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以後 유럽 全域에서 길드를 비롯한 中世的 社團法人들이 프랑스와 같이 廢止되었다. [12] 그래서 1789年부터 1850年代까지, 코퍼러티즘의 支持者들은 大部分 反革命 反動主義者들이었다. [13] 이 時期의 反動主義者들은 自由競爭 資本主義를 종식시키고 封建制度를 回復하기 위한 方便으로서 코퍼러티즘을 選好했다. [14]

進步的 코퍼러티즘 [ 編輯 ]

1850年代부터 近代的 意味에서의 코퍼러티즘이 登場하기 始作했다. [13] 이들 進步的 코퍼러티스트들은 階級 間의 協助 를 위해 中間階級 및 勞動階級 構成員들의 集團的 權利를 保障해야 한다고 主張했다. 이것은 마르크스주의 階級鬪爭論 과 槪念的으로 反對되는 것이었다. 1870年代에서 1880年代 사이 코퍼러티즘은 유럽 곳곳에서 雇用主와의 交涉에 專念하는 勞使協調的 勞動組合 의 誕生으로 復活했다. [13]

1887年, 페르디난트 퇴니스 는 著書 『 共同社會와 利益社會 』에서 코퍼러티즘의 哲學的 正當化를 展開했다. 이는 길드 社會主義 를 振興하고 理論社會學에도 큰 變化를 일으켰다. 퇴니스는 氏族, 코뮌, 家族, 職業에 基盤한 有機的 共同社會(커뮤니티)가 資本主義로 因해 賦課된 經濟的 階級이라는 機械的 利益社會(소사이어티)에 依해 攪亂되고 있다고 分析했다. [15] 後날 나치당 은 所謂 “ 民族共同社會 ”라는 槪念으로 퇴니스의 理論을 變容했다. [16] 하지만 퇴니스는 나치를 反對했고 獨逸社會民主黨 에 入黨했다. [17]

天主敎 코퍼러티즘 [ 編輯 ]

連帶主義 [ 編輯 ]

自由主義 코퍼러티즘 [ 編輯 ]

파시즘 [ 編輯 ]

네오코퍼러티즘 [ 編輯 ]

오늘날의 코퍼러티즘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Molina, Oscar; Rhodes, Martin (2002). “Corporatism: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 Concept” .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英語) 5 (1): 305?331. doi : 10.1146/annurev.polisci.5.112701.184858 . ISSN   1094-2939 .  
  2. Wiarda 1997 , 27, 141쪽.
  3. Clarke, Paul A. B; Foweraker, Joe (2001). 《Encyclopedia of democratic thought》. London, UK; New York, US: Routledge. 113쪽.  
  4. Davies, Peter Jonathan; Lynch, Derek (2002). 《The Routledge Companion to Fascism and the Far Right》. Routledge (UK). 143쪽. ISBN   0-415-21494-7 .  
  5. Wiarda 1997 , 31, 38, 44, 111, 124, 140쪽.
  6. Hicks 1988 .
  7. Slomp, Hans (2000). 《European politics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integration and division》. Westport, Connecticut: Praeger Publishers. 81쪽.  
  8. Wiarda, Howard J. (2016年 6月 24日). 《Corporatism and Comparative Politics: The Other Great "Ism"》 . New York: Routledge. doi : 10.4324/9781315481050 . ISBN   978-1-315-48105-0 .  
  9. Adler, Franklin Hugh. 《Italian Industrialists from Liberalism to Fascism: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Bourgeoisie, 1906?34》. 349쪽.  
  10. Wiarda 1997 , 29쪽.
  11. Wiarda 1997 , 30?33쪽.
  12. Wiarda 1997 , 33쪽.
  13. Wiarda 1997 , 35쪽.
  14. Jones, R. J. Barry (2001). 《Routledge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Entries A?F》. Taylor & Frances. 243쪽.  
  15. Peter F. Klaren, Thomas J. Bossert. Promise of development: theories of change in Latin America . Boulder, Colorado, USA: Westview Press, 1986. P. 221.
  16. Francis Ludwig Carsten, Hermann Graml. The German resistance to Hitler . Berkeley and Los Angeles, California, US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93
  17. Ferdinand Tonnies, Jose Harris. Community and civil societ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first edition in 1887 as Gemeinschaft und Gesellschaft ). Pp. xxxii-xxxi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