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漢字)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甲骨文 (甲骨文)에서의 “?”

中國語 : ? [1] , 병음 : ji?ng ( 主音 : ???ˇ ) [2] [3] 은 韓國語 漢字로는 '환할 警' 또는 '빛날 警'이라는 漢字로서 밝은 窓門의 글字 形態를 지니고 있으며, 현대 中國語에서는 "빛", "밝다", "환하다"의 뜻을 本來의 意味로 하고 있지만, 現在 이러한 뜻으로 쓰이는 境遇는 거의 없다. 이모티콘으로의 쓰임새가 널리 퍼져, 英語圈에도 Jiong 으로 알려져 있다.

이모티콘 [ 編輯 ]

사람의 얼굴을 닮은 이 이모티콘 (Ideographic emoticon)은 짜증, 衝擊, 唐慌, 깨달음, 싫음, 바보 等의 反應으로 最近 널리 쓰인다. 처음 쓰인 것은 2005年 또는 그 以前으로 보인다. [4] 2007年 以後에는 中國語圈(中國 大陸, 홍콩, 싱가포르, 타이완)에서 本格的으로 使用되고 있으며, 英語圈 및 韓國,日本에서도 쓰인다.

漢字 辭典 [ 編輯 ]

玉篇(玉篇)에 따라 ? 을 ?富(部)에 두거나, ?子婦(字部)에 두기도 한다. [5]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동자(同字): ?
  2. 우어 : /kw?ŋ 2 / Jyutping : gwing 2
  3. 民難語 : /kiŋ??/| 백화자 (白話字):keng
  4. “保管된 寫本” . 2012年 11月 1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1年 3月 17日에 確認함 .  
    • 玉篇 ?部:「?,大明也。」
    • 文選˙江淹˙雜體詩三十首之十八:「??秋月明,憑軒??老。」 註:?? 明亮的樣子。
    • 李善˙注引蒼?篇:「?,大明也。」
    • 康熙字典 【丑集上】【?字部】 ? ·康熙筆?:7· 部外筆?:4
    • 【唐韻】【集韻】【韻會】??俱永切,音憬。又伯?,人名。周太僕。正本作?,俗訛作?。見【書·?命】。又與炯同。
    • 【韓愈詩】蟲鳴室幽幽,月吐???。【註】??猶炯炯也。炯從火?。
    • 說文解字【卷七】【?部】????麗??明。象形。凡?之屬皆從?。讀若?。賈侍中說:讀與明同。俱永切。?注?金文?。銅器銘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