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포스트모더니즘에 對한 批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포스트모더니즘에 對한 批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포스트모더니즘 에 對한 批判 (Criticism of postmodernism)은 다양한 知的 側面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代表的인 것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은 無意味하고 蒙昧主義 를 量産시킨다는 것, 科學 의 嚴密性을 侵害한다는 것, 實質的 社會 發展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것 等이 있다.

漠然性 批判 [ 編輯 ]

哲學者 노엄 촘스키 는 포스트모더니즘은 分析과 經驗에 기초한 實證的 知識에 寄與하는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無意味한 學問이라고 批判했다. 촘스키는 왜 다른 分野의 學者들이 質問에 對答하는 것처럼 포스트모더니스트 知識人들은 對答하지 못하냐고 詰問했다.

노엄 촘스키.

“自己네들의 主張을 正當化하기 위한 "理論"과 "哲學"의 경이로움을 들먹이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물어 보십시오. 當身네들의 理論의 原理가 뭐고, 基盤하고 있는 證據가 무엇이며, 그것이 明白한 것인지 아닌지 說明해 보라고. 物理學, 數學, 生物學, 言語學 等 다른 分野의 사람들은 이런 質問을 받으면 오히려 幸福해 합니다. 이런 質問은 누구나 할 수 있는 正當한 要求입니다. 萬若 그들이 여러분의 質問에 對答하지 못한다면, 데이비드 흄 의 忠告를 따르시면 됩니다. 그 理論과 哲學이라는 것을 불 속에 집어던져 버리십시오." [1]

社會生物學 의 創始者인 動物行動學者 에드워드 윌슨 은 포스트모더니즘은 張자크 루소 퐁퐁의 浪漫主義의 延長線에 있으며, 特히 解體主義 의 境遇 無限 溯及의 問題에 빠진다고 批判했다. 萬一 포스트모더니즘의 前提가 옳다면, 讀者는 그 結論이 포스트모더니즘 哲學者가 意圖한 結論인지 確信할 수 없다. 逆으로, 萬一 讀者가 把握한 것이 哲學者의 意圖와 同一하다면 그 論證을 考慮해야 할지가 不分明해진다는 것이다. [2]

道德的 相對主義에 對한 批判 [ 編輯 ]

에드워드 윌슨.

一角에서는 포스트모던 社會가 道德的 相對主義 와 같은 뜻이며, 逸脫 行動 을 助長한다고 疑心한다. [3] [4] [5] 大學生宣敎會 國際指導者 조시 맥도웰 과 밥 호스테틀러는 포스트모더니즘를 다음과 같이 定義했다. “어떠한 客觀的 感覺으로도 眞實이 存在하지 않으며, 그것이 밝혀지기보다 만들어진다는 믿음으로 특징지어지는 世界觀”… 이런 觀點을 가진 사람에게 眞實이란 “特定 文化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며, 그 文化에만 存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眞實과 意思疏通을 하려는 그 어떠한 시스템이나 陳述은 모두 權力 놀음으로 置簿되며, 다른 文化를 支配하기 위한 酬酌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6]

社會主義者들의 批判 [ 編輯 ]

앨릭스 캘리니코스 는 포스트모더니즘이 “ 68 革命 에 失望한 當時 革命家 世代의 생각이 反映되었으며, 專門職·經營職 中産層에 吸收된 往年의 革命家들이 뒤섞여 있는 思想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政治的 挫折과 社會 移動 에 따른 特定 徵候로 理解해야지, 그 自體로 價値있는 重要한 指摘·文化的 現象이라고 볼 수 없다”고 批判하면서 보드리야르 , 리要타르 等 著名한 포스트모던 思想家들을 攻擊했다. [7] 캘리니코스와 마찬가지로 社會勞動黨 黨員인 美術史學者 존 몰리뉴 는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 부르주아 歷史學者들이 읊조린 갖가지 說得의 노래만 晝夜長川 따라 부르고 있다”고 非難했다. [8]

슬라보예 지젝.

美國의 文學評論家이자 마르크스주의 政治理論家人 프레드릭 제임슨 은 포스트모더니즘(또는 脫構造主義)李 資本化와 世界化 問題의 巨大談論 과 엮이지 않으려고 하는 態度를 “後期 資本主義의 文化 論理”라고 主張하며 攻擊했다. 제임슨의 主張에 따르면, 포스트모더니즘이 이런 巨大談論과 엮이지 않음으로써 포스트모던 哲學은 支配와 搾取 의 關係가 澎湃한 社會의 共謀者로 轉落한다. [9] 美國 國際社會主義組織 의 先頭的 構成員인 셰리 울프 는 2009年 咀嚼 《性生活과 社會主義》( Sexuality and Socialism )에서 포스트모더니즘 理論은 同性愛者 解放運動에 全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그 價値를 默殺했다. [10] 슬로베니아의 批判理論家 슬라보예 지젝 은 포스트모더니즘의 解體主義가 主體性을 解體함으로써 主體마저 사라져 社會的 抵抗의 求心點이 사라졌다고 批判했다. [11]

산디니스타 政權下의 니카라과 에서 講義를 한 前歷이 있을 程度로 學界 內 左派였던 뉴욕 大學校 物理學科 敎授인 앨런 소칼 은 學者의 立場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말장난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했고, 또 政治的인 立場에서 沙上樓閣 같은 포스트모더니즘 ‘新左派’가 中途나 右派 勢力에 依해 攻擊받아 自身을 包含해 正統 左派 陣營에까지 被害가 돌아올 것을 憂慮했다. 그는 “指摘 解體主義 따위가 어떻게 勞動階級을 解放시킬 수 있는 것인지” 알 수 없다고 詰難했다. [12] 그리고 소칼은 後述할 소칼 事件 을 일으키게 된다.

科學者들의 批判 [ 編輯 ]

客觀的 眞實을 追求하며, 自身의 理論에 ‘責任’을 져야 하는 科學者들은 모든 것이 相對的이고 實在가 없으며 아무것도 알 수 없다고 主張하는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아무런 有益한 點을 發見하지 못했다.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科學에 對해 無知했을 뿐 아니라 破壞的인 態度를 보였다. 그들은 科學的 眞理를 一種의 暫定的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科學은 여러 앎의 方式들 中 하나에 不過하며, 龜尾 白人 男性들의 專有物이라고 여겼다. 그뿐 아니라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科學 用語를 잘못된 意味로 갖다 붙여 使用하며 自身들의 ‘哲學’을 正當化하는 데 使用하자 科學者들은 단단히 火가 났다.

리처드 도킨스.

高等 迷信 》의 出版과 뒤이은 소칼 事件 , 그리고 그에 따른 科學 戰爭 의 渦中에 科學者들은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의 科學 知識 誤用과 그 思想의 漠然性, 蒙昧主義에 對해 砲火를 퍼부었다. 《 利己的 遺傳子 》를 비롯한 많은 大衆科學書를 執筆해 名聲을 날리고 있던 리처드 도킨스 는 最高級 科學 저널 《 네이처 》( Nature )에 揭載한 〈발가벗겨진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disrobed")이라는 글에서 날 선 毒舌을 加했다. [13]

도킨스는 “發起 機關은 意味 作用의 에 該當하며 … 發起 機關이 復元시키는 享有의 -1에 該當하는 것”이라며 用語의 誤用과 蒙昧主義를 同時에 저지르는 글을 쓴 脫構造主義 精神分析學者 자크 라캉 을 보고 “이 글을 쓴 사람이 詐欺꾼이라는 것을 납득시키기 위해 굳이 數學 專門家의 意見을 들이댈 必要도 없다”고 斷言했으며, [14] 質量-에너지 同等性 公式 이 빛의 速度에 ‘特權을 周忌’ 때문에 性慾의 意味를 담고 있다”고 말한 女性主義 哲學者 뤼스 이리가레이에 , [15] “男性의 陰莖 이 딱딱하게 勃起하기 때문에 固體力學은 男性中心的이고 女性의 陰脣 에서는 生理穴과 質額이 나오기 때문에 流體力學은 女性中心的이므로 固體力學이 流體力學보다 ‘特權을 가지고 있다’”고 쓴 이리가레이에 解說家 캐서린 헤일스 의 主張 亦是 터무니없을 뿐이라고 잘라 말하고, [16] 混沌 理論 을 갖다붙여 “加速 運動이 線型性에 終止符를 告하고 加速 運動에서 생겨난 亂流가 歷史를 그 終着點으로 비껴나가게 한다”고 한 보드리야르 의 글은 “漸入佳境의 넌센스”라고 寸評했다. [17]

以外에도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이 相對性 理論과 相對主義를 混同한 것, 쿠르트 괴델 不完全性 整理 量子論 , 混沌 理論 等을 誤濫用한 것이 모두 批判의 對象이 되었고, [16] 科學 用語와 似而非 科學을 婚材하면서 理解할 수 없게 文章을 어렵게 쓰는 蒙昧主義的 態度와, 脈絡 없는 用語의 濫用 等이 모조리 批判 對象이 되었다. 앨런 소칼 은 《 知的 詐欺 》( Intellectual Impostures )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번지르르한 말의 베니어 판을 걷어내면 무엇이 남아 있을지 자못 의심스럽다”고 記述했고, [17] 노벨 物理學賞 受賞者인 理論物理學者 스티븐 와인버그 는 《 最終 理論의 꿈 》( Dreams of A Final Theory )에서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線形的’이라는 말은 無條件 안 좋은 것이며, ‘非線形的’이라는 말만 갖다 붙이면 되는 줄 안다”고 批判했다. 도킨스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말장난에 不過하다면, 적어도 장난이 재미는 있어야 하지 않는가? 그런데 왜 그들의 著述은 그렇게 놀랄 만큼 지겨운가?”라고 詰難했다. [18] 이런 評價들은 포스트모더니즘에 批判的인 科學者들의 立場과 視角을 端的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Noam Chomsky on Post-Modernism ,
    原文은 다음과 같다.
    I would simply suggest that you ask those who tell you about the wonders of "theory" and "philosophy" to justify their claims --- to do what people in physics, math, biology, linguistics, and other fields are happy to do when someone asks them, seriously, what are the principles of their theories, on what evidence are they based, what do they explain that wasn't already obvious, etc. These are fair requests for anyone to make. If they can't be met, then I'd suggest recourse to Hume's advice in similar circumstances: to the flames.
  2. 에드워드 윌슨 (2005年). 《通涉》. 사이언스북스. 93쪽쪽.  
  3. " Truth Decay", Probe Ministries” . 2008年 6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1月 24日에 確認함 .  
  4. Wells, David F. Review :"Losing Our Virtue: Why the Church Must Recover Its Moral Vision," 1998.
  5. Seidner, Stanley S. (June 10, 2009) "A Trojan Horse: Logotherapeutic Transcendence and its Secular Implications for Theology" . Mater Dei Institute . Archived 2011年 5月 1日 - 웨이백 머신
  6. Josh McDowell & Bob Hostetler, The New Tolerance (Carol Stream IL: Tyndale House, 1998), p. 208.
    原文은 다음과 같다.
    A worldview characterized by the belief that truth doesn’t exist in any objective sense but is created rather than discovered. … Truth is created by the specific culture and exists only in that culture. Therefore, any system or statement that tries to communicate truth is a power play, an effort to dominate other cultures
  7. "Against Postmodernism: A Marxist Critique" Alex Callinicos (University of York), 1990. Accessed July 22, 2008
    原文은 다음과 같다.
    reflects the disappointed revolutionary generation of '68, (particularly those of May 68) and the incorporation of many of its members into the professional and managerial 'new middle class'. It is best read as a symptom of political frustration and social mobility rather than as a significant intellectual or cultural phenomenon in its own right.
  8. Is Marxism deterministic? Archived 2012年 10月 22日 - 웨이백 머신 International Socialism Journal, Issue 68, Accessed December 20, 2010.
    原文은 다음과 같다.
    singing an old song long intoned by bourgeois historians of various persuasions.
  9. Fredric Jameson, Post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Duke UP, 1991.
  10. Sexuality and Socialism: Reviews Haymarket Books. Accessed December 28, 2010.
  11. 고명섭 (2009年 1月 30日). “지젝 “解體된 抵抗主體를 되살려라”” . 한겨레 . 2012年 11月 24日에 確認함 .  
  12. Transgressing the Boundaries: an afterword. 1996. https://www.physics.wisc.edu/undergrads/...f07/.../sokal-2.pdf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13. "Postmodernism disrobed" by Richard Dawkins , Nature , 1998-07-09, pp 141-143
    이 글은 도킨스의 散文集 《惡魔의 사도》( A Devil's Chaplain )에 再收錄되었으며, 以下 主席은 모두 該當 書籍에서 引用한 것이다.
  14. 리처드 도킨스 , 《 惡魔의 사도 》, 바다출판사, 99쪽
  15. 도킨스, 위의 冊 100쪽
  16. 도킨스, 위의 冊 101쪽
  17. 도킨스, 위의 冊 102쪽
  18. 도킨스, 위의 冊 10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