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박성준 (1986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박성준 (1986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박성준
(朴聖俊)
2011 블리자드 컵 施賞式에서 레드카펫을 걸어가고 있는 박성준
基本 情報
出生 大韓民國 서울特別市
性別 男性
國籍 大韓民國
活動 情報
種族 저그
아이디 스타크래프트: July[z-zone]
스타크래프트 II: July, 스타테일安心이
別名 投身(鬪神), 투돈(鬪豚), 수박바
所屬팀 MBC게임 히어로 (2002.08~2007.05) → SK 텔레콤 T1 (2007.05~2008.04) → STX SouL (2008.04~2010.08) → STARTALE (2010.08~2014)
키보드 三星

박성준 (朴聖俊, 1986年 12月 18日 ~ )은 大韓民國 의 前職 스타크래프트 ,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 이며, July 이란 아이디를 쓴다. 前 三星 갤럭시 所屬 프로게이머이자 現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團 監督인 박성준 과 同名異人이다.

槪要 [ 編輯 ]

他의 追從을 不許하는 攻擊性과 卓越한 戰鬪能力에서 由來된 投身(鬪神) 이란 닉네임은 박성준을 代表하는 하나의 固有名詞다. 2008年 7月 12日 KBL 仁川 전자랜드 엘리펀츠 의 홈 球場인 三山월드體育館 에서 열린 EVER 스타리그 2008 決勝戰에서 '怪獸' 도재욱 을 3-0으로 完破하며 온게임넷 스타리그 3番째 優勝을 차지하면서 저그 選手로는 最初이자 이윤열 에 이어 2番째로 골든 마우스를 獲得했다. 2013年 軍 服務를 遂行하였다가 2015年 7月 22日 除隊하였고 以後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團인 드래곤X 의 코치를 맡았다가 只今은 個人 放送에서 活動하고 있다.

選手 履歷 [ 編輯 ]

스타크래프트 [ 編輯 ]

草創期 [ 編輯 ]

프로게이머로 데뷔하기 以前에는 테란이 駐種族이었다. 하지만 2002年 8月 프로게이머로 데뷔하면서 저그로 轉向을 하였다. 以前에 테란으로 練習하던 時節 德分에 다른 저그들보다 손이 더 빨랐다.

프로게이머 데뷔 [ 編輯 ]

2002年 8月, POS(現 MBC게임 히어로 )에 入團하며 POS 의 草創期 멤버로 活動하면서, 本格的으로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였다.

2004年 4月, 질레트 스타리그 를 통해 메이저 大會에 첫 進出하였다. 當時 스타리그 進出權이 걸려있던 듀얼 토너먼트 最終戰에서 '皇帝' 임요환 을 탈락시키며 話題를 낳았는데, 이는 임요환의 데뷔 以後 最初의 스타리그 脫落이었다.

조지명式에서 "優勝이 目標"라며 당찬 抱負를 밝혔던 박성준은 16强 풀리그를 全勝으로 通過한 後 서지훈 , 최연성 을 連破하며 決勝에 올랐다. 特히 大多數의 豫想을 깨고 3:2 快勝을 거둔 최연성과의 4强戰은 只今까지도 가장 임팩트 있는 스타리그 競技 中 하나로 膾炙되고 있다. 2004年 8月 1日, 질레트 스타리그 決勝戰에서 박정석 을 3:1로 꺾고 優勝을 차지했다. 이는 온게임넷 스타리그 4番째 로열로더이자, 저그 最初의 메이저 個人리그 優勝 記錄이다. (兩大 放送社 共通)

優勝 以後, POS의 에이스로 자리잡은 박성준은 個人리그, 팀單位 리그를 오가며 크게 活躍했다. 特히 박태민 과 더불어 2004~2005 시즌을 '兩朴時代'로 風靡하며 全盛期를 누렸다. 2005年 7月엔 EVER 스타리그 2005 決勝에 進出, 이병민 (當時 팬택, 新韓銀行 프로리그 2008 을 끝으로 隱退)을 꺾고 두 番째 優勝을 차지했다. 이는 스타리그 決勝에서 저그가 테란을 꺾고 優勝한 첫 케이스였다. (하지만 兩大 放送社를 통틀어서 테란 相對로의 저그 첫優勝은 박태민 이 이윤열을 相對로 거둔 4:2勝利가 最初의 테란 相對 저그 첫 優勝이라고 보는게 맞다)

隱退 危機와 웨이버 公示 [ 編輯 ]

2006年 3月, 新韓銀行 스타리그 2005 決勝에서 최연성에게 0:3으로 完敗하며 골든 마우스를 놓친 박성준은 한동안 不振을 거듭하며 슬럼프에 빠지게 된다. 더욱이 2007年 1月엔 所屬팀과의 摩擦로 웨이버 公示 (球團이 所屬選手와의 契約을 一方的으로 解除)라는 史上 初有의 事態를 惹起하며 隱退 危機에 몰렸다.

事情은 이랬다. 2006 시즌, 박성준은 MBC게임 히어로로부터 1億 3千萬원의 年俸을 받았다. 그러나 契約 滿了를 앞둔 히어로側이 再契約 年俸으로 4000萬원을 提示하면서 葛藤이 始作되었다. POS 時節부터 오랜 期間 팀에 寄與해왔던 박성준은 이같이 大幅的인 年俸 削減에 크게 失望했고, 再契約을 拒否하던 끝에 마침내 웨이버 公示를 申請하기에 이르렀다.

1週日間의 公示期間동안 利敵과 隱退의 岐路에 놓였던 박성준은 結局 SK 텔레콤 T1 과 年俸 6000萬원에 契約함과 同時에 所屬팀을 옮겼다. 이 過程에서 박성준은 自尊心에 큰 傷處를 입은 한便, MBC게임 히어로는 팬들의 거센 非難을 받았다.

移籍 以後, 박성준은 곰TV MSL 시즌2 8强 以外엔 이렇다할 成跡을 내지 못했고, 遲遲不進하던 2008年 4月 24日에 또다시 STX SouL 로 트레이드되며 팬들의 憂慮를 샀다.

競技를 지켜보고 있는 박성준 (왼쪽에서 3番째)

골든 마우스 [ 編輯 ]

STX SouL 로의 트레이드 後, 박성준은 다시 한番 페이스를 끌어올리며 '投信의 부활'을 알렸다. EVER 스타리그 2008 에선 안기효 (當時 위메이드 폭스 ), 손찬웅 (當時 르까프 OZ ) 等에게 壓勝을 거두며 864日 만의 決勝 進出에 成功했고, 新韓銀行 프로리그 2008 에선 팀플레이를 擔當하며 높은 勝率을 記錄했다.

2008年 7月 12日, 仁川에서 치러진 EVER 스타리그 2008 決勝戰에선 도재욱 (前 SK 텔레콤 T1 )을 相對로 3:0 完勝을 거두며 세 番째 스타리그 優勝을 차지했다. 이는 이윤열 ( 골든 마우스 獲得 當時 팬택 EX ) 以後 두 番째, 저그로써는 史上 最初로 골든 마우스의 主人公이 되는 瞬間이었다. 또한 EVER 스타리그 2005 以後 1107日 만의 優勝이자 STX SouL 選手 最初의 個人리그 優勝으로 거듭나는 瞬間이었다. 이로써 本意 아니게 T1 팬들에게는 얄미운 存在가 되었다.

프로게이머 隱退 [ 編輯 ]

2009年 5月,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强에 參加하며 스타리그 最多 進出者로 記錄되었다. (15回 進出) 그러나 김정우 (前 CJ 엔투스 )에게 0:2로 完敗하면서 16强 進出엔 失敗, 다음 스타리그 2007 脫落 以後 2年 만에 오프라인 豫選을 치르게 되었다.

2009年 7月엔 블리자드 公認리그인 곰TV TG-삼보 인텔 클래식 시즌3 4强에 올랐다. 4江에선 李泳鎬 ( KT 롤스터 )에게 0:3으로 敗하며 決勝 進出에 失敗했고, 김정우 와의 3/4位戰에서도 敗北 4位에 머물렀다.

2009年 9月 末에 열린 EVER 스타리그 2009 豫選戰에서는 豫選 決勝에서 熾烈한 接戰 끝에 宸怒熱 에게 1:2로 逆轉敗를 當하였으나, 2009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2 豫選戰에서는 서기수를 2:1로 누르면서 本選 進出에 成功하였다, 2009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2 本選에서 1競技에서 不安한 심시티로 박세정 에게 虛無하게 敗하여 敗者戰으로 내려갔으나 敗者戰에서 朴明洙 , 最終戰에서 박세정을 連打로 꺾으면서 곰TV MSL 시즌4 以後 5시즌만에 MSL에 復歸하였다. 그러나 KT 롤스터의 新銳 토스 김대엽 에게만 2番 敗해 탈락하여 32强에서 떨어지고 말았다.

2010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시즌1에서 박상우 , 김승현 을 꺾고 次期 2010 MSL에 進出하였지만 32强 A組에서 前太陽 이제동 에게 져서 脫落되었다. 빅파일 MSL 2010 서바이버에서도 脫落을 하였다.

以後 個人리그 豫選 外에는 이렇다 할 競技 參加가 없고 게임放送의 藝能 프로그램에 자주 모습을 보였다.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로써 活躍하던 2010年에는 온게임넷에서 放送된 信愛와 밤샐氣勢.scx에서 正規 패널로 活躍하였으며 그 外 온게임넷 放送에도 게스트로써 出演하였다. 以後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로써 參加하는 大會 準備에 더욱 集中하기 위해 信愛와 밤샐氣勢.scx에서 自進해서 下車하였다.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로 轉向하고 나서인 2012年 6月 26日 온게임넷은 박성준이 질레트 스타리그를 처음으로 優勝했을 當時 決勝戰 相對인 ‘英雄’ 박정석과의 레전드 매치를 周旋했다. 온게임넷 스타리그가 終了되어 이 레전드 매치는 非公式的으로 박성준의 마지막 온게임넷 스타리그 競技가 되었다.

2015年 오랜 空白期間 後에 參加한 VANT 36.5 對國民 스타리그에서 16强에 오르는 底力을 보였다. 本人의 VANT 36.5 對國民 스타리그 마지막 競技에서 CJ 엔투스 出身의 유영진을 相對로 勝利를 거두며 非公式的으로 自身의 마지막 스타리그 競技를 勝利로 裝飾하면서 프로게이머에서 完全히 隱退하였다.

優勝을 차지하던 질레트 스타리그 8江에서의 박성준(왼쪽에서 네 番째)

프로토스全義 絶對强者 [ 編輯 ]

박성준은 데뷔 以後 프로토스와의 5판 3先勝 多前提에서 單 한 番도 敗北한 적이 없다. 세트 스코어는 公式戰만으로 12:2, 非公式前까지 包含하여 15:3이며, 83.3%의 勝率을 記錄中이다. 스타1 種目만을 基準으로 본 全的이다.

  • 2004年 8月 1日 - 박성준 3:1 박정석 (질레트 스타리그 決勝)
  • 2005年 6月 25日 - 박성준 3:1 강민 (스니커즈 올스타리그 준PO) ← 非公式展 京畿
  • 2006年 2月 17日 - 박성준 3:0 박지호 (新韓銀行 스타리그 2005 準決勝)
  • 2008年 7月 4日 - 박성준 3:1 손찬웅 (EVER 스타리그 2008 準決勝)
  • 2008年 7月 12日 - 박성준 3:0 도재욱 (EVER 스타리그 2008 決勝)

스타크래프트 II [ 編輯 ]

2010年 8月 스타크래프트 II를 위한 礎石으로 Prime 클랜에 合流하였다. 8月 末 STX SouL 과의 契約이 끝나자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써의 轉向을 宣言하며 STARTALE 팀에 合流하였다.

스타크래프트1 時節 通算 戰績 [ 編輯 ]

通算戰績 (10.6.11 基準)

京畿 勝-牌 勝率
臺 테란 279 147 ?132 52.7%
臺 저그 175 92 ?83 52.6%
代 프로토스 217 151 ?66 69.6%
總合 671 390 ?281 58.1%

主要 記錄 [ 編輯 ]

스타크래프트 : 메이저 個人리그 優勝 3回, 準優勝 2回 [1]

스타크래프트 II : 프리미어 個人리그 準優勝 1回 [2]

스타크래프트 [ 編輯 ]

2003年 ~ 2005年

2006年 ~ 2008年

  • 2006年 新韓銀行 스타리그 2005 準優勝 (0:3 최연성 )
  • 2006年 新韓銀行 스타리그 2006 시즌1 24强
  • 2006年 WCG 2006 스타크래프트 部門 韓國 代表 選拔戰 3位
  • 2006年 WCG 2006 그랜드 파이널 스타크래프트 部門 準優勝 (0:2 최연성 )
  • 2006年 新韓銀行 스타리그 2006 시즌2 16强
  • 2007年 e스타즈 서울 2007 스타크래프트 256强戰 16强
  • 2007年 新韓銀行 스타리그 2006 시즌3 16强
  • 2007年 곰TV MSL 시즌2 8强
  • 2007年 EVER 스타리그 2007 16强
  • 2007年 곰TV MSL 시즌3 16强
  • 2008年 박카스 스타리그 2008 16强
  • 2008年 곰TV MSL 시즌4 16强
  • 2008年 EVER 스타리그 2008 優勝 (3:0 도재욱 )
  • 2008年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1 64强 2R
  • 2008年 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16强
  • 2008年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2 64强 2R

2009年 ~ 2015年

  • 2009年 BATOO 스타리그 08~09 16强
  • 2009年 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强
  • 2009年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시즌3 4位
  • 2009年 NATE MSL 2009 32强
  • 2010年 하나대투증권 MSL 2010 32强
  • 2010年 STX杯 韓中 스타크래프트 大會 4位
  • 2012年 e스포츠 名譽의 殿堂 獻額
  • 2015年 VANT 36.5 對國民 스타리그 16强

스타크래프트 II [ 編輯 ]

  • 2010年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3 16强
  • 2011年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an. Code A 8强
  • 2011年 인텔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 Code S 準優勝 (1:4 장민철 )
  • 2011年 DreamHack Summer 2011 4位
  • 2011年 North American Star League Season 1 4位
  • 2011年 Arena of Legends 1 4强
  • 2011年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월드 챔피언쉽 서울 WC 8强
  • 2011年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y Code S 16强
  • 2011年 LG 시네마 3D, 인텔코리아 슈퍼 토너먼트 64强
  • 2011年 PEPSI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uly Code S 32强
  • 2011年 2011 MLG Pro Circuit: Columbus 12位
  • 2011年 PEPSI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Aug. Code S 4强 (1:3 정종현 )
  • 2011年 2011 MLG Pro Circuit: Orlando 12位
  • 2011年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Oct. Code S 32强
  • 2011年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Nov. Code S 32强
  • 2012年 Arena of Legends: The King of Kongs 4强
  • 2012年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1 Code A 32强
  • 2012年 핫식스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2 Code S 16强
  • 2012年 무슈제이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 3 Code A 48强

팀單位 리그 [ 編輯 ]

  • 2005年 SKY 프로리그 2005 前期리그 個人展 多勝王 (共同)
  • 2006年 SKY 프로리그 2006 前期리그 準優勝 (MBC게임 히어로)
  • 2007年 SKY 프로리그 2006 後期리그 優勝 (MBC게임 히어로)
  • 2007年 SKY 프로리그 2006 後期리그 MVP
  • 2007年 SKY 프로리그 2006 그랜드 파이널 優勝 (MBC게임 히어로)

協會 受賞 [ 編輯 ]

  • 2006年 2005 大韓民國 e-SPORTS 大賞 最優秀 저그上
  • 2006年 2005 大韓民國 e-SPORTS 對象 最多勝 上 (共同)

優勝 關聯 記錄 [ 編輯 ]

질레트 스타리그 優勝 (2004.08.01)

EVER 스타리그 2005 優勝 (2005.07.02)

  • 스타리그 最初로 저그가 테란을 꺾고 優勝
  • 史上 4番째 스타리그 2回 優勝 (임요환-金東秀-이윤열-박성준)

EVER 스타리그 2008 優勝 (2008.07.12)

  • 史上 2番째 골든 마우스 受賞 (이윤열-박성준)
  • 저그 最初의 골든 마우스 受賞
  • 最長期間 間隔의 스타리그 優勝 (EVER 스타리그 2005 優勝 以後 1107日)
  • STX SouL 選手 最初의 스타리그 優勝

野球 [ 編輯 ]

初等學校 5學年부터 中學校 2學年까지 野球 選手로 活動했다. [3]

各州 [ 編輯 ]

  1. 스타리그 3回 優勝, 2回 準優勝.
  2. GSL 코드 S 1回 準優勝.
  3. 럭비ㆍ拳鬪보다 e게임이 좋아 《디지털타임스》, 2004年 10月 15日

外部 링크 [ 編輯 ]

스타리그 골든마우스 受賞者
移轉 박성준 다음
이윤열 이제동
2002 Panasonic , IOPS 04-05 ,
新韓銀行 시즌2 優勝
질레트 2004 , EVER 2005 ,
EVER 2008 優勝
EVER 2007 , 바투 08-09 ,
박카스 2009 優勝
移轉
강민
第13代 스타리그 優勝者
질레트 스타리그 2004
다음
  최연성  
移轉
이윤열
第16代 스타리그 優勝者
EVER 스타리그 2005
다음
  오영종  
移轉
李泳鎬
第25代 스타리그 優勝者
EVER 스타리그 2008
다음
  송병구